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시와 리얼리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술시와 리얼리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술시와 리얼리즘의 관계
1.1 서술시
1.2 리얼리즘
1.3 서술시와 리얼리즘

2. 현실 반영, 전형 창조와 총체상 구현: 이시영「후꾸도」, 곽재구,「오억만-구시포에서」

3. 마치면서

본문내용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는 나름의 진솔함을 전달하는 여러 장치를 취하고 있다. 수미상관의 반복, 아련한 추억 속에서 선명하게 되살아나는 여러 기억들을 반복함으로써, 한 인물의 형상과 그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화자보다 약간 나이가 들었으리라고 추정되는 후꾸도의 모습이 마치 그림처럼 재현되고 있다. 아울러 장년이 된 화자의 판단 유보적인 어법도 중요한 시적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몰라’라는 설의적 어법에 담긴 화자의 판단 유보는 결코 화자의 뜻대로 읽히지 않았다. 오히려 분명한 상황을 강조하는 어법으로 읽혔다. 장사도 잘되지 않으며, 분명히 후꾸도임에 틀림없다. 물론 천자문도 다 외우지 못했을 것이다. 또 후꾸도는 화자를 알아보고, 자꾸 한눈을 파는 척하고 있다. 이런 시적 어법이 이 시의 내용을 더욱 사실적으로 느끼게 한다. 근대화의 도정에서 우리 민중들의 삶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에 ‘언뜻 다가서려’는 우리의 현재 모습을 보여주는 듯하다. 그러나 우리는 이제 시적 화자와 똑같이 그곳에 다가가지 못한다. 다시 갈 수 없기에 먼발치에서 옛 추억을 그리듯이 바라만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같은 시집에 실린 「정님이」라는 시도 역시 이런 시적 성취와 표현 기법을 보이고 있다. 장년이 된 시적 화자는 용산의 사창가에서 만난 윤락녀의 모습에서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누나를 만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우리 민중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처럼 서술시를 통한 리얼리즘의 실현은 과거와 현재의 교직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리얼리즘이라는 무거운 짐 때문에 서술시는 이처럼 우리가 처한 현실의 과제를 큰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 특히 1990년대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 이후에는 리얼리즘이라는 짐은 더욱 무거워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리얼리즘의 포기 선언이나 서술시를 포기하고 단형 서정시나 연시로 회귀하는 경향이 그 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술시는 현재의 삶과 그 삶이 보여주는 사실적인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여전히 리얼리즘의 실현을 위해 서술시는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야기나 사건을 내용으로 하는 서술시는 독자에게 쉽게 읽힌다는 장점이 있다. 어렵게 표현하기 경쟁을 하는 난해시가 독자들을 혼란시키는 것과는 다른 효과를 지닌다.
염전 억만이네 각시 간밤에 도망갔다
인천 어느 술집서 눈맞아 고향 돌아올 때
살양말에 메니큐어 칠한 새 각시 자랑스러웠다
명사십리 해당화꽃 넝쿨 아래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