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2. 의료사회사업의 필요성
3. 의료사회사업가의 직무내용
참고문헌
2. 의료사회사업의 필요성
3. 의료사회사업가의 직무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협력하게 되는 것이다. 미시적 임상적 개념의 의료사회사업이란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사회사업가가 임상 치료팀의 일원이 되어 사회복지의 입장에서 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협력하는 사회사업의 한 분야로서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치료에 장해가 되는 사회 심리적인 해결하도록 도와주고 환자가 퇴원 후에도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하도록 환자뿐만이 아니라 가족에게까지도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김덕준이 4인 공저, 신사회사업개론(서울:한국사회복지연구소,1970), pp.257-260.
Herbert Hewitt Stroup, Social Work (New York:American Book Co, 1948), p.354.
이 개념은 전통적인 임상적 서비스의 관점에서 본 것이며 병원이나 진료소 안에서의 사회사업 활동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병원사회사업(Hospital Social Work)이라고도 부른다.
3) 거시적 개념의 의료사회사업
과거에 있어서 질병에 걸린다는 것은 신으로부터의 저주를 의미하여 개인과 가족이 그 책임을 졌으나 이러한 생각은 점차 바뀌어져 갔고 건강유지와 회복 그리고 예방에 대해 사회가 책임져야한다는 데에서 의료사회사업의 거시적 개념은 출발했다. 또한 의료는 사고는 발병의 발생시에는 필요한 Medical Cafe에서부터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Health Cafe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국민의료총론, (동교실,1975), p.1.
그러므로 거시적 입장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이란 지역사의 의료복지를 달성키 위해 보건 및 의료분야에 대한 제반 시책 및 시설을 포함한 제도와 정책에서 사회사업가가 수행하는 제반활동을 말한다. 거시적인 개념애서의 사회사업 활동은 지역사회 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의 이론과 사회복지행정(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그리고 사회사업조사(Social Work Research)의 이론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를 강조한 질병의 에방과 건강의 증진 및 개발 지향적인 현대적 개념의 의료사회사업이며 제도론적인 개념이라 한다. 유수현, “종합병원내 의료사회 사업가의 전문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전대학교대학원, 1978 년), p.207.
(1) 지원 대상별 직무 김복순,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1978), pp.162-178.
가) 의사에 대한 직무
환자를 치료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경제적 배경(Socioeconomic Back Ground)과 가족배경(Family Background)을 조사하고 환자의 사회생활사(Social History)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에게 알려준다. 필요하면 환자의 질병이 현재 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하고 자문적인 판단을 제시하기도 하며 환자에게 확정된 치료절차와 의사의 지시에 따르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해석하거나 설명해 준다. 의사가 환자를 전인간(Total Person)으로 이해하는데 조력한다.
나) 환자의 가족원들에 대한 직무
환자의 정서적이고 육체적인 욕구를 그 가족원들이 이해할 수 있게 도우며 환자가 가정으로 돌아가기 위한 계획에 있어서 가족들이 받아들이고 그들의 책임을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로 인해서 생긴 여러 가지 가정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도우며, 환자가 퇴원 시에 필요하다면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을 위해서 돕는다.
다) 환자에 대한 직무
첫째로, 환자의 정서적 또는 개인적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그를 돕기 위하여 적합한 상담요법의 형태로서 케이스
Herbert Hewitt Stroup, Social Work (New York:American Book Co, 1948), p.354.
이 개념은 전통적인 임상적 서비스의 관점에서 본 것이며 병원이나 진료소 안에서의 사회사업 활동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병원사회사업(Hospital Social Work)이라고도 부른다.
3) 거시적 개념의 의료사회사업
과거에 있어서 질병에 걸린다는 것은 신으로부터의 저주를 의미하여 개인과 가족이 그 책임을 졌으나 이러한 생각은 점차 바뀌어져 갔고 건강유지와 회복 그리고 예방에 대해 사회가 책임져야한다는 데에서 의료사회사업의 거시적 개념은 출발했다. 또한 의료는 사고는 발병의 발생시에는 필요한 Medical Cafe에서부터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Health Cafe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국민의료총론, (동교실,1975), p.1.
그러므로 거시적 입장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이란 지역사의 의료복지를 달성키 위해 보건 및 의료분야에 대한 제반 시책 및 시설을 포함한 제도와 정책에서 사회사업가가 수행하는 제반활동을 말한다. 거시적인 개념애서의 사회사업 활동은 지역사회 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의 이론과 사회복지행정(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그리고 사회사업조사(Social Work Research)의 이론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를 강조한 질병의 에방과 건강의 증진 및 개발 지향적인 현대적 개념의 의료사회사업이며 제도론적인 개념이라 한다. 유수현, “종합병원내 의료사회 사업가의 전문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전대학교대학원, 1978 년), p.207.
(1) 지원 대상별 직무 김복순,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1978), pp.162-178.
가) 의사에 대한 직무
환자를 치료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경제적 배경(Socioeconomic Back Ground)과 가족배경(Family Background)을 조사하고 환자의 사회생활사(Social History)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에게 알려준다. 필요하면 환자의 질병이 현재 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하고 자문적인 판단을 제시하기도 하며 환자에게 확정된 치료절차와 의사의 지시에 따르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해석하거나 설명해 준다. 의사가 환자를 전인간(Total Person)으로 이해하는데 조력한다.
나) 환자의 가족원들에 대한 직무
환자의 정서적이고 육체적인 욕구를 그 가족원들이 이해할 수 있게 도우며 환자가 가정으로 돌아가기 위한 계획에 있어서 가족들이 받아들이고 그들의 책임을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로 인해서 생긴 여러 가지 가정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도우며, 환자가 퇴원 시에 필요하다면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을 위해서 돕는다.
다) 환자에 대한 직무
첫째로, 환자의 정서적 또는 개인적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그를 돕기 위하여 적합한 상담요법의 형태로서 케이스
추천자료
뇌졸중에 대한 의료사회사업론 발표자료(사례관리 포함) 파워포인트
척수손상장애와 의료사회사업 개선방안
만성노인질환과 의료사회사업 대안에 대하여...
장기이식의 의료사회사업적 문제점
[의료사회사업론] 질환별 개입 사례 조사 및 평가 (퇴행성관절염)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파워포인트 PPT
척수손상과 뇌졸증에 대한 의료사회사업실천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 : [의료사회사업론 A형] 한국(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의 변천, 현황 ...
[방통대 의료사회사업론] 의료사회사업론 A형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
의료사회사업론=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및 개선방...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