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군현제
2. 유향소
3. 8도체제
4. 관찰사
5. 행정통상의 상호견제와 균형
Ⅲ. 결 론
Ⅱ. 본 론
1. 군현제
2. 유향소
3. 8도체제
4. 관찰사
5. 행정통상의 상호견제와 균형
Ⅲ. 결 론
본문내용
정비책은 몇가지 점에서 한계성을 갖고 있었다. 즉 도제와 군현구획의 개편, 임내의 직촌화, 군현병합과 같은 시책을 실시하였지만 호구와 전결수를 기준한 합리적인 개편은 끝내 되지 못하였다. 또 임내의 직촌화에 따라 면리제는 정착되어 갔지만 국가 의지에 의해 구획된 행정촌은 끝내 실현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군현 병합의 한계, 경재소와 유향소의 존속, 임내와 직촌의 병렬, 월경지(越境地)와 견아상입지(太牙相入地)의 광범한 존속은 강력한 재지(裁知)세력의 존재에서 비롯된 것이며 중앙집권화와 지방분권적 요소가 맞닥뜨려진 결과였다. 특히 군현 병합책이 끝내 실효를 거두지 못하게 된 배경은 대체로 국가적인 의도와 재지세력의 이해관계에서 긴장된 결과로 보아야 한다. 즉 효과적인 지방통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할해서 지배'한다는 원리 하에서 전국을 8도로 나눈 다음 각 도내를 다시 주 · 부 · 군 · 현으로 구획하여 대 · 소읍을 뒤섞어 설치하고 군현 경계도 견아상입지와 월경지를 존치시킴으로써 군현끼리 서로 견제하고 감시하는 체제를 지속하려 했던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조선지대 지방에 대한 통치정책은 관권우위의 중앙집권정책이었고, 그 목표달성을 위하여 온갖 정책적인 노력을 꾀하였던 것이다.
※ 참고 문헌
1. 한국사 편집위원회(1994). 한국사7(중세사회의 발전-1). 한길사
2. 유선호(2001). 한국사 총론. 형설출판사
3. 송찬섭(2003).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4. 한국사교재연구회(1999). (교양) 한국사의 이해. 삼경사
5. 이태언(1997). 한국사 강의. 세종출판사
하지만 군현 병합의 한계, 경재소와 유향소의 존속, 임내와 직촌의 병렬, 월경지(越境地)와 견아상입지(太牙相入地)의 광범한 존속은 강력한 재지(裁知)세력의 존재에서 비롯된 것이며 중앙집권화와 지방분권적 요소가 맞닥뜨려진 결과였다. 특히 군현 병합책이 끝내 실효를 거두지 못하게 된 배경은 대체로 국가적인 의도와 재지세력의 이해관계에서 긴장된 결과로 보아야 한다. 즉 효과적인 지방통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할해서 지배'한다는 원리 하에서 전국을 8도로 나눈 다음 각 도내를 다시 주 · 부 · 군 · 현으로 구획하여 대 · 소읍을 뒤섞어 설치하고 군현 경계도 견아상입지와 월경지를 존치시킴으로써 군현끼리 서로 견제하고 감시하는 체제를 지속하려 했던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조선지대 지방에 대한 통치정책은 관권우위의 중앙집권정책이었고, 그 목표달성을 위하여 온갖 정책적인 노력을 꾀하였던 것이다.
※ 참고 문헌
1. 한국사 편집위원회(1994). 한국사7(중세사회의 발전-1). 한길사
2. 유선호(2001). 한국사 총론. 형설출판사
3. 송찬섭(2003).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4. 한국사교재연구회(1999). (교양) 한국사의 이해. 삼경사
5. 이태언(1997). 한국사 강의. 세종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