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ONTENTS
Ⅰ.서론
Ⅱ.본론
1.모바일 커머스의 이해
1-1.무선인터넷의 개념
1-2.모바일 커머스의 개념
1-3.모바일 커머스의 등장
1-4.모바일 커머스의 특징
2.모바일 커머스 산업분석
2-1.산업의 발전과정
2-2.산업구조 및 시장환경 분석
2-3.시장현황 분석
2-4.새로운 사업환경 모델
3.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다양성
3-1.컨텐츠 구매
3-2.모바일 쇼핑
3-3.티케예매
3-4.위치정보서비스
4.모바일 커머스의 종류
5.모바일 뱅킹 서비스
6.모바일 서비스 마케팅 전략
Ⅲ.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Ⅰ.서론
Ⅱ.본론
1.모바일 커머스의 이해
1-1.무선인터넷의 개념
1-2.모바일 커머스의 개념
1-3.모바일 커머스의 등장
1-4.모바일 커머스의 특징
2.모바일 커머스 산업분석
2-1.산업의 발전과정
2-2.산업구조 및 시장환경 분석
2-3.시장현황 분석
2-4.새로운 사업환경 모델
3.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다양성
3-1.컨텐츠 구매
3-2.모바일 쇼핑
3-3.티케예매
3-4.위치정보서비스
4.모바일 커머스의 종류
5.모바일 뱅킹 서비스
6.모바일 서비스 마케팅 전략
Ⅲ.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대적으로 고가인데다가 대부분의 일본가정이 비좁아서 PC를 들여놓기가 부적절하기 때문이라고 폄하하는 시각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본인들이 주로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반면 미국인들은 대다수가 자가용을 이용하고 있어 제약이 있는데다가 무선 단말기의 좁은 화면보다는 PC나 랩탑을 통한 인터넷 접속에 익숙해 있다.
상대적으로 문화가 유사한 아시아권 내에서도 국가별로 모바일 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향에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 싱가폴, 일본의 경우 이용율이 가장 높은 컨텐츠는 게임, 캐릭터 다운로드 등의 엔터테인먼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다. 반면에 대만과 홍콩의 이용자들은 경제정보나 티켓예매 같은 비즈니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NTT Docomo의 i-mode 서비스가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들을 간과할 위험성이 크다. 고객의 니즈와요구가 파악되면 비전략적인 고객 세그먼트에 처음부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비전략적인 고객세그먼트부터 착수하는 것이 실패부담을 최소화하고 핵심 비즈니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5) 모바일 커머스는 고객과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유선 인터넷 서비스는 주로 고객이 정보를 풀(pull)하는데 무선 인터넷에서는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맞춤정보를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푸시(push)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의 상시접속(always on)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고객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마케팅을 수행하는 기업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매력적인 요소이다. 무선 인터넷이 올바르게 활용하기만 한다면, 이는 마케터들에게는 더할 나위없이 훌륭한 채널이 될 것이고, 사용자들에게는 가치 있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이 잘못되면 값비싸고 작은 웹 접속 휴대폰은 결국 플라스틱과 구리로 만들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무선 단말기가 스팸성 광고물로 가득찬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결국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와의 새로운 관계설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모바일 커머스가 기존의 전자상거래와 다른 점은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에 있는가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일대일 마케팅과 타겟 마케팅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브로드웨이에서 데이트를 하고 있는 경우 그 사람이 좋아하는 연극이나 뮤지컬 취향을 파악해서 공연정보와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위치기반의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모바일 커머스의 특성을 이용하면 이용자가 처해있는 맥락(context)에서 순간적인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로 이어지게 유도할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는 고도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수많은 이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한 상품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는, 모든 상품정보가 이용자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이용자들이 어떤 상품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를 파악해준다. 이 마케팅 전략의 핵심은 이용자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순간에 이런 정보에 노출시켜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질적인 교차판매(cross selling)를 가능하게 해준다. 고객에게 있어서 이러한 서비스의 유용성은 단순히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로 끝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고객의 니즈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서비스를 재구성해서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적극적 마케팅활동은 최근 기업의 수익성향상을 위해 각광을 받고 있는 CRM의 보다 발전적인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무선 CRM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이 출현할 것이다.
6) 기술보다는 마케팅이다.
