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적극적 경청
- 목 차-
Ⅰ. 서 론
1. 적극적 경청이란?
2. 바른 대화 자세
3. 적극적 경청의 장점
Ⅱ. 본 론
1. 좋은 대화 상대가 되는 법
1) 좋은 청중이 되라
2) 칭찬을 아끼지 말라
3)공감하고 긍정하라
4)겸손은 최고의 미덕
5)과감히 공개하라
6)'뒷말'을 숨기지 말라
7)첫마디를 준비하라
8)이성과 감성의 조화
9)대화의 룰을 지켜라
10)완전한 문장을 말하라
11)효과적인 보디 랭귀지
12)미소
13)끄덕임
14)좌석 선택
2. 경청 장벽 극복
1) 준비를 한다
2) 정신적 “지도”를 작성한다
3) 정리를 한다
4)적극적으로 메모 한다
5)질문을 한다
6)메모 내용을 검토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3. 비언어를 통한 바람직한경청
4. 언어를 통한 경청
Ⅲ. 맺음말
1. 목소리로 대처하는 매너
2. 불쾌하지 않게 거절하는 법
<별첨>
♦각국의 보디 랭귀지
♦적극적 경청 퀴즈
♦속담
♦참고 사이트
www.dongacc.com/manner/chapter5.htm
http://tong.nate.com/ksm8507/4050690
http://blog.naver.com/aquilajh/140018224758
http://kr.blog.yahoo.com/treeethree/176.html
- 목 차-
Ⅰ. 서 론
1. 적극적 경청이란?
2. 바른 대화 자세
3. 적극적 경청의 장점
Ⅱ. 본 론
1. 좋은 대화 상대가 되는 법
1) 좋은 청중이 되라
2) 칭찬을 아끼지 말라
3)공감하고 긍정하라
4)겸손은 최고의 미덕
5)과감히 공개하라
6)'뒷말'을 숨기지 말라
7)첫마디를 준비하라
8)이성과 감성의 조화
9)대화의 룰을 지켜라
10)완전한 문장을 말하라
11)효과적인 보디 랭귀지
12)미소
13)끄덕임
14)좌석 선택
2. 경청 장벽 극복
1) 준비를 한다
2) 정신적 “지도”를 작성한다
3) 정리를 한다
4)적극적으로 메모 한다
5)질문을 한다
6)메모 내용을 검토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3. 비언어를 통한 바람직한경청
4. 언어를 통한 경청
Ⅲ. 맺음말
1. 목소리로 대처하는 매너
2. 불쾌하지 않게 거절하는 법
<별첨>
♦각국의 보디 랭귀지
♦적극적 경청 퀴즈
♦속담
♦참고 사이트
www.dongacc.com/manner/chapter5.htm
http://tong.nate.com/ksm8507/4050690
http://blog.naver.com/aquilajh/140018224758
http://kr.blog.yahoo.com/treeethree/176.html
본문내용
, 너무 자주 고개를 끄덕이는 것, 모두 주의해야 한다.
☞ 상대방이 배우자에 대한 불평을 털어놓을 때 너무 쉽게 맞장구를 쳐서는 안된다. 부부 사이란 묘한 것이어서 오늘 당장 헤어질 듯 하다가도 내일 다시 잉꼬부부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14)좌석 선택
-자리 고수하기의 위험성 : 강의나 모임, 회사 식당에서 늘 같은 자리에 앉는 이들이 있다. 어느날 그가 앉는 자리를 바꾸면 사람들은 이유를 궁금해하게 된다. 따라서 쓸데없는 오해나 내면 노출을 피하려면 즐겨 앓는 자리를 만들지 않는 편이 낫다.
-중요한 인물로 인정받고 싶을 때 : 인사를 나눌 때 당신은 움직이지 않고 상대가 다가오도록 만들면 그는 당신이 자신을 우습게 여긴다고 해석해 기분 나빠 할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인사할 때 상대방이 움직여야 할 거리가 더 길 경우 당신이 중요한 인물로 부각된다는 뜻이다. 각종 모임에서 사장 등 중요한 인물의 옆자리에 앉는 것도 한 방법이다.
-주도권을 쥐고 싶을 때 \'사무실에서 손님을 맞을 때 공적인 분위기를 강조하고 자신의 권위를 보여주고 싶으면 책상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앓는다. 누군가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싶을 땐 그를 내려다볼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원래 키가 크다면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책상 모퉁이에 걸터앉아 의자에 앉은 상대를 응시하는 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높게 잡는다. 반대로 주도권을 사양하고 싶을 땐 낮은 위치를 잡고자 노력한다.
2. 경청 장벽 극복
1) 준비를 한다
- 편견을 제거한다.
- 주제에 관심을 기울인다.
- 화자와 가까이 앉는다.
- 메모지와 펜을 준비한다.
2) 정신적 “지도”를 작성한다
- 첫 문장에 경청한다.
- 화자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그것을 제시하는 방법에 경청한다.
- 요약에 신중히 집중한다.
3) 정리를 한다
- 핵심 아이디어, 사실과 사례에 경청한다.
4)적극적으로 메모 한다
- 지도 (아이디어 구조, 스케치)
- 핵심 아이디어 / 주요 사실
- 반응적 행위 상대방은 여러분에게 무엇을 하라고 요청하고 있습니까?
5)질문을 한다
- 명확한 이해와 더 많은 정보를 구하기 위해 질문을 한다.
- 화자가 말하는 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 질문을 한다.
