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의 이름과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지의 이름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수지의 용도

-수지의 종류

본문내용

화한 피막은 높은 내약품성과 접착성을 나타내는 도료이다.
. 아미노기
. 히드록시기- 히드록시기를 곁사슬로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는 자기 경화성이 드물지만, 히드록시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첨가하여 열경화할 수 있다.
. 중합성 관능기- 동일한 모노모에 2개의 중합성 2중 결합, 특히 관능성을 달리한 접착제이다. 촉매를 선택함에 따라 어느 한쪽의 2중 결합만 중합시켜서 선상 폴리머를 만들며, 그 뒤에 미반응으로 남은 2중 결합을 촉매로 하여 경화시킨다. 이와 같은 관능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는 각각 적당한 경화제와 가열로 경화한다.
11) 복합 열경화성 수지 접착제
열경화성 수지는 접착제로서 높은 접착력과 내열성, 내용제성을 나타내지만, 내충격성, 굴곡성, 초기 접착력이 부족하다. 또 접착 작업은 열경화가 끝날 때 까지 압착이 요구된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는 초기 접착력, 내충격성, 굴곡성은 좋으나 내열성이 부족하다. 일반적인 새로운 경향으로서, 열경하성 수지의 결점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조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요소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 페놀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쎈피비닐아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ㄹ부티랄,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나일론, 멜라민 수지, I I R, 에폭시 수지, 크실렌 수지
. 레조르시놀 수지- 천연 고무 라텍스,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피리딘 고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 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고무 라텍스
. 에폭시 수지- 나일론: 폴리아미드, 페놀 수지, 천연 고무, 티오콜 고부, 아닐린 수지, 멜라민 수지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4. 순간접착제 및 혐기성 접착제
1)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순간접착제)
시아노계 접착제의 주성분은 알킬 α-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고, 이 액상 모노머는 공기 중 또는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신속하게 중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시아노계 접착제가 순간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높은 극성에 따른 아니온 중합에 기인하는 것이다. 시판되는 접착제는 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개질한 것이다. 이들 첨가제는 안정제중합 억제제증점제가소제기타 로 간추릴 수 있다. 이 접착제는 무색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특이한 냄새가 있는 저점도 액체이다. 또한 고점도 제품이나 컬러 제품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용기 또는 알루미늄 튜부에 밀폐 중천하여 시판되고 있다. 높은 활성에 비해서는 보존 안정성이 좋고, 범용 접착제로서의 유통 적성을 갖고 있다. 시아노계 접착제의 품종 선택의 기준은 주성분 모노머의 알킬기와 제품의 점도이다. 시판 제품인 주성분 모노머는 일반적ㅇ로 메틸 또는 에틸 α-시아노아클릴레이트이고, 프로필이나 부틸 모노머는 특수 품종이다. 피착체의 극성이 높은, 금속이나 세락믹무기물 등에 대하여는 메틸계를 피착체의 극성이 낮은 고무류나 플라스틱 등에 대하여는 메틸계를 기준으로 선택한다. 또 제품의 점도는 몇 센티 포이즈의 것에서 수천 센티 포이즈의 것까지 있고, 접착 부위의 클리어런스나 조도(粗度), 침투성 등에 따라서 선택한다. 고화는 빠르고 순간적이다. 그러나 충분한 접착 강도가 나타나려면 보통 48시간 이상의 양생(상온)이 필요하다. 가열 양생이 허용되면 70℃로 1시간정도 양생하여 주면 충분한 실용 강도에 도달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다. 신속한 작업을 필요로 할 경우, 예를 들면 오토메이션 작업, 임시 견본, 모형 등의 제작, 조작 중인 기계 부품 등의 임시 고정, 보수 등 재료적으로 다른 적당한 접착제가 없는 경우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염화비닐, 베이클라이트와 천연 고무의 조합 등 무색 투명한 마무리와 높은 접착 강도를 함께 갖추는 것이 요구될 경우, 예를 들면 귀금속, 보석, 장식품, 고급 기기 등의 접착이 접착제를 보존할 때는 냉암 건조한 곳에 둔다. 특히 흡습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본 접착제 공업협회 규격은 “시판 용기에 넣은 제품을 시료로 하여 70±2℃, 5일간의 보존 후, 세트 타임 및 외관을 시험하여 보전 전의 그것과 비교 평가 한다” 이다.
2) 혐기성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란 공기 중에서는 액체상을 유지하고 공기를 차단하면 경화한다는 특징을 갖는 중합성 조성물로서 접착이나 봉착(封着), 고정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혐기성 접착제인 ‘록타이트’의 주성분은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라고 한다. 이 액상 모노머에 소량의 쿠멘히드로 체르옥시드와 벤조퀴논을 가하여 빛이 통하지 않는 폴리에틸렌 용기에 절반정도 넣어 두면 약1년 정도 안정하다. 여기서 용기의 절반이하로 충전하는 것은 공기와의 접촉으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공기에 접착하지 않는 상태로 두면 중합이 일어나서 전부 고형의 폴리머로 변하여 피착체에 대하여 충전 접착의 역할을 한다. 이 중합은 철 등의 금속과의 접촉에 의하여 촉진된다. 혐기성 접착제로서의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은 중합하면 열경화성 폴리머로 변하므로 내열성, 내용제, 내용성이 우수하다. 한편, 모노메타크릴레이트는 중합하여 열가소성 폴리머가 된다. 요컨대 혐기성 접착제의 조성은, 중합성 모노머중합 개시제중합 촉진제안정제점도 조정제접착 강도 내지 토크 조정제착색제기타의 각 성분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평형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접착제는 보통 MIL 규격에 준거하여 착색된 유색 투명한 특이한 냄새가 있는 저점도의 액체이다. 유색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용기에 절반 이상 이하 충전, 밀폐되어 시판되고 있다. 높은 활성에 비해서는 보존 안정성이 좋고, 범용 접착제로서 유통 적성을 가지고 있다. 이 종류의 접착제는 많은 유기 용제에 대하여 상용성이 있지만 접착 경화물은 내용제성이 있고 또 내열성도 크다. 1액형으로 경화가 비교적 빠르므로 작업성은 좋으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만큼 빠르지는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2.2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