급속한 기술의 발달은 한때는 최고로 각광받던 기술을 순식간에 하찮은 것으로 추락시켜 버린다. 불과 1~2년전만 해도 무선 인터넷의 미래로 추앙받던 WAP이 이제 일각에서는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기만 한 애물단지로 취급받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제이콥 닐슨(Jakob Nielsen)같은 이는 WPA을 미래가 없는 기술로 단언하고 있다. 물론 WAP이 느린 속도, 별로 볼 것 없는 컨텐츠에 비해 비싼 이용료, 제한적인 검색기능에 각기 다른 표준 등 여러 가지 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초기 선도 기술로서는 어쩌면 당연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되고 개선될 수 있는 문제들로 보인다. 어떤 기술도 처음부터 완벽한 것은 없었다. 문제는 WAP이 무선 인터넷에 대한 과잉 기대와 갈망이 가장 고조되었을 때 시장에 등장해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이용자에게 실망을 안겨주었다는 데 있다. 얼마전만 하더라도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커머스에 대한 기대감과 열정이 최고조에 달했던 이용자들이 이제는 냉정하게 불완전한 현실을 직시하게 된 것이다.
WAP의 이러한 급부상과 추락의 과정은 과거 VHS 방식이 기술적으로 우수했던 베타방식을 누르고 시장 표준을 장악한 과정과 유사하다. WAP은 i-mode나 여타 기술보다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기술인데 비해 i-mode는 꼭 필요한 기능만 갖춘 보다 간결하고 단순한 소프트웨어이다. WAP이 현재 사용자로부터 외면받는 근본적인 원인은 불편한 사용자 환경이다. 또한 WAP은 단선적인 네비게이션 방식을 택해 다른 서비스와 연결이 미흡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어떠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더라도 이러한 사용환경상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결코 모바일 커머스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세계 이동통신 및 무선 인터넷 업계의 최우등생으로서 세계적으로 3세대 서비스를 가장 빨리 서비스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NTT Docomo도 올 2월에 자바 탑재 단말기인 P530i의 버그로 인해 사상 최대의 리콜(recall) 사태를 일으킨데 이어 당초 5월로 예정되어 있었던 3세대 서비스(FOMA)도 시스템상의 문제로 인해 5개월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번 사건은 i-mode도 결코 기술상의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으며 사전에 치밀한 준비와 충분한 시험없이 3세대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문화가 유사한 아시아권 내에서도 국가별로 모바일 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향에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 싱가폴, 일본의 경우 이용율이 가장 높은 컨텐츠는 게임, 캐릭터 다운로드 등의 엔터테인먼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다. 반면에 대만과 홍콩의 이용자들은 경제정보나 티켓예매 같은 비즈니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NTT Docomo의 i-mode 서비스가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들을 간과할 위험성이 크다. 고객의 니즈와요구가 파악되면 비전략적인 고객 세그먼트에 처음부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비전략적인 고객세그먼트부터 착수하는 것이 실패부담을 최소화하고 핵심 비즈니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5) 모바일 커머스는 고객과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유선 인터넷 서비스는 주로 고객이 정보를 풀(pull)하는데 무선 인터넷에서는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맞춤정보를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푸시(push)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의 상시접속(always on)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고객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마케팅을 수행하는 기업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매력적인 요소이다. 무선 인터넷이 올바르게 활용하기만 한다면, 이는 마케터들에게는 더할 나위없이 훌륭한 채널이 될 것이고, 사용자들에게는 가치 있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이 잘못되면 값비싸고 작은 웹 접속 휴대폰은 결국 플라스틱과 구리로 만들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무선 단말기가 스팸성 광고물로 가득찬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결국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와의 새로운 관계설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모바일 커머스가 기존의 전자상거래와 다른 점은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에 있는가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일대일 마케팅과 타겟 마케팅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브로드웨이에서 데이트를 하고 있는 경우 그 사람이 좋아하는 연극이나 뮤지컬 취향을 파악해서 공연정보와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위치기반의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모바일 커머스의 특성을 이용하면 이용자가 처해있는 맥락(context)에서 순간적인 정보제공을 통해 구매로 이어지게 유도할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는 고도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수많은 이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한 상품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는, 모든 상품정보가 이용자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이용자들이 어떤 상품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를 파악해준다. 이 마케팅 전략의 핵심은 이용자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순간에 이런 정보에 노출시켜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질적인 교차판매(cross selling)를 가능하게 해준다. 고객에게 있어서 이러한 서비스의 유용성은 단순히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로 끝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고객의 니즈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서비스를 재구성해서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적극적 마케팅활동은 최근 기업의 수익성향상을 위해 각광을 받고 있는 CRM의 보다 발전적인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무선 CRM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이 출현할 것이다.
