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실험목표
나. 실험장비
다. 기본이론
라. 실험과정
마. 고찰
나. 실험장비
다. 기본이론
라. 실험과정
마. 고찰
본문내용
공통 클럭에 의해 트리거될 때, 래치의 출력이 직접적으로나 조합논리를 지나서나 자신 또는 다른 래치들의 입력이 될 수 없다.
플립플롭 회로는 공통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순차회로의 일부로서 순차회로가 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클럭 펄스가 1에 있는 동안 입력의 변화를 출력이 따라가는 래치의 문제점 때문에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클럭 펄스가 1에 있는 동안 D 래치는 입력의 변화에 응답하여 출력이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열쇠는 신호가 전이하는 순간에만 플립플롭을 트리거하는 것이다. 클럭 펄스는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의 두 가지 전이상태를 가진다. 위에서 설명한 래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플립플롭을 설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입력이 변하는 동안에 이 변화에 대한 영향이 출력에 미치지 않도록 2개의 래치를 배치하여 플립플롭을 만드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은 단지 신호 전이에 대해서만 트리거하게 되고, 나머지 펄스 구간에서는 동작이 정지하는 플립플롭을 만드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순차회로에 대한 특성을 알 수 있었고, D 래치와 플립플롭에 대한 특성을 알아 볼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플립플롭 회로는 공통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순차회로의 일부로서 순차회로가 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클럭 펄스가 1에 있는 동안 입력의 변화를 출력이 따라가는 래치의 문제점 때문에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클럭 펄스가 1에 있는 동안 D 래치는 입력의 변화에 응답하여 출력이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열쇠는 신호가 전이하는 순간에만 플립플롭을 트리거하는 것이다. 클럭 펄스는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의 두 가지 전이상태를 가진다. 위에서 설명한 래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플립플롭을 설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입력이 변하는 동안에 이 변화에 대한 영향이 출력에 미치지 않도록 2개의 래치를 배치하여 플립플롭을 만드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은 단지 신호 전이에 대해서만 트리거하게 되고, 나머지 펄스 구간에서는 동작이 정지하는 플립플롭을 만드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순차회로에 대한 특성을 알 수 있었고, D 래치와 플립플롭에 대한 특성을 알아 볼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추천자료
[공과대]-마이크로 프로세스의 구성요소,레지스터,외부 핀기능
정보처리기능사 시험 핵심요약
modulo-6 카운터 프로젝트
Ch9. RS 래치와 D 래치<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예비보고서 - Up Down 카운터
[A+ 결과] 논리회로 실험 Shift Register & Ring Counter&COUNTER [사진 및 파형 모...
555 IC Timer 회로
디지털 시스템 및 실험-Multivibrator
카운터 예비보고서
자동화설계_자동화예제
동기식 카운터 예비보고서
디지털설계 실험 2_08 : T-FF을 이용한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 설계
논리회로설계 - 자판기 설계에 대해
003-1시프트레지스터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