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상업유통구조의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후기 상업유통구조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품유통구조의 변화
(1) 난전활동과 시장의 개편

(2) 지방장시와 지역적 유통권 형성

(3) 포구의 기능변화와 선상여객주인의 성장

본문내용

1) 상품유통구조의 변화
(1) 亂廛활동과 市場의 개편
조선은 국초부터 肉柱比廛 정석종 최완기 김현영 공동저, 1994, << 한국사9-중세사회의 해체 >>, 한길사 183p
시전은 役의 유무에 따라 유푼전과 무푼전으로 나뉜다. 유푼전 가운데서 가장 큰 것이 육주비전이다. 육주비전은 시기별로 그 구성에 변동이 있으나 1791년 당시의 육주비전은 線廛綿布廛綿紬廛紙廛苧布廛內魚物廛靑布廛 이었다.
및 시전을 비롯하여 貢人, 契人, 지방의 시전 및 坐賈, 褓負商, 客主, 旅閣, 場市등 일부 특권적 제한적인 상인을 제외하고는 일체 상행위를 허용하지 않았다. 17세기 초엽 이루 육주비전을 비롯한 대규모 시전에 청나라에 보내는 進貢品을 조달하는 국역을 부담시키는 대신 그에 상응하는 특권으로서 禁亂廛權을 부여하였다.
생산력의 발전에 따라 자급자족의 경제체제가 붕괴 되면서, 상업적 작물이 재배되고 시장판매를 위한 수공업제품이 생산되는 등 소농민경영상의 변화는 종래의 유통구조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2.1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