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과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대책 서비스 - 아동학대 실태, 대책 및 예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과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대책 서비스 - 아동학대 실태, 대책 및 예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개념

III. 유형 및 아동학대의 실태
1. 아동학대 유형
⑴ 신체학대 (Physical Abuse)
⑵ 정서학대 (Emotional Abuse)
⑶ 성학대 (Sexual Abuse)
⑷ 방임 (Neglect)
⑸ 유기 유형
2. 피해 아동 현황
3. 학대자 현황
4. 피해아동의 조치결과
5. 아동학대의 후유증
(1) 신체. 정서학대와 방임의 후유증
(2) 성학대 후유증
6. 아동학대의 징후

IV. 대책 및 예방
1. 예방적 측면
(1) 일차적 예방
① 부모교육
② 교사교육
③ 대중매체의 활용
(2) 이차적 예방
2. 치료적 측면
(1) 위기개입방법
(2) 학대부모에 대한 치료와 개입
① 부모집단치료
② 부모지지
(3) 학대아동자신을 위한 치료와 개입
(4)위기에 처한 가정환경에 대한 치료접근
(5) 일시보호시설의 확충
3. 법적근거 강화 측면
(1) 아동학대의 신고 의무화
(2) 학대가정의 치료서비스의 수용 의무화
(3) 체벌규정의 제정
4. 행정·재정적 지원 측면
(1) 아동보호에 대한 국민적 홍보와 재정 지원
(2) 아동학대 신고 센터 확대 설치 운영

IV. 결론

본문내용

다. 우리학우들은 물론 잘하지만, 이 발표가 모든 학우에게 우리에게 그런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II. 개념
아동학대에 대한 정의는 시대, 사회, 문화, 및 인종에 따라 다양하며, 같은 시대 또는 사회 안에서도 정의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는 그 나라의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역사적, 환경적 요소들에 따라 아동 양육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한 문화나 사회에서는 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양육방법이라도 또 다른 문화나 사회에서는 비정상적이라고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아동학대에 대한 기준이나 범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아동 양육에 대한 믿음과 행위가 다양한 여러 문화들 속에서 아동보호와 아동학대에 대한 보편적 기준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훈육을 위한 체벌을 허용하는 문화적 영향으로 인하여 신체적 학대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신체적 학대 이외의 정서적 학대, 성학대, 방임의 경우는 눈에 명확히 드러나는 기준을 찾기 어려워 정의가 보다 더 어렵다. 그 동안 아동학대의 정의와 기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어왔으며, 그 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동학대를 신체적 학대에 한정하여 설명하는 협의의 정의로 아동학대를 “관찰 가능한 상처를 초래하는 행위”로 보았다.(NCCAN, 1978). 그러나 이 정의는 상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우연한 사고로 상처를 입은 아동과 의도적인 행위로 인하여 상처를 입은 학대아동을 동일한 범주로 분류하며 관찰 가능한 상처가 없는 학대아동을 배제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 “의도성”의 개념을 포함한 것으로, Kempe 와 Helfer(1974)는 “아동학대란 우연한 사고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모 또는 다른 보호자의 행위 및 방임의 결과로 신체적 상해를 입은 아동”이라 하여 가해자의 의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사업사전에서는 아동학대를 “부모나 아동의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때리거나 절제 없이 마구 때리는 것과 지속적인 조롱, 정서적인 손상을 계속해서 가한 행위”로 정의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대사례는 부모들의 고의적 상해 행위라기보다는 무의식적인 행위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의도성을 판단하는 것이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쉬워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아동학대에 대한 광의적 정의를 보면 Burgess와 Conger는 “아동학대를 18세 이하의 아동에 대하여 부모나 양육자가 우발적인 것이 아닌 행위의 결과로 신체적, 심리적인 상처를 주는 것”이라고 언급하고(신영화, 1986 재인용), Gil은 “아동학대란 아동의 동등한 권리나 자유를 박탈하거나 아동의 성장발달을 저해한 개인, 시설, 사회 전체의 행위, 태만 및 그 조건들”로 광범위하게 정의 내리고 있다. Gil의 정의는 아동의 적절한 발달을 저해하는 적극적인 행위와 소극적인 방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아동학대의 일차적 예방에 초점을 둔 정의라고 할 수 있다.(신영화, 1986 재인용)
2000년 7월 개정 시행된 우리나라 아동복지법 제2조에 명시된 아동학대에 대한 정의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폭력/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라고 하여 포괄적으로 정의내림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적극적 행위와 소극적 방임을 모두 포함한 광의적 정의에 가깝다고 하겠다(개정아동복지법, 2000).
그러므로 아동학대는 아동학대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아동학대를 “부모나 아동의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 아동의 건강,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가혹행위를 가하는 것”으로 협의 정의하였다.
III. 유형 및 아동학대의 실태
1. 아동학대 유형
<2002년 통계자료> <단위: 건, %>
학대 유형
사례수
신체
1,039(28.4)
정 서
961(26.3)

119(3.2)
방 임
1,329(36.3)
유 기
212(5.8)
전 체
3,660(100.0)
⑴ 신체학대 (Physical Abuse)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한 모든 행위를 말하며 생후 12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체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심각한 신체학대이다.
■ 구체적인 신체학대 행위는
①떠밀고 움켜잡는 행위
②뺨을 때리는 행위
③벨트 등 도구를 사용하여 때리는 행위
④발로 차거나 물어뜯고 주먹으로 치는 행위
⑤팔, 다리 등을 심하게 비틀어 쥐어짜는 행위
⑥뜨거운 물이나 물체, 담뱃불 등으로 화상을 입히는 행위
<2002년 통계자료> <단위: 건, %>


























삠,







































501
35.8
447
32.0
126
9.0
40
2.9
66
4.7
37
2.6
11
0.8
8
0.6
16
1.1
12
0.9
19
1.4
6
0.4
23
1.7
0
0.0
3
0.2
8
0.5
4
0.3
11
0.8
60
4.3
1,398
(100.0)
⑵ 정서학대 (Emotional Abuse)
보호자나 양육자가 아동에게 언어적,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언어적, 정신적, 심리적 학대라고도 한다.
정서학대는 눈에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도 아니고 당장 그 결과가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유의하여야 한다.
■ 구체적인 정서학대 행위
①아동에게 욕설을 퍼붓는 행위
②감금 행위
③집 밖으로 내쫓겠다고 하거나 원망적, 거부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행위
④아동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은 비현실적인 기대로 아동을 괴롭히는 행위
⑤삭발 시키는 행위
⑥아동이 보는 앞에서 부부싸움을 하거나 다른 아동과 부정적으로 비교하는 행위
<2002년 통계자료> <단위: 건, %>
내용
소리
지름
무시
심한
욕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12.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5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