6) 기술보다는 마케팅이다.
급속한 기술의 발달은 한때는 최고로 각광받던 기술을 순식간에 하찮은 것으로 추락시켜 버린다. 불과 1~2년전만 해도 무선 인터넷의 미래로 추앙받던 WAP이 이제 일각에서는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기만 한 애물단지로 취급받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제이콥 닐슨(Jakob Nielsen)같은 이는 WPA을 미래가 없는 기술로 단언하고 있다. 물론 WAP이 느린 속도, 별로 볼 것 없는 컨텐츠에 비해 비싼 이용료, 제한적인 검색기능에 각기 다른 표준 등 여러 가지 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초기 선도 기술로서는 어쩌면 당연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되고 개선될 수 있는 문제들로 보인다. 어떤 기술도 처음부터 완벽한 것은 없었다. 문제는 WAP이 무선 인터넷에 대한 과잉 기대와 갈망이 가장 고조되었을 때 시장에 등장해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이용자에게 실망을 안겨주었다는 데 있다. 얼마전만 하더라도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커머스에 대한 기대감과 열정이 최고조에 달했던 이용자들이 이제는 냉정하게 불완전한 현실을 직시하게 된 것이다.
WAP의 이러한 급부상과 추락의 과정은 과거 VHS 방식이 기술적으로 우수했던 베타방식을 누르고 시장 표준을 장악한 과정과 유사하다. WAP은 i-mode나 여타 기술보다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기술인데 비해 i-mode는 꼭 필요한 기능만 갖춘 보다 간결하고 단순한 소프트웨어이다. WAP이 현재 사용자로부터 외면받는 근본적인 원인은 불편한 사용자 환경이다. 또한 WAP은 단선적인 네비게이션 방식을 택해 다른 서비스와 연결이 미흡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어떠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더라도 이러한 사용환경상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결코 모바일 커머스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세계 이동통신 및 무선 인터넷 업계의 최우등생으로서 세계적으로 3세대 서비스를 가장 빨리 서비스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NTT Docomo도 올 2월에 자바 탑재 단말기인 P530i의 버그로 인해 사상 최대의 리콜(recall) 사태를 일으킨데 이어 당초 5월로 예정되어 있었던 3세대 서비스(FOMA)도 시스템상의 문제로 인해 5개월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번 사건은 i-mode도 결코 기술상의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으며 사전에 치밀한 준비와 충분한 시험없이 3세대 서비스를
추천자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닷넷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3) 모바일 웹 응용 프로그램 개발하
[모바일게임][모바일게임산업][모바일게임산업 시장전망]모바일게임의 성장, 모바일게임의 특...
[모바일커머스][엠커머스]모바일커머스(엠커머스)의 정의, 구성요소와 모바일커머스(엠커머스...
[모바일 IPv6의 보안][모바일 IPv6][IPv6]IPv6의 개념, 모바일 IPv6의 필요성, 모바일 IPv6의...
[모바일 엔터테인먼트][엔터테인먼트산업]모바일 엔터테인먼트 벨소리,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
[모바일미디어] 모바일 미디어의 개념과 특징 및 함의
모바일 상거래의 성장배경과 제한요소, 모바일상거래 사례
[일본모바일시장, 일본모바일시장 기술전제, 일본모바일시장 인기컨텐츠]일본모바일시장의 기...
M커머스(모바일커머스, 엠커머스)의 의미, 성격, M커머스(모바일커머스, 엠커머스) 구성요소,...
엠커머스(M커머스, 모바일커머스)의 유형, 성격, 엠커머스(M커머스, 모바일커머스)의 등장배...
모바일마케팅,모바일마케팅전략,모바일마케팅사례및분석,전략적마케팅
모바일 콘텐츠와 모바일 게임 산업
[모바일결제,휴대폰결제,스마트폰결제] 모바일결제시장의 성장과 사기피해 문제의 심각성 보고서
[모바일결제,휴대폰결제,스마트폰결제] 모바일결제시장의 성장과 사기피해 문제의 심각성.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