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 목 차 >
1. 란다의 순차식-발견식(algorithmic-heuristic) 교수이론
2. 콜린스-스티븐스의 탐구식 교수모형
3. 메릴의 내용요소제시이론
4.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
5. 스캔두라의 구조적 학습원리에 기초한 교수이론
6. 딕과 캐리의 수업과정모형
7. 겔락크와 엘리의 체계적 수업모형
8. 켈러의 학습동기화 교수모형 (ARCS 모형)
9. 라스의 가치명료화 수업모형
10. 협동학습모형
1. 란다의 순차식-발견식(algorithmic-heuristic) 교수이론
2. 콜린스-스티븐스의 탐구식 교수모형
3. 메릴의 내용요소제시이론
4.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교수이론
5. 스캔두라의 구조적 학습원리에 기초한 교수이론
6. 딕과 캐리의 수업과정모형
7. 겔락크와 엘리의 체계적 수업모형
8. 켈러의 학습동기화 교수모형 (ARCS 모형)
9. 라스의 가치명료화 수업모형
10. 협동학습모형
본문내용
이 있기 때문이다. 2장을 주게 되면 대개 짝을 지어서 학습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은 학습과제지를 1장만 주고, 한 학습자가 과제를 읽고 모두 그 과제를 해결한 다음에 구성원 모두가 똑같은 답을 얻었는지 확인한 다음, 답을 기록한다. 만약 얻은 답이 다르다면 토론을 통해 모두 통일된 답을 얻어야 한다. 그런 후 다음 과제를 또 다른 학습자가 읽고 같은 방식으로 과제를 모두 해결한 후에 교사로부터 정답지를 얻어 결과를 확인하고, 왜 정답이 맞았는지 또는 틀렸는지를 서로 토론하여 과제를 익힌다.
소집단 활동이 끝난 후 교사는 각 소집단 구성원에게 이번 소집단 활동을 반성하고 다음 활동에서 우리 소집단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자가 소집단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한 가지씩 적게 하여 소집단 활동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3) 평가(test)
단원수업이 끝나고 적절한 준비시간을 준 뒤에 개인별로 퀴즈를 치르게 된다. 평가 시간은 충분히 할애해 주는 것이 좋다. 퀴즈는 소집단 구성원끼리 서로 도와줄 수 없다. 퀴즈를 치른 후에는 짝과 답안지를 서로 교환하여 채점을 한 다음, 다시 교사가 회수한다. STAD모형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점수 계산에 있다. 일단 퀴즈를 치른 것으로 수업은 끝나지만 교사는 그 퀴즈점수를 수합해서 소집단점수를 계산한다. 소집단점수는 그 구성원의 향상점수의 산술평균이 된다. 즉 각 구성원은 이전에 치른 퀴즈점수의 평균인 기본점수를 가지고 있다. 기본점수는 이전에 치른 여러 번의 퀴즈점수의 평균을 말한다. 만약 STAD를 처음 하는 경우에도 각 학생의 과거 성적점수 등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점수를 설정하면 된다. 이 기본점수에 대해서 이번 수업의 퀴즈점수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가에 따라 부여되는 점수가 각 개인의 향상점수이다. 그리고 소집단점수는 바로 개인의 향상점수의 총합에 소집단 구성원수를 나눈 것이다.
소집단점수가 향상점수에 의해 계산되고, 향상점수의 기준이 어떠한지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사전에 충분히 알려주어야 한다. 향상점수의 기준은 교사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대부분 학습자가 향상점수는 얻을 수 있도록 후하게 기준을 만드는 것이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교사는 퀴즈점수를 곧 기본점수와 합한 평균을 내어 다음의 기본점수로 활용하도록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물론 퀴즈점수를 그대로 다음의 기본점수로 활용할 수 있으나 이는 너무 기복이 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존의 누적된 기본점수와 퀴즈점수를 합한 것의 평균이 그 학습자의 능력을 정확히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향상점수를 한꺼번에 많이 얻기 위해 허위로 답안을 작성하는 행위를 막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점수체제는 과거의 최저점수에서 그 점수를 넘어서려는 노력을 유도하게
한다. 이는 모든 학습자가 보상의 기회를 동일하게 갖게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과의 경쟁을 하게 함으로써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얻게 하는 체제이다(Slavin, 1988).
