목차
※목차
기획 의도
Ⅰ. 서부 대 개발이란 무엇인가?
ⅰ) 배경
ⅱ) 지리적 구분
ⅲ) 자원과 자연환경
ⅳ) 개발 전략
ⅴ) 진행 현황
Ⅱ. 외국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ⅱ) 진출 전략
Ⅲ. 우리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ⅱ) 진출 사례
Ⅳ. 결론
ⅰ) 지역별 특성과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
ⅱ) 진출 시 고려사항
기획 의도
Ⅰ. 서부 대 개발이란 무엇인가?
ⅰ) 배경
ⅱ) 지리적 구분
ⅲ) 자원과 자연환경
ⅳ) 개발 전략
ⅴ) 진행 현황
Ⅱ. 외국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ⅱ) 진출 전략
Ⅲ. 우리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ⅱ) 진출 사례
Ⅳ. 결론
ⅰ) 지역별 특성과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
ⅱ) 진출 시 고려사항
본문내용
분포
티베트의 경우 인간 생존이 가능한 면적은 전체의 27%에 불과
- 적은 강수량으로 인한 물과 삼림의 부족은 사막화의 위협을 가중
서부지역 내 강우량 600mm 이하인 경지면적은 8억ha이며, 이는 중국 전체 경지면적의 64%에 해당
- 식량 증산을 위한 무분별한 산람개간으로 생태환경이 파괴되어 홍수(1998년의 양자강 대홍수) 등 자연재해가 빈발
ⅳ) 개발 전략
▲ 50년간 추진되는 장기 개발 계획
- 서부대개발은 50년 동안에 걸쳐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추진되며 궁극적인 목표는 낙후된 서부지역의 경제와 생활수준을 동부지역 수준으로 발전시키자는 것임
개발 초기 (2000~05년)
대규모 개발 (2006~15년)
전면적 발전 (2016~50년)
-개발 계획 및 정책 수립
-정책 홍보
-중앙/지방 주요기구 설립
-SOC분야 건설 가속화
-자체 개발능력 제고
-非SOC분야 투자 확대
-서부지역 도시화, 시장화
(구매력 제고)
-전면적 대외개방
(국제화 수준 제고)
서부대개발의 단계별 정책 목표
자료; 서부신식망(西部信息網)
▲ 중국정부는 초창기 사업이 서부대개발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보고 향후 5~10년간 투자를 집중할 중점 프로젝트 서정
- 도로, 철도, 공항, 천연가스 수송망, 전력, 통신, 수리시설 등 대규모 인프라 확충
교통관련 10개 프로젝트는 2000년에 공사가 착수되어 진행중
- 천연림 보호, 조림실시, 산림녹화, 경작지의 산림환원 등 생태환경 보호와 개선
중국정부는 경사25도 이상의 경작지를 보상해 주고 조림을 실시
- 대내외적으로는 시장원리 강화 등 서부지역의 개혁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서부지역의 금융, 유통, 무역, 통신, 관광 등의 서비스 분야에 대한 개방을 확대
- 서부지역 소재 대학 등 교육기관에 대한 시설투자 확대를 통해 인재 양성에 주력
ⅴ) 진행 현황
▲ 팔종팔달(八縱八澾) - 교통 인프라 구축
- 중국정부는 향후 10년간 850억 달러를 투입하여 서부에 35만km의 도로를 건설할 계획
2005년까지 서부지역 대도시와 중 소도시간 기본적인 도로망을 완공할 계획
- 성도, 서안, 중경(重慶,) 곤명(昆明) 등 주요 중심 도시들은 인근 주변 지역과의 연결을 위한 고속도로망을 확충하고 있음
- 2001~05년간 서부지역의 철도건설에 150억 달러를 투입, 철도노선 확충에 주력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간에 건설되는 1,956km의 청해-티베트간 철도건설
동 노선이 완공되면 티베트의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
서부와 동부지역간 철도노선의 신증설도 원활히 진행
- 대외교역 확대를 위한 해상 연결로 확보
내륙의 중심 도시와 해상 운송망을 연결하는 출해(出海) 통로를 건설
▲ 서전동송(西電東送) - 전력 개발 및 수송
