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현대리 란?
2. 표현대리의 유형별 성립요건 및 효과
3. 표현대리 관련 판례
2. 표현대리의 유형별 성립요건 및 효과
3. 표현대리 관련 판례
본문내용
대리권의 효력에 의하여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반면 표현대리에 있어서는 대리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법률이 특히 거래상대방 보호와 거래안전유지를 위하여 본래 무효인 무권대리행위의 효과를 본인에게 미치게 한 것으로서 표현대리가 성립된다고 하여 무권대리의 성질이 유권대리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므로, 양자의 구성요건 해당사실 즉 주요사실은 다르다고 볼 수 밖에 없으니 유권대리에 관한 주장 속에 무권대리에 속하는 표현대리의 주장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3) 표현대리가 성립하는 경우에 본인은 표현대리 행위에 기하여 전적인 책임을 져야하는 것이고, 상대방에게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실상계의 법리를 유추적용하여 본인의 책임을 감경할 수 는 없다. 大判 1994. 12. 22, 94다24985
1) 협의의 무권대리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2016,새학설 새법률에 의한 6,000여 법률 용어를 수록한』
위에서 설명한 무권대리는 광의의 무권대리라고도 하며 본인에게 대리인이 한 무권대리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 만한 사정이 없는 경우인 협의의 무권대리와 그러한 사정이 있는 경우인 표현대리 둘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 본인에게 대리인이 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만한 사정이 없는 경우인 협의의 무권대리는 무권대리의 원칙적 경우로서 무권대리의 책임을 특히 무겁게 하였는데 좁은의미의 무권대리라고도 한다. (민법 제130조)
협의의 무권대리에서 본인은 추인과 추인거절을 할 수 있고, 상대방은 최고와 철회가 가능하다.
2) 무권대리의 추인
추인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2016,새학설 새법률에 의한 6,000여 법률 용어를 수록한』
이란
(3) 표현대리가 성립하는 경우에 본인은 표현대리 행위에 기하여 전적인 책임을 져야하는 것이고, 상대방에게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실상계의 법리를 유추적용하여 본인의 책임을 감경할 수 는 없다. 大判 1994. 12. 22, 94다24985
1) 협의의 무권대리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2016,새학설 새법률에 의한 6,000여 법률 용어를 수록한』
위에서 설명한 무권대리는 광의의 무권대리라고도 하며 본인에게 대리인이 한 무권대리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 만한 사정이 없는 경우인 협의의 무권대리와 그러한 사정이 있는 경우인 표현대리 둘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 본인에게 대리인이 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만한 사정이 없는 경우인 협의의 무권대리는 무권대리의 원칙적 경우로서 무권대리의 책임을 특히 무겁게 하였는데 좁은의미의 무권대리라고도 한다. (민법 제130조)
협의의 무권대리에서 본인은 추인과 추인거절을 할 수 있고, 상대방은 최고와 철회가 가능하다.
2) 무권대리의 추인
추인 이병태 『법률용어사전 2016,새학설 새법률에 의한 6,000여 법률 용어를 수록한』
이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