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철정련실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철정련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변태 구간에서 승온시 LVDT가 감소하고 냉각시 LVDT가 증가하는 이유?

2. 1) 냉각시 γ영역 선팽창 계수와 α영역 선팽창 계수 선형회귀식 구하


3 Report 2를 이용하여 변태분율 구하기.

4. TTT diagram 보다 CCT diagram이 변태개시, 완료가 늦어지고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이유?

5. TTT diagram에서 nose가 나타나는 이유?

본문내용

선을 비교해 보면 CCT선도는 TTT선도보다 낮은 온도와 장시간쪽으로 이동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일정 온도에 유지시킨 시편에서는 변태된 양Nt 값이 어떤 값a에 도달할 때에만 변태가 시작한다. 연속 냉각되는 시편에서는 냉각 초기의 시간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냉각 초기에는 과냉도가 작아 N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속냉각시 냉각곡선이 TTT선도의 변태 개시를 나타내는 선에 도달해도 Nt의 전체값은 a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CCT선도의 변태 시작을 나타내는 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변태의 종료를 나타내는 선도 더 낮은 온도쪽으로, 또 시간이 더 긴 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5. TTT diagram에서 nose가 나타나는 이유?
등온 상변태시 상변태의 진행은 변태 분율(f)을 시간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하다. (TTT곡선) 변태분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핵생성속도, 성장속도, 핵생성 자리의 밀도와 분포, 인접한 지역에서의 변태에 의한 확산 영역의 겹침, 변태된 상 사이의 충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 중 몇 가지를 살펴보자.
변태온도로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2.1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