- 각 성별로 수력발전, 화력발전소의 건설과 전력 송전망 개선작업이 진행 중
2002년까지 1,000억 위안 이상이 투입된 싼샤(三)댐이 2009년에 완공되면 호남성, 광동성, 상해 등 중부지역과 연해지역의 전력난이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
2005년 완공예정인 운남성의 샤우완(少) 수력발전소는 발전용량이 현재 서부지역 최대 규모인 얼탄(二)발전소(330만kw)를 능가하는 420만kw
- 서부지역의 전력을 동부로 송전하는 프로젝트도 추진중
양자강 일대의 수력발전소와 각지의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광동성, 상해, 북경 등 연해의 남,중,북 일대로 송전하는 송전망 구축공사가 진행중
서남지역의 냐오()강, 난판(南盤)강, 베이판(北盤)강 등의 수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의 전력을 광동성 일대로 송전
-싼샤댐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중부, 화동, 화남, 지역으로 송전
1,820만kw의 싼샤댐 발전용량중 300만kw는 화남지역인 광동성에, 720만kw는 화동지역인 상해시, 강소, 절강, 안휘성에, 800만kw는 중부지역인 호북, 호남, 하남, 강서성에서 각각 사용될 계획
▲ 서기동수(西汽東輸) - 가스 개발 및 수송
-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타림분지에서 감숙성, 영하회족 자치구를 거쳐 상해까지 4,212km를 가로지르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가 2002년 7월에 기공식을 가지고 진행중임
상해, 강소성 등 양자강 삼각주로의 가스공급량이 2002년의 20억m에서 2007년 140억m, 2010년 190억m로 증가
타림분지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5,000억m를 상회하기 때문에 향후 30여년간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이 가능
- 140억m의 천연가스는 1,000만톤의 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규모로 대기오염 감소에도 크게 일조할 전망
세계적인 대기오염 도시인 난주(蘭州)시는 쳔연가스 사용의 확대로 2002년 대기오염이 전년대비 30%이상 감소
-서기동수 프로젝트는 서부지역 인프라 건설 항목 중에서도 외국기업의 관심이 가장 집중되고 있는 프로젝트
▲ 남수북조(南水北調) - 수자원 부족 해결
- 중국 북부지역의 수자원 부족은 경제성장을 저해함은 물론 생태환경 파괴, 사막화 확산 등으로 주민 생존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임
황허, 화이허(淮河) 일대 북부지역의 1인당 수자원은 전국 평균의 20%, 세계 평균의 6%로 사막에 가까운 물 부족 지역
- 최근의 남수북조 프로젝트는 양자강 상,중,하류에서 각각 물을 수송하는 서부 라인, 중부 라인, 동부 라인으로 구성
동부 라인은 강소성 일대의 양자강 물을 산동성, 천진 등으로 끌어 올리는 1,156km의 노선으로 80억 달러를 투입하여 우선적으로 착공할 계획
중부라인은 호북 단강구(丹江口)댐의 물을 호남성, 북경 등에 공급하는 1,240km의 노선
서부라인은 다두허(大渡河), 야룽강(雅壟江)의 물을 영하, 내몽고, 산서등 황하 상류 서북부지역으로 수송하는 노선으로 아직은 구상단계임
Ⅱ. 외국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 서안, 성도, 중경 등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다국적기업의 진출이 가시화
- 도요타, 까르푸, BP, MS, 모토롤라, 컴팩, 쉘 등 세계 500대 기업 중 100여 개 기업이 투자를 하거나 사무소를 설치
▲ 까르푸의 ‘GO West\'
- 까르푸는 2003년의 주요 사업전략 중 하나를 서부지역 진출 확대로 설정
외자계기업에 대한 우대조치가 풍부하고 잠재시장 규모가 큰 서부에
티베트의 경우 인간 생존이 가능한 면적은 전체의 27%에 불과