6)메모 내용을 검토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3. 비언어를 통한 바람직한경청
-침묵을 사용한다.
-상대방을 정면으로 쳐다본다.
-말을 중간에 가로막지 않는다.
-긴장을 풀고 개방적인, 그러나 집중하는 태도를 유지한다 (팔짱을 끼거나 손을 포개고 있는 등의 행동은 삼가한다)..
-상대방의 눈을 응시하되 너무 뚫어지게 쳐다보지 않는다.
-미소를 짓고 고개를 끄덕임으로써 상대방의 말을 인정해 준다.
-상대방이 먼저 말할 수 있도록 한다.
-간단한 메모를 한다.
4. 언어를 통한 경청
-페러프레이즈 (Paraphrase)를 한다.
패러프레이징은 ‘화자가 말한 내용을 나름대로 소화해서 자신의 말로 다시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화자에게 여러분이 이해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패러프레이징의 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저는 … 이렇게 말한 걸로 이해했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인식을 체크한다.
인식 체크는 ‘자신이 제대로 이해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화자가 말한 핵심 요점을 반복하거나 다시 말하는 것’이다. 인식 체크는 또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때에 다음의 몇가지 표현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결국… 하다는 이야기군요…” 혹은 “정말 … 하겠군요…”
-요약한다.
요약은 ‘다른 주제로 넘어가려고 이미 말한 것을 종합하기 위해 주요 아이디어, 감정과 요점을 다시 말하는데 사용’된다. 요약을 할
☞ 상대방이 배우자에 대한 불평을 털어놓을 때 너무 쉽게 맞장구를 쳐서는 안된다. 부부 사이란 묘한 것이어서 오늘 당장 헤어질 듯 하다가도 내일 다시 잉꼬부부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14)좌석 선택
-자리 고수하기의 위험성 : 강의나 모임, 회사 식당에서 늘 같은 자리에 앉는 이들이 있다. 어느날 그가 앉는 자리를 바꾸면 사람들은 이유를 궁금해하게 된다. 따라서 쓸데없는 오해나 내면 노출을 피하려면 즐겨 앓는 자리를 만들지 않는 편이 낫다.
-중요한 인물로 인정받고 싶을 때 : 인사를 나눌 때 당신은 움직이지 않고 상대가 다가오도록 만들면 그는 당신이 자신을 우습게 여긴다고 해석해 기분 나빠 할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인사할 때 상대방이 움직여야 할 거리가 더 길 경우 당신이 중요한 인물로 부각된다는 뜻이다. 각종 모임에서 사장 등 중요한 인물의 옆자리에 앉는 것도 한 방법이다.
-주도권을 쥐고 싶을 때 \'사무실에서 손님을 맞을 때 공적인 분위기를 강조하고 자신의 권위를 보여주고 싶으면 책상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앓는다. 누군가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싶을 땐 그를 내려다볼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원래 키가 크다면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책상 모퉁이에 걸터앉아 의자에 앉은 상대를 응시하는 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높게 잡는다. 반대로 주도권을 사양하고 싶을 땐 낮은 위치를 잡고자 노력한다.
2. 경청 장벽 극복
1) 준비를 한다
- 편견을 제거한다.
- 주제에 관심을 기울인다.
- 화자와 가까이 앉는다.
- 메모지와 펜을 준비한다.
2) 정신적 “지도”를 작성한다
- 첫 문장에 경청한다.
- 화자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그것을 제시하는 방법에 경청한다.
- 요약에 신중히 집중한다.
3) 정리를 한다
- 핵심 아이디어, 사실과 사례에 경청한다.
4)적극적으로 메모 한다
- 지도 (아이디어 구조, 스케치)
- 핵심 아이디어 / 주요 사실
- 반응적 행위 상대방은 여러분에게 무엇을 하라고 요청하고 있습니까?
5)질문을 한다
- 명확한 이해와 더 많은 정보를 구하기 위해 질문을 한다.
- 화자가 말하는 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 질문을 한다.
6)메모 내용을 검토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3. 비언어를 통한 바람직한경청
-침묵을 사용한다.
-상대방을 정면으로 쳐다본다.
-말을 중간에 가로막지 않는다.
-긴장을 풀고 개방적인, 그러나 집중하는 태도를 유지한다 (팔짱을 끼거나 손을 포개고 있는 등의 행동은 삼가한다)..
-상대방의 눈을 응시하되 너무 뚫어지게 쳐다보지 않는다.
-미소를 짓고 고개를 끄덕임으로써 상대방의 말을 인정해 준다.
-상대방이 먼저 말할 수 있도록 한다.
-간단한 메모를 한다.
4. 언어를 통한 경청
-페러프레이즈 (Paraphrase)를 한다.
패러프레이징은 ‘화자가 말한 내용을 나름대로 소화해서 자신의 말로 다시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화자에게 여러분이 이해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패러프레이징의 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저는 … 이렇게 말한 걸로 이해했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인식을 체크한다.
인식 체크는 ‘자신이 제대로 이해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화자가 말한 핵심 요점을 반복하거나 다시 말하는 것’이다. 인식 체크는 또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때에 다음의 몇가지 표현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결국… 하다는 이야기군요…” 혹은 “정말 … 하겠군요…”
-요약한다.
요약은 ‘다른 주제로 넘어가려고 이미 말한 것을 종합하기 위해 주요 아이디어, 감정과 요점을 다시 말하는데 사용’된다. 요약을 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