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링에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볼링에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볼링제원 보는 방법
1. R.G (Radius of Gyration)
2. R.G 편차
3. Flare
4. Hook
5. BackEnd
6. Length
7. 볼표면상태(Finish)
8. 레인상태

볼링장의 에티켓

볼링의 용어

[ 볼링 아대의 용도및 사용법]

[단점]

본문내용

[release] :파울라인까지 어프로치해 손에서 볼을 놓는 동작.
마더 인 로 [Mother in Law] :스페어처리가 어려운 핀으로 시어머니 핀이라 부른다. 보통 10핀과 7번 핀을 지칭한다.
머피 [Murphy] :2-7번 또는 3-10번 스플리트를 말한다. 비교적 처리하기가 쉬워 베이비 스플리트라고도 한다.
백 스윙 [Back Swing] :푸시 어웨이를 한 뒤 자연스럽게 볼을 뒤로 들어올리는 동작.
백업 [Back Up] :오른손잡이인 경우 오른쪽으로, 왼손잡이의 경우 왼쪽으로 휘는 훅.
베드 포스트 [Bed Post] :침대기둥이란 뜻으로 7-10번 핀을 말한다. 골 포스트라고도 하며 스페어 처리가 어렵다.
스크래치 [Scratch] :핸디없는 게임.
스파트 [Spot] :볼러가 임의로 정하는 레인위의 표적.
스프릿 [Split] :핀이 분산되거나 스페어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상태. 보통 점수판에 O표식을 한다.
슬리퍼 [Sleeper] :다른 핀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핀. 더블우드[Double Wood]라고도 한다.
어프로치 [Approach] :볼을 가지고 스탠스를 취한 후 파울라인을 지나기 전에 볼을 굴리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는 동작.
올 커버 [All Cover] :한 프레임도 오픈하지 않고 스트라이크와 스페어 커버로 경기를 마쳤을 경우.
체리 [Cherry] :스페어를 처리하기 위해 제 2구를 던졌을때 앞에 있는 핀만 쓰러지거나 뒤쪽 핀이 맞고 쓰러지지 않는 경우.
킥 백 [Kickbacks] :핀이 있는곳의 레인과 레인 사이에 칸막이.
터어키 [Turkey] :3회 연속 스트라이크가 되는 것.
파운데이션 [Foundation] :프레임에서의 스트라이크.
퍼펙트 게임 [Perfect Games] :모든 프레임을 스트라이크로 치는 경우. 점수 300점.
하우스 볼 [House Ball] :볼링장에 비치되어 고객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볼링공.
헤드핀 [Head Pin] :1번 핀. 어프로치에서 볼 때 가장 앞에 보이는 핀.
훅 [Hook] :볼에 인위적인 회전력을 가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구부러지게 해서 보다 대각으로 파고드는 방법. 스트레이트 볼링보다 파괴력과 스트라이크가 날 확률이 높다.
레인(lane)의 구조와 명칭을 보면,
볼링의 투구대를 레인이라고 하며, 이 레인은 세계적으로 공통된 규격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레인
실제로 볼이 굴러가는 바닥 부분이다. 넓은 의미의 레인은 어프로치까지 포함한 전체 길이이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레인은 볼이 굴러가는 마루이다. 레인의 표면은 전후 좌우를 모두 수평으로 깍아서 울퉁 불퉁한 곳이 없도록 만들어 졌다.
어프로치(approach)
투구를 할때 스텝하는 곳으로 파울 라인의 뒤 끝까 지 최 소한 4.57m(15ft)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현재 일반 볼링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레인의 길이는 4.87m(16ft)이다.
스탠딩 스파트(standing spot)
투구 동작에 들어갈 때 최초로 서는 발의 위치를 잡기 위한 것이다.
세븐 딜리버리 도츠(seven delivery dots)
볼을 투구하고 난 후의 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둥근 표시이다.
파울 라인(foul line)
엘리 베드(레인)와 어프로치의 경계를 표시 하는 검은 선으로 이것을 밟고 공을 던지면 파울이 되어 득점이 안된다. 이 라인의 폭은 약 2.5cm이다.
가이드 스포트(guide spot)
레인 위의 파울라인앞 2.14m지점에 좌우로 다섯개씩 있는 둥근 표시이다. 이 스포트는 정확한 컨트롤을 하여 에임 스포트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에임 스포트(aim spot)
레인 위의 가이드 스포트 보다 멀리 산 모양으로 늘어선 7개의 쐐기 형의 표시이다. 에임 스포트는 하나하나가 핀의 위치와 평행한 위치로서 총의 가늠쇠와 같은 역활을 한다.
거터(gutter)
레인 양쪽에 평행으로 판 홈통으로, 여기에 떨어진 볼은 핀에 맞지 않고 그대로 피트로 굴러 들어간다.
볼 리턴(ball return)
피트에 떨어진 볼은 자동기계에 의해 바닥 밑에 있는 코스인 볼 리턴을 통하여 리턴 덱까지 되돌아온다. 되돌아 온 볼이 있는 대를 리턴 덱(return deck)이라고 한다.
핀덱(pin deck)
레인 끝에 핀을 세워 놓는 곳으로, 핀의 위치를 늘 일정하게 하기 위한 표시가 되어있다.
마스킹(masking)
핀덱 위쪽의 기계를 가리고 있는 볼링장의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여기에 스트라이크나 남은 핀의 위치가 볼러에게 잘 보이도록 나타난다.
[ 볼링 아대의 용도및 사용법]
1. 손목에 부담을 덜어 준다.
- 아대를 낌으로써 손목에 가는 힘을 최소화 함으로써 부상의 우려를 최소화 시킨다.
2. 인위적인 훅 발생(아대 종류에 따라 틀림)
- 일명 코브라 아대(이와 유사한 아대 포함)의 경우는 손목 및 손등에 일정한
각도가 미리 주어 짐으로써 볼을 놓는 동시에 인위적인 훅 및 롤링의
발생을 유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손의 감각을 점차 적응 시킬수가 있다.
3. 손목 교정
- 일명 백업볼(그 이외의 경우도 있음)을 던지는 사람들에게 많이 쓰여지는 방법으로써
잘못된 자세의 교정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4. 리프팅 효과의 증대
- 리프팅(손가락으로 튕겨준다는 의미 포함)의 능력을 향상 시킬수가 있다.
5. 볼의 회전 각과 롤링을 조절 할수가 있다.
(이것은 특정 아대에 포함됨)
6. 볼과 손의밀착감을 증대 시킨다.
- 볼이 손에 딱 감기듯이 와 닫는 느낌이 들어 줌으로써 볼에 모든것을 집중할수
있으며 컨트롤의 증대가 가능해짐.
(이 아대는 글러브라고 불러 지기도 합니다..손바닥 부분에 고무처럼 되어 있는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이 볼에 딱 붙어 지는 느낌이 든다.)
7. 기름이 직접 손에 닫는것을 최소화 시켜 줄수가 있다.
[단점]
1. 손목이 약해 진다.
- 일상 생활에는 전혀 지장이 없으나 볼러의 자신의 힘으로 볼을 컨트롤 하기가
힘들어 진다.
그러므로 평상시에도 손목 단련의 운동이 필요 하다.
2. 아대가 없으면 정상적인 컨트롤이 불가능해 진다.
- 아대만 끼던 사람은 손목이 아대에 적응이 되어 있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2.1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