- 적은 강수량으로 인한 물과 삼림의 부족은 사막화의 위협을 가중
서부지역 내 강우량 600mm 이하인 경지면적은 8억ha이며, 이는 중국 전체 경지면적의 64%에 해당
- 식량 증산을 위한 무분별한 산람개간으로 생태환경이 파괴되어 홍수(1998년의 양자강 대홍수) 등 자연재해가 빈발
ⅳ) 개발 전략
▲ 50년간 추진되는 장기 개발 계획
- 서부대개발은 50년 동안에 걸쳐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추진되며 궁극적인 목표는 낙후된 서부지역의 경제와 생활수준을 동부지역 수준으로 발전시키자는 것임
개발 초기 (2000~05년)
대규모 개발 (2006~15년)
전면적 발전 (2016~50년)
-개발 계획 및 정책 수립
-정책 홍보
-중앙/지방 주요기구 설립
-SOC분야 건설 가속화
-자체 개발능력 제고
-非SOC분야 투자 확대
-서부지역 도시화, 시장화
(구매력 제고)
-전면적 대외개방
(국제화 수준 제고)
서부대개발의 단계별 정책 목표
자료; 서부신식망(西部信息網)
▲ 중국정부는 초창기 사업이 서부대개발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보고 향후 5~10년간 투자를 집중할 중점 프로젝트 서정
- 도로, 철도, 공항, 천연가스 수송망, 전력, 통신, 수리시설 등 대규모 인프라 확충
교통관련 10개 프로젝트는 2000년에 공사가 착수되어 진행중
- 천연림 보호, 조림실시, 산림녹화, 경작지의 산림환원 등 생태환경 보호와 개선
중국정부는 경사25도 이상의 경작지를 보상해 주고 조림을 실시
- 대내외적으로는 시장원리 강화 등 서부지역의 개혁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서부지역의 금융, 유통, 무역, 통신, 관광 등의 서비스 분야에 대한 개방을 확대
- 서부지역 소재 대학 등 교육기관에 대한 시설투자 확대를 통해 인재 양성에 주력
ⅴ) 진행 현황
▲ 팔종팔달(八縱八澾) - 교통 인프라 구축
- 중국정부는 향후 10년간 850억 달러를 투입하여 서부에 35만km의 도로를 건설할 계획
2005년까지 서부지역 대도시와 중 소도시간 기본적인 도로망을 완공할 계획
- 성도, 서안, 중경(重慶,) 곤명(昆明) 등 주요 중심 도시들은 인근 주변 지역과의 연결을 위한 고속도로망을 확충하고 있음
- 2001~05년간 서부지역의 철도건설에 150억 달러를 투입, 철도노선 확충에 주력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간에 건설되는 1,956km의 청해-티베트간 철도건설
동 노선이 완공되면 티베트의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
서부와 동부지역간 철도노선의 신증설도 원활히 진행
- 대외교역 확대를 위한 해상 연결로 확보
내륙의 중심 도시와 해상 운송망을 연결하는 출해(出海) 통로를 건설
▲ 서전동송(西電東送) - 전력 개발 및 수송
- 각 성별로 수력발전, 화력발전소의 건설과 전력 송전망 개선작업이 진행 중
2002년까지 1,000억 위안 이상이 투입된 싼샤(三)댐이 2009년에 완공되면 호남성, 광동성, 상해 등 중부지역과 연해지역의 전력난이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
2005년 완공예정인 운남성의 샤우완(少) 수력발전소는 발전용량이 현재 서부지역 최대 규모인 얼탄(二)발전소(330만kw)를 능가하는 420만kw
- 서부지역의 전력을 동부로 송전하는 프로젝트도 추진중
양자강 일대의 수력발전소와 각지의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광동성, 상해, 북경 등 연해의 남,중,북 일대로 송전하는 송전망 구축공사가 진행중
서남지역의 냐오()강, 난판(南盤)강, 베이판(北盤)강 등의 수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의 전력을 광동성 일대로 송전
-싼샤댐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중부, 화동, 화남, 지역으로 송전
