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자아 및 도덕성 발달
1. 자아의 발달
1) 자아발달 연구의 접근
2) 자아인지의 발달
3) 자아평가의 발달
4) 자기통제력의 발달
2. 도덕성발달
1) 사회화 이론
2) 인지발달이론
3) Damon의 공정성판단이론
※자아 및 도덕성 발달의 고찰
자아 및 도덕성 발달
1. 자아의 발달
1) 자아발달 연구의 접근
2) 자아인지의 발달
3) 자아평가의 발달
4) 자기통제력의 발달
2. 도덕성발달
1) 사회화 이론
2) 인지발달이론
3) Damon의 공정성판단이론
※자아 및 도덕성 발달의 고찰
본문내용
질 수 있음.
2) 인지발달이론
- 아동의 인지적 능력이 향상됨으로 도덕성 또한 일련의 질적인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
(1) Piaget의 도덕성발달이론
*도덕성 발달 4단계
① 2-4세 : 규칙이나 질서에 대한 도덕적 인식이 거의 없다.
② 5-7세 : 일상활옹에 자신이 따라야할 규칙, 질서 또는 사회적 정의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존중하고 준수
절대주의적인 도덕적 사고 : 도덕적 실재론(Piaget) - 자기중심적이며 실재론적인 사고단계에 있다.
특징 - 타율적 도덕성에 지배됨. 결과를 도덕적 선악 결정 요인으로 함. 내재적 정의에 지배.
③ 8-11세 : 도덕적 상대론. 사회적 규칙은 임의적인 약속이며, 사람들의 동의에 의해 변화될 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기나 의도에 의한 도덕적 사고 가능. 자율적 도덕성(Piaget)
④ 11세경 : 조작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Piaget는 아동의 도덕성추론에서 동기와 결과의 요인을 고려하였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요인들을 찾아내고 있다
(2)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Piaget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을 3수준 6단계의 이론으로 세분화
*Kohlberg의 도덕발달단계
수준 1 : 전인습적 수준 - 결과, 권위에 따라 도덕성을 고려하여 판단
단계 1 : 처벌과 복종지향 - 결과에 의해 옳고 그름을 결정. 힘있는 사람에게 무조건 복종.
단계 2 : 도구적 상대주의 지향 - 요구를 도구적을 충족시키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인간관계는 시장원리와 유사. 자신에게 돌아오는 이익 생각
수준 2 : 인습적 수준 - 결과와는 무관하게 가치롭다
단계 3 : 대인간 조화 또는 착한 소년-소녀 지향 - 대다수의 사람이 작는 고정관념에 동조
단계 4 : 법과 질서 지향 - 권위, 고정된 규칙, 사회적 질서를 지향
수준 3 : 후인습적 수준 - 집단의 권위나 권리를 행사하는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도덕적 가 치와 원리를 규정하려는 노력이 보임.
단계 5 : 사회적 계약과 합법적 지향 - 도덕적 융통성이 생김
단계 6 : 보편적인 윤리적 원리 지향 - 자신이 선택한 윤리적 원리에 일치하는 양심에 의 해 결정
*Rest는 Kohlberg의 주관적 평정이 갖는 복잡성을 피하고자 객관식 척도인 DIT를 개발.
① 도덕적 발달 양상
Kohlberg도 아동의 인지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도덕적 발달수준도 단계
2) 인지발달이론
- 아동의 인지적 능력이 향상됨으로 도덕성 또한 일련의 질적인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
(1) Piaget의 도덕성발달이론
*도덕성 발달 4단계
① 2-4세 : 규칙이나 질서에 대한 도덕적 인식이 거의 없다.
② 5-7세 : 일상활옹에 자신이 따라야할 규칙, 질서 또는 사회적 정의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존중하고 준수
절대주의적인 도덕적 사고 : 도덕적 실재론(Piaget) - 자기중심적이며 실재론적인 사고단계에 있다.
특징 - 타율적 도덕성에 지배됨. 결과를 도덕적 선악 결정 요인으로 함. 내재적 정의에 지배.
③ 8-11세 : 도덕적 상대론. 사회적 규칙은 임의적인 약속이며, 사람들의 동의에 의해 변화될 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기나 의도에 의한 도덕적 사고 가능. 자율적 도덕성(Piaget)
④ 11세경 : 조작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Piaget는 아동의 도덕성추론에서 동기와 결과의 요인을 고려하였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요인들을 찾아내고 있다
(2)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Piaget의 인지적 도덕발달이론을 3수준 6단계의 이론으로 세분화
*Kohlberg의 도덕발달단계
수준 1 : 전인습적 수준 - 결과, 권위에 따라 도덕성을 고려하여 판단
단계 1 : 처벌과 복종지향 - 결과에 의해 옳고 그름을 결정. 힘있는 사람에게 무조건 복종.
단계 2 : 도구적 상대주의 지향 - 요구를 도구적을 충족시키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인간관계는 시장원리와 유사. 자신에게 돌아오는 이익 생각
수준 2 : 인습적 수준 - 결과와는 무관하게 가치롭다
단계 3 : 대인간 조화 또는 착한 소년-소녀 지향 - 대다수의 사람이 작는 고정관념에 동조
단계 4 : 법과 질서 지향 - 권위, 고정된 규칙, 사회적 질서를 지향
수준 3 : 후인습적 수준 - 집단의 권위나 권리를 행사하는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도덕적 가 치와 원리를 규정하려는 노력이 보임.
단계 5 : 사회적 계약과 합법적 지향 - 도덕적 융통성이 생김
단계 6 : 보편적인 윤리적 원리 지향 - 자신이 선택한 윤리적 원리에 일치하는 양심에 의 해 결정
*Rest는 Kohlberg의 주관적 평정이 갖는 복잡성을 피하고자 객관식 척도인 DIT를 개발.
① 도덕적 발달 양상
Kohlberg도 아동의 인지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도덕적 발달수준도 단계
추천자료
자아 정체성 발달이론
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아동발달의 이해 -자아개념
[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자아정체감확립프로그램]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의 정의, 청소년기...
청년기의 발달 특성[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이론)의 유래,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이론)의 특성,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이...
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과 나의 발달단계
자아 개념의 발달과 아이의 자아 존중감을 키워주는 방법
[긍정적 자아개념]긍정적 자아개념의 의미, 긍정적 자아개념의 구조와 특성, 긍정적 자아개념...
청소년기의 발달 단계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
[보육학개론] 영역별 발달 특성 -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지능의 발달, 사고의 ...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신체적 발달, 성적 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
아동발달 -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정의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설명하고 영...
유아의 자아개념은 어떻게 발달하는지 설명하고, 유아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