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찬성론
1) 생식의 자유
2) 사회적 효용성
3) 생명공학적 측면
4) 종교적 입장
2. 반대론
1) 인간존엄성의 침해
2) 가족관계와 성역할의 훼손
3) 유전자조작과 오남용
4) 상업적 이용
5) 종교적 입장
1) 생식의 자유
2) 사회적 효용성
3) 생명공학적 측면
4) 종교적 입장
2. 반대론
1) 인간존엄성의 침해
2) 가족관계와 성역할의 훼손
3) 유전자조작과 오남용
4) 상업적 이용
5) 종교적 입장
본문내용
한 배의 상품 목록이 시장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인간 복제는 정부나 다른 집단에 의해 비도덕적착취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복제에 대한 공공 정책이 어떤 식으로 수립되든 상관없이, 복제되었든 아니든 배의 시장에 반대하는 이 도덕적 합의는 법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인간 복제를 반대하는 쪽과 지지하는 쪽 둘 다 복제된 배를 매매하는 행위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5) 종교적 입장
불교와 개신교신학자들에 있어서 복제는 그 교리의 해석에 따라 동일 종교 내에서도 찬반양론이 나누어지며 가톨릭과 불교, 개신교에서의 인간복제 반대하는 논거는 종교적 견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 가톨릭의 입장
가톨릭 윤리신학은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13세기에 발전한 자연법 이론에 그 근거를 둔다. 아퀴나스의 기본생각은 우주가 목적론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우주는 그 안에 있는 모든 개체가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인간복제가 반대되는 이유는 첫째, 하느님께서 인간생명의 주인인데 인간스스로 복제를 통해 인간을 창조하려는 것은 하느님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다. 둘째, 인간의 존엄성측면에서도 인간복제는 생물학적 측면이나 인격체측면에서 인간생식의 기원에 있는 구조적인 상관성과 상호보완성을 근본적으로 조작당하고 프로그래밍 됨으로써 인간의 근본개념을 변화시킨다. 또한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기본인권의 차원을 전적으로 위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치료복제와 장기공급수단으로 하는 것은 발상자체가 인간을 도구화하는 일이며 인간존엄성 자체를 거부하는 행위이다. 셋째,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것으로 인간복제기술은 분할방법이건 복제방법이건 인간으로서의 규칙적 특성을 온전하게 포함하고 있는 인간배아를 만들어내는 것이고 이렇게 만들어진 인간배아는 소모품으로 전락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인간은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받아야 한다는 가톨릭윤리사상에 의하면 인간생명의 시점이 수정순간이므로 배아연구와 폐기, 인간복제는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인간이 개입하는 것으로 부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복제를 윤리신학적 입장에서 보면 인간은 그 자체로서 목적이지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인간배아복제, 인간개체복제 모두 인간이기 때문에 상품처럼 취급되어서는 안되며 인위적 생식의 개입도 부정된다. 인간의 생명을 위한다는 구실로 배아가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 인간 생명의 시작은 수정순간부터이며 인격체인지 아닌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2) 개신교의 입장
인간복제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종교적 문제는 유전공학기술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이에 대한 견해는 개신교 내에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부정적 견해는 폴 램지(Paul Ramsey), 칼 라너(karl Rahner), 리처드 맥코믹(Richard McCormick)등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 폴 램지는 유전공학을 매우 반대하는 입장으로 인간의 자유는 자신들의 힘으로 인류를 구원하여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에서 해방되는 것으로 램지에 의하면 유전자조작기술은 인간실존에서 질병과 죽음을 제거함으로써 창조주에 도전하려는 프로메테우스적인 시도이다. 맥코믹 등은 인간이 하느님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playing God)는 경고를 통해서 인간복제를 반대한다. 임성빈은 하느님께서 자신의 형상을 이 지상에서 복수 적으로 실현하시려는 방법으로 처음부터 유성생식이라는 방법을 설정하여 부모나 형제의 형질과 다른 형질의 인간이 태어나도록 설정한 것은 공간 속에서의 다양성(diversity)과 시간 속에서의 역사의 갱신(renewal)때문이다. 그러나 인간복제는 시간과 역사 속에서의 하느님의 섭리적 자유에 반기를 드는 반 신앙적 행위이므로 반대한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현대기독교의 입장은 일반적으로 자연세계에 관한 한 성경의 권위를 포기함으로써 갈등을 피하거나 과학적 발견들을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통합을 시도하는 입장과 창조는 과학으로 입증되는 반면 다윈주의의 가설들은 실증과학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근본주의의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주의의 입장도 과학전반에 대한 적대감이 아니라 인류의 기원에 관해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사회적 도덕적 신학적 의미 때문에 잘못된 과학이라고 공격한다.