(4) 소집단 점수의 게시와 보상(team recognition)
한 단원의 수업이 끝났을 때 최대한 빨리 점수를 발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상을 주게 되는데 하나는 소집단에 대한 보상이고, 또 하나는 소집단 점수를 게시판에 공고하는 일이다. 소집단에 대한 시상은 보통 일정 기준을 넘은 소집단에게는 칭호를 주거나, 칭찬을 해 주거나, 스티카를 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능한 많은 소집단을 시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집단 점수가 25점 이상이면 \'으뜸조\', 20점 이상이면 \'버금조\', 15점 이상이면 \'장려조\' 등의 칭호를 줄 수 있다. 소집단 칭호는 그때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표현으로 다양하게 교사가 정해 줄 수 있으며, 점수기준도 교사가 적당히 정해서 소집단간의 경쟁을 유도하되, 절대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상과 칭찬 외에도 게시판이나 학급신문 등을 이용해서 대개 일주일 단위로 게시판에 퀴즈 결과와 우수한 소집단에 대한 내용을 공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고문에는 각 소집단의 활약상과 수업에 대한 반성과 여러 가지 조언이나 칭찬을 부과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4) 팀경쟁학습모형 (TGT: Teams Games Tournaments) - 토너먼트 게임식 팀학습
- 팀경쟁학습모형은 1973년 데브리스와 에드워스(Devries & Edwards)가 개발한 협동학습모형이다. 여기에서는 성취과제 분담학습모형(STAD)과 마찬가지로 팀, 수업방식, 연습문제지, 소집단활동 등을 이용한 협동학습형태인데, 특히 우수한 팀을 인정한다는 점이 여느 모형과 다르다.
팀경쟁학습모형의 특징은 ① 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② 집단간의 토너먼트 게임은 개별적 학습성취를 나타내는 게임이며, ③ 매주 최우수팀이 선정된다. ④ 팀경쟁학습은 주로 초중고등학교의 수학과목에 적용되며, 협동학습의 형태는 공동작업구조이며, 보상구조는 ‘집단내 협동’과 ‘집단의 경쟁’ 구조이다.
팀경쟁학습모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실천되게 된다.
(1) 교사의 수업 안내(class presentation of the lesson)
이 단계는 STAD와 똑같다.
(2) 소집단 학습(team study)
이 단계도 STAD와 같다.
(3) 토너먼트 게임(tournaments game)
소집단활동을 통해 게임에 임할 준비가 다 되었으면 팀경쟁학습의 가장 독특한 특징인 ‘토너먼트 게임’에 들어가게 된다.
■ 게임을 위한 교사의 준비
▷ 문제 카드 및 정답지를 준비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배운 단원의 범위 내에서 학습 목표에 관련된 퀴즈 문제들을 준비하여야 한다. 보통 4명이 한 테이블에서 게임을 하게 되므로 4의 배수에 해당되는 수만큼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24개의 문제를 만들었다면 24개의 카드(카드의 크기는 트럼프 카드의 정도면 적당하다)에 앞면은 1번에서 24번까지의 번호를 적고, 뒷면에 문제를 적어서 준비한다. 그리고 그에 해당하는 정답지도 만드는데 이것은 필요한 문제의 답만 들쳐 볼 수 있도록 포스트
소집단 활동이 끝난 후 교사는 각 소집단 구성원에게 이번 소집단 활동을 반성하고 다음 활동에서 우리 소집단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자가 소집단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한 가지씩 적게 하여 소집단 활동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3) 평가(test)
단원수업이 끝나고 적절한 준비시간을 준 뒤에 개인별로 퀴즈를 치르게 된다. 평가 시간은 충분히 할애해 주는 것이 좋다. 퀴즈는 소집단 구성원끼리 서로 도와줄 수 없다. 퀴즈를 치른 후에는 짝과 답안지를 서로 교환하여 채점을 한 다음, 다시 교사가 회수한다. STAD모형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점수 계산에 있다. 일단 퀴즈를 치른 것으로 수업은 끝나지만 교사는 그 퀴즈점수를 수합해서 소집단점수를 계산한다. 소집단점수는 그 구성원의 향상점수의 산술평균이 된다. 즉 각 구성원은 이전에 치른 퀴즈점수의 평균인 기본점수를 가지고 있다. 기본점수는 이전에 치른 여러 번의 퀴즈점수의 평균을 말한다. 만약 STAD를 처음 하는 경우에도 각 학생의 과거 성적점수 등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점수를 설정하면 된다. 이 기본점수에 대해서 이번 수업의 퀴즈점수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가에 따라 부여되는 점수가 각 개인의 향상점수이다. 그리고 소집단점수는 바로 개인의 향상점수의 총합에 소집단 구성원수를 나눈 것이다.
