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개요〕
Ⅰ-1. 이해력 결핍의 개념
2. 이해력 결핍의 원인
3. 이해력 결핍의 특징
Ⅱ-1. 학습장애의 개념
2. 학습장애의 원인
3. 학습장애의 특징
4. 학습장애의 교정전략
〔참고문헌〕
Ⅰ-1. 이해력 결핍의 개념
2. 이해력 결핍의 원인
3. 이해력 결핍의 특징
Ⅱ-1. 학습장애의 개념
2. 학습장애의 원인
3. 학습장애의 특징
4. 학습장애의 교정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④일반화단계: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그 기능이나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전이시킬 수 있다.
⑤적용단계: 여기서는 기능이나 지식이 학생의 표준적 행동목록의 일부가 된다.
C. 교정 프로그램
1. 읽기
(1) 근육운동지각법(kinesthetic method)
알고 있는 단어를 말함→ 그 모양을 추적함→ 기억한다→ 기록한다→ 모델과 비교
*이 방법에서의 유의할 점
①학생이 단어학습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한다.
②근육운동지각을 활용하도록 한다.
③시각변별과 인식을 개선한다.
④단어에 대한 시기억 용량을 증가시킨다.
⑤들은 단어를 쓰여진 단어와 연결짓는 과정을 향상시킨다.
⑥시각적 형태에 대한 시기억을 향샹시킨다.
(2) 필기-음성법(grapho-vocal method)
단 하나의 새로운 음이 수업에 도입→ 새로운 음의 여러 상황에서의 반복 학습→ 촉구와 확인→ 한 개 반응만 가르침→ 강화(칭찬)
경도 정신지체 아동에게 적용하여 성공한 프로그램으로서 음혼합과 근육운동지각을 강조.
(3) 시각-청각-근육운동 지각법(VAK; visual-auditory-kinesthetic method)
문자의 이름을 들려준다→ 음을 들려준다→ 아동이 음을 말한다→ 그 모양을 추적한다 → 기억한다→ 쓴다→ 몇 개의 자음과 모음을 배운다→ 단어를 만든다
아동이 3개의 문자로 된 단어를 발음하고, 쓰고, 읽기를 학습한 다음에는 이러한 단어들이 들어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아동에게 소리내지 않고 읽게 하고 그 다음에 소리를 내며 읽게한다.
(4) 다감각 접근법 (multisensory approach)
문자 또는 단어음을 듣는다→ 카드 위의 문자나 단어를 본다→ 팔을 흔들어 추적한다
시각, 청각, 근육운동지각, 촉각을 다 사용하는 방법이며 촉각과 근육운동지각을 위하여 모래상자, 양각 및 음각 문자 샌드페퍼를 사용한다.
2. 쓰기
*Kirk & Chalfant의 단계법
①문자를 읽기 쉽게 쓸 수 있도록 학습목적을 아동과 함께 설정한다.
②아동의 주의를 집중시킨 뒤 그 아동이 그 문자의 필순과 모양을 관찰하는 동안 가르칠 문 자를 쓴다.
③ㄱ자를 쓰면서 “이것은 ㄱ이다”라고 그 문자의 이름을 말하고 아동이 그 이름을 반복하도록 요구한다. 아동이 문자의 이름을 반복해서 말하면, “잘했다.\"라고 말하여 확인시킨다.
④그 문자를 다시 쓰고 그 단어의 쓰기에 대해 이야기해 준다. “잘 봐라. 여기에서 시작해서 이렇게 그 문자 를 쓴다.”
⑤아동이 집게
④일반화단계: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그 기능이나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전이시킬 수 있다.
⑤적용단계: 여기서는 기능이나 지식이 학생의 표준적 행동목록의 일부가 된다.
C. 교정 프로그램
1. 읽기
(1) 근육운동지각법(kinesthetic method)
알고 있는 단어를 말함→ 그 모양을 추적함→ 기억한다→ 기록한다→ 모델과 비교
*이 방법에서의 유의할 점
①학생이 단어학습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한다.
②근육운동지각을 활용하도록 한다.
③시각변별과 인식을 개선한다.
④단어에 대한 시기억 용량을 증가시킨다.
⑤들은 단어를 쓰여진 단어와 연결짓는 과정을 향상시킨다.
⑥시각적 형태에 대한 시기억을 향샹시킨다.
(2) 필기-음성법(grapho-vocal method)
단 하나의 새로운 음이 수업에 도입→ 새로운 음의 여러 상황에서의 반복 학습→ 촉구와 확인→ 한 개 반응만 가르침→ 강화(칭찬)
경도 정신지체 아동에게 적용하여 성공한 프로그램으로서 음혼합과 근육운동지각을 강조.
(3) 시각-청각-근육운동 지각법(VAK; visual-auditory-kinesthetic method)
문자의 이름을 들려준다→ 음을 들려준다→ 아동이 음을 말한다→ 그 모양을 추적한다 → 기억한다→ 쓴다→ 몇 개의 자음과 모음을 배운다→ 단어를 만든다
아동이 3개의 문자로 된 단어를 발음하고, 쓰고, 읽기를 학습한 다음에는 이러한 단어들이 들어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아동에게 소리내지 않고 읽게 하고 그 다음에 소리를 내며 읽게한다.
(4) 다감각 접근법 (multisensory approach)
문자 또는 단어음을 듣는다→ 카드 위의 문자나 단어를 본다→ 팔을 흔들어 추적한다
시각, 청각, 근육운동지각, 촉각을 다 사용하는 방법이며 촉각과 근육운동지각을 위하여 모래상자, 양각 및 음각 문자 샌드페퍼를 사용한다.
2. 쓰기
*Kirk & Chalfant의 단계법
①문자를 읽기 쉽게 쓸 수 있도록 학습목적을 아동과 함께 설정한다.
②아동의 주의를 집중시킨 뒤 그 아동이 그 문자의 필순과 모양을 관찰하는 동안 가르칠 문 자를 쓴다.
③ㄱ자를 쓰면서 “이것은 ㄱ이다”라고 그 문자의 이름을 말하고 아동이 그 이름을 반복하도록 요구한다. 아동이 문자의 이름을 반복해서 말하면, “잘했다.\"라고 말하여 확인시킨다.
④그 문자를 다시 쓰고 그 단어의 쓰기에 대해 이야기해 준다. “잘 봐라. 여기에서 시작해서 이렇게 그 문자 를 쓴다.”
⑤아동이 집게
추천자료
학습장애- 수학 학습 장애
[특수교육][장애인교육][장애아교육]장애아동(특수아동)의 의미와 교육권, 정신지체아동의 교...
장애아동학습계획안.장애아동교육지도안,종이로 만들어진 물체 알아보기 교수학습과정안
학습장애(학습능력을 습득하는 데 나타나는 장애)
학습장애의 정의, 유래, 원인, 교육 학습 장애아동 교육 문제점, 교육의 대응방안, 전략, 특...
학습장애아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학습장애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학습장애 아동의 특징과 관리(학습장애의 정의와 분류, 학습장애의 ...
정서 장애 아동·학습 장애 아동·ADHD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5.6학년 학습장애 아동...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 학습장애의 정의와 발생원...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s) - 학습장애의 개념...
학습장애교육(학습장애의 통합기, 현대기)
[학습장애와 학습부진]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의 정의(개념)와 진단기준
학습장애 아동의 특징 및 지도(치료)방법, 잠재적 학습장애 아동의 행동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