이처럼 개신교의 입장은 다양한 종파와 개신교 신학자의 교리 해석과 견해에 따라 그 입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3) 불교의 입장
인간복제는 불교에서 보면 윤회설을 토대로 이해될 수 있다는 입장과 윤회설에 도전한다는 측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불교의 윤회설은 윤회로의 지향이 아니라 윤회로부터의 탈피가 목적이다. 즉 불교에서의 윤회는 추구의 대상이 아니라 파기의 대상이다. 따라서 불교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복제의 부정은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비윤리성이나 예상되는 사회적 해악 때문이 아니라 인간복제가 윤회의 양산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고 그 결과 업의 생성을 초래할 뿐이다. 따라서 복제를 추구하는 인간의 속성과 욕구가 경계되어야할 부분이다.
또한 부처님은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 하여 모든 생명의 평등을 말씀하셨고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하여 이 우주의 모든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했다.
생명 있는 자는 죽기를 제일 싫어한다. 남을 죽이는 목적은 자기가 살기 위한 것이다. 자기 삶의 욕심을 실현하기 위하여 타를 살해한다. 죽기 싫어하고 생명훼손을 싫어하는 존재가 죽음과 훼손을 당했을 때 원한이 생기게되고 , 그 사무친 원한이 또 다른 업을 자칭하게 될 것이다. 불교의 계율가운데 불살생이 제 1급계이다.배아를 폐기하거나 손상하는 것은 업을 만드는 것이므로 피해야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생명의 가치는 밖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복제된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아니면 제 삼자가 복제 인간을 도덕적으로 무가치하다거나 무의미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복제된 인간이나 복제를 하는 인간도 그 자신의 미래는 자기가 쌓은 업에 의해서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 윤용택, 불교적 관점에서 바라 본 유전공학, 동국대 석림, 31, 1997.11, p43
으로 복제인간의 존엄성은 훼손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5) 종교적 입장
불교와 개신교신학자들에 있어서 복제는 그 교리의 해석에 따라 동일 종교 내에서도 찬반양론이 나누어지며 가톨릭과 불교, 개신교에서의 인간복제 반대하는 논거는 종교적 견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 가톨릭의 입장
가톨릭 윤리신학은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13세기에 발전한 자연법 이론에 그 근거를 둔다. 아퀴나스의 기본생각은 우주가 목적론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우주는 그 안에 있는 모든 개체가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인간복제가 반대되는 이유는 첫째, 하느님께서 인간생명의 주인인데 인간스스로 복제를 통해 인간을 창조하려는 것은 하느님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다. 둘째, 인간의 존엄성측면에서도 인간복제는 생물학적 측면이나 인격체측면에서 인간생식의 기원에 있는 구조적인 상관성과 상호보완성을 근본적으로 조작당하고 프로그래밍 됨으로써 인간의 근본개념을 변화시킨다. 또한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기본인권의 차원을 전적으로 위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치료복제와 장기공급수단으로 하는 것은 발상자체가 인간을 도구화하는 일이며 인간존엄성 자체를 거부하는 행위이다. 셋째,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것으로 인간복제기술은 분할방법이건 복제방법이건 인간으로서의 규칙적 특성을 온전하게 포함하고 있는 인간배아를 만들어내는 것이고 이렇게 만들어진 인간배아는 소모품으로 전락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인간은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받아야 한다는 가톨릭윤리사상에 의하면 인간생명의 시점이 수정순간이므로 배아연구와 폐기, 인간복제는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인간이 개입하는 것으로 부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복제를 윤리신학적 입장에서 보면 인간은 그 자체로서 목적이지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인간배아복제, 인간개체복제 모두 인간이기 때문에 상품처럼 취급되어서는 안되며 인위적 생식의 개입도 부정된다. 인간의 생명을 위한다는 구실로 배아가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 인간 생명의 시작은 수정순간부터이며 인격체인지 아닌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2) 개신교의 입장