소집단점수가 향상점수에 의해 계산되고, 향상점수의 기준이 어떠한지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사전에 충분히 알려주어야 한다. 향상점수의 기준은 교사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대부분 학습자가 향상점수는 얻을 수 있도록 후하게 기준을 만드는 것이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교사는 퀴즈점수를 곧 기본점수와 합한 평균을 내어 다음의 기본점수로 활용하도록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물론 퀴즈점수를 그대로 다음의 기본점수로 활용할 수 있으나 이는 너무 기복이 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존의 누적된 기본점수와 퀴즈점수를 합한 것의 평균이 그 학습자의 능력을 정확히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향상점수를 한꺼번에 많이 얻기 위해 허위로 답안을 작성하는 행위를 막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점수체제는 과거의 최저점수에서 그 점수를 넘어서려는 노력을 유도하게
한다. 이는 모든 학습자가 보상의 기회를 동일하게 갖게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과의 경쟁을 하게 함으로써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얻게 하는 체제이다(Slavin, 1988).
(4) 소집단 점수의 게시와 보상(team recognition)
한 단원의 수업이 끝났을 때 최대한 빨리 점수를 발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상을 주게 되는데 하나는 소집단에 대한 보상이고, 또 하나는 소집단 점수를 게시판에 공고하는 일이다. 소집단에 대한 시상은 보통 일정 기준을 넘은 소집단에게는 칭호를 주거나, 칭찬을 해 주거나, 스티카를 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능한 많은 소집단을 시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집단 점수가 25점 이상이면 \'으뜸조\', 20점 이상이면 \'버금조\', 15점 이상이면 \'장려조\' 등의 칭호를 줄 수 있다. 소집단 칭호는 그때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표현으로 다양하게 교사가 정해 줄 수 있으며, 점수기준도 교사가 적당히 정해서 소집단간의 경쟁을 유도하되, 절대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상과 칭찬 외에도 게시판이나 학급신문 등을 이용해서 대개 일주일 단위로 게시판에 퀴즈 결과와 우수한 소집단에 대한 내용을 공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고문에는 각 소집단의 활약상과 수업에 대한 반성과 여러 가지 조언이나 칭찬을 부과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4) 팀경쟁학습모형 (TGT: Teams Games Tournaments) - 토너먼트 게임식 팀학습
- 팀경쟁학습모형은 1973년 데브리스와 에드워스(Devries & Edwards)가 개발한 협동학습모형이다. 여기에서는 성취과제 분담학습모형(STAD)과 마찬가지로 팀, 수업방식, 연습문제지, 소집단활동 등을 이용한 협동학습형태인데, 특히 우수한 팀을 인정한다는 점이 여느 모형과 다르다.
팀경쟁학습모형의 특징은 ① 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② 집단간의 토너먼트 게임은 개별적 학습성취를 나타내는 게임이며, ③ 매주 최우수팀이 선정된다. ④ 팀경쟁학습은 주로 초중고등학교의 수학과목에 적용되며, 협동학습의 형태는 공동작업구조이며, 보상구조는 ‘집단내 협동’과 ‘집단의 경쟁’ 구조이다.
팀경쟁학습모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실천되게 된다.
(1) 교사의 수업 안내(class presentation of the lesson)
이 단계는 STAD와 똑같다.
(2) 소집단 학습(team study)
이 단계도 STAD와 같다.
(3) 토너먼트 게임(tournaments game)
소집단활동을 통해 게임에 임할 준비가 다 되었으면 팀경쟁학습의 가장 독특한 특징인 ‘토너먼트 게임’에 들어가게 된다.
■ 게임을 위한 교사의 준비
▷ 문제 카드 및 정답지를 준비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배운 단원의 범위 내에서 학습 목표에 관련된 퀴즈 문제들을 준비하여야 한다. 보통 4명이 한 테이블에서 게임을 하게 되므로 4의 배수에 해당되는 수만큼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24개의 문제를 만들었다면 24개의 카드(카드의 크기는 트럼프 카드의 정도면 적당하다)에 앞면은 1번에서 24번까지의 번호를 적고, 뒷면에 문제를 적어서 준비한다. 그리고 그에 해당하는 정답지도 만드는데 이것은 필요한 문제의 답만 들쳐 볼 수 있도록 포스트
추천자료
최신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의 개념
교수이론- 과제집중시간 증대방안 ( 논문양식 )
교수학습이론의관점(행동주의,인지주의,구성주의)
대표적교수설계이론(가네,뢰이겔루스,켈러)
[교수이론] 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과 컴퓨터교육
교수설계이론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이론의 특징
2007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A형(파블로브와 스키너의 학습이론 비교)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B형(사회학습이론에 대하여)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A형(파블로브와 스키너의 학습이론 비교)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와 교수학습이론 - 조작적 조건화 이론 의 개관, 적용, 평가 및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