1,820만kw의 싼샤댐 발전용량중 300만kw는 화남지역인 광동성에, 720만kw는 화동지역인 상해시, 강소, 절강, 안휘성에, 800만kw는 중부지역인 호북, 호남, 하남, 강서성에서 각각 사용될 계획
▲ 서기동수(西汽東輸) - 가스 개발 및 수송
-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타림분지에서 감숙성, 영하회족 자치구를 거쳐 상해까지 4,212km를 가로지르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가 2002년 7월에 기공식을 가지고 진행중임
상해, 강소성 등 양자강 삼각주로의 가스공급량이 2002년의 20억m에서 2007년 140억m, 2010년 190억m로 증가
타림분지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5,000억m를 상회하기 때문에 향후 30여년간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이 가능
- 140억m의 천연가스는 1,000만톤의 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규모로 대기오염 감소에도 크게 일조할 전망
세계적인 대기오염 도시인 난주(蘭州)시는 쳔연가스 사용의 확대로 2002년 대기오염이 전년대비 30%이상 감소
-서기동수 프로젝트는 서부지역 인프라 건설 항목 중에서도 외국기업의 관심이 가장 집중되고 있는 프로젝트
▲ 남수북조(南水北調) - 수자원 부족 해결
- 중국 북부지역의 수자원 부족은 경제성장을 저해함은 물론 생태환경 파괴, 사막화 확산 등으로 주민 생존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임
황허, 화이허(淮河) 일대 북부지역의 1인당 수자원은 전국 평균의 20%, 세계 평균의 6%로 사막에 가까운 물 부족 지역
- 최근의 남수북조 프로젝트는 양자강 상,중,하류에서 각각 물을 수송하는 서부 라인, 중부 라인, 동부 라인으로 구성
동부 라인은 강소성 일대의 양자강 물을 산동성, 천진 등으로 끌어 올리는 1,156km의 노선으로 80억 달러를 투입하여 우선적으로 착공할 계획
중부라인은 호북 단강구(丹江口)댐의 물을 호남성, 북경 등에 공급하는 1,240km의 노선
서부라인은 다두허(大渡河), 야룽강(雅壟江)의 물을 영하, 내몽고, 산서등 황하 상류 서북부지역으로 수송하는 노선으로 아직은 구상단계임
Ⅱ. 외국 기업의 진출
ⅰ) 진출 현황
▲ 서안, 성도, 중경 등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다국적기업의 진출이 가시화
- 도요타, 까르푸, BP, MS, 모토롤라, 컴팩, 쉘 등 세계 500대 기업 중 100여 개 기업이 투자를 하거나 사무소를 설치
▲ 까르푸의 ‘GO West\'
- 까르푸는 2003년의 주요 사업전략 중 하나를 서부지역 진출 확대로 설정
외자계기업에 대한 우대조치가 풍부하고 잠재시장 규모가 큰 서부에
추천자료
(중국 경제 분석) 중국 국유기업 개혁의 필요성과 전개 과정 및 한계점 극복 방안
중국 기업인수 합병 규정 과 해설-새 규정 출범의 배경 및 의의
기업의 중국 유통시장으로의 진출
중국기업 하이얼
중국기업분석 - 에어차이나(AIR CHINA).ppt
[기업][기업의 본질][기업의 역할][기업의 채용시험][기업의 중국진출][기업의 청소년문화활...
파괴적 혁신을 통한 제약기업의 전략적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대한 연구
파괴적 혁신을 통한 제약기업의 전략적 중국시장 진출방안
[중국진출]중국 진출기업의 현황, 오락산업의 중국진출, 온라인게임산업의 중국진출, 화장품...
중국 내외자 기업 소득세 단일화
[중소기업 전략]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전략, 중소기업 중국진출 전략, 중소기업 채용 전략, 중...
[기업 진출][기업 미국진출][기업 중국진출][기업 일본진출][기업 유럽진출][기업 폴란드진출...
한국내 100대 기업 중에 자신이 분석할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하고 그 기업의 가치사슬과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