인간복제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종교적 문제는 유전공학기술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이에 대한 견해는 개신교 내에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부정적 견해는 폴 램지(Paul Ramsey), 칼 라너(karl Rahner), 리처드 맥코믹(Richard McCormick)등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 폴 램지는 유전공학을 매우 반대하는 입장으로 인간의 자유는 자신들의 힘으로 인류를 구원하여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에서 해방되는 것으로 램지에 의하면 유전자조작기술은 인간실존에서 질병과 죽음을 제거함으로써 창조주에 도전하려는 프로메테우스적인 시도이다. 맥코믹 등은 인간이 하느님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playing God)는 경고를 통해서 인간복제를 반대한다. 임성빈은 하느님께서 자신의 형상을 이 지상에서 복수 적으로 실현하시려는 방법으로 처음부터 유성생식이라는 방법을 설정하여 부모나 형제의 형질과 다른 형질의 인간이 태어나도록 설정한 것은 공간 속에서의 다양성(diversity)과 시간 속에서의 역사의 갱신(renewal)때문이다. 그러나 인간복제는 시간과 역사 속에서의 하느님의 섭리적 자유에 반기를 드는 반 신앙적 행위이므로 반대한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현대기독교의 입장은 일반적으로 자연세계에 관한 한 성경의 권위를 포기함으로써 갈등을 피하거나 과학적 발견들을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통합을 시도하는 입장과 창조는 과학으로 입증되는 반면 다윈주의의 가설들은 실증과학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근본주의의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주의의 입장도 과학전반에 대한 적대감이 아니라 인류의 기원에 관해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사회적 도덕적 신학적 의미 때문에 잘못된 과학이라고 공격한다.
이처럼 개신교의 입장은 다양한 종파와 개신교 신학자의 교리 해석과 견해에 따라 그 입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3) 불교의 입장
인간복제는 불교에서 보면 윤회설을 토대로 이해될 수 있다는 입장과 윤회설에 도전한다는 측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불교의 윤회설은 윤회로의 지향이 아니라 윤회로부터의 탈피가 목적이다. 즉 불교에서의 윤회는 추구의 대상이 아니라 파기의 대상이다. 따라서 불교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복제의 부정은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비윤리성이나 예상되는 사회적 해악 때문이 아니라 인간복제가 윤회의 양산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고 그 결과 업의 생성을 초래할 뿐이다. 따라서 복제를 추구하는 인간의 속성과 욕구가 경계되어야할 부분이다.
또한 부처님은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 하여 모든 생명의 평등을 말씀하셨고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하여 이 우주의 모든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했다.
생명 있는 자는 죽기를 제일 싫어한다. 남을 죽이는 목적은 자기가 살기 위한 것이다. 자기 삶의 욕심을 실현하기 위하여 타를 살해한다. 죽기 싫어하고 생명훼손을 싫어하는 존재가 죽음과 훼손을 당했을 때 원한이 생기게되고 , 그 사무친 원한이 또 다른 업을 자칭하게 될 것이다. 불교의 계율가운데 불살생이 제 1급계이다.배아를 폐기하거나 손상하는 것은 업을 만드는 것이므로 피해야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생명의 가치는 밖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복제된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아니면 제 삼자가 복제 인간을 도덕적으로 무가치하다거나 무의미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복제된 인간이나 복제를 하는 인간도 그 자신의 미래는 자기가 쌓은 업에 의해서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 윤용택, 불교적 관점에서 바라 본 유전공학, 동국대 석림, 31, 1997.11, p43
으로 복제인간의 존엄성은 훼손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추천자료
인간 복제에 대한 윤리적 이해
영화 <아일랜드>와 인간 복제
인간 복제에 대하여
황우석 교수의 인간 배아복제연구의 사회, 윤리, 특허권에 관한 고찰 및 해결방안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한 개인적 논의
인간 복제와 생명윤리법에 대한 고찰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개념, 장점,단점, 다양한 시각
황우석 박사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연구의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생명과 환경)
2005년 황우석 박사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사건에 대한 문제점 논의(생명과환경 공통)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그리고 2005년 황우석 교수를 둘러싸고 일어난 사태에 대한 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과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에 대한 나의 생각(생명과 환경)
인간복제에 대하여
과학 기술과 윤리 - 복제 인간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