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교자치평가제의 목적
�기존 근무평정 및 교육부의 교원평가안에 대한 비판
�학교자치평가제로 인한 기대효과
�기존 근무평정 및 교육부의 교원평가안에 대한 비판
�학교자치평가제로 인한 기대효과
본문내용
자신의 의견을 첨부한다.
-연말 교과협의회에서 교과다임은 자신의 수업활동 자율평가서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초등은 교과교육활동과 학급운영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학급운영평가로 단일화한다.)
4. 결과활용 : 인사승진과 분리, 교육활동 개선에 활용
1) 학교교육활동종합평가
-학교구성원에게 공개하여 공신력 및 투명성을 확보한다.
-성과와 개선방향 평가를 통해 차년도 교육계획 수립에 반영한다.
-학교내외의 교육환경, 교육정책 평가에서 지적된 문제나 개선책은 교육청 및 교육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견서를 제출하여 개선을 요구한다.
2)학급운영평가
-차년도 학급운영 개선에 반영한다.
3)수업활동평가
교사의 자기계발, 교과수업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부족한 부분은 자율연수를 통해 보강하도록 한다.
-연말 교과협의회에서 교과다임은 자신의 수업활동 자율평가서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초등은 교과교육활동과 학급운영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학급운영평가로 단일화한다.)
4. 결과활용 : 인사승진과 분리, 교육활동 개선에 활용
1) 학교교육활동종합평가
-학교구성원에게 공개하여 공신력 및 투명성을 확보한다.
-성과와 개선방향 평가를 통해 차년도 교육계획 수립에 반영한다.
-학교내외의 교육환경, 교육정책 평가에서 지적된 문제나 개선책은 교육청 및 교육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견서를 제출하여 개선을 요구한다.
2)학급운영평가
-차년도 학급운영 개선에 반영한다.
3)수업활동평가
교사의 자기계발, 교과수업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부족한 부분은 자율연수를 통해 보강하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