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스틱리버를 보고 주인공의 심리를 분석하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미스틱리버를 보고 주인공의 심리를 분석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내 용 요 약
2. 감 상

Ⅱ. 본 론
1. 사 건
2. 주 인 공(데 이 브)의 심 리 분 석
2.1 성 폭 행 의 후 유 증
1) 감정적 상처
2) 거짓속에 숨어 버린 자신의 진정한 인격
3) 폭발적 분노
4) 낮은 자존감과 열등감
5) 읽어버린 어린시절의 꿈
6) 과거에 매인 삶
7) 보복 심리에 의한 모방범죄
2.2 가 족 과 의 갈 등
1) 아내와의 갈등
2) 성적인 문제가 가정과의 갈등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예
2.3 동 료 들 과 의 갈 등
1) 서투른 감정표현
2) 친구들에 대한 증오심

Ⅲ. 결 론

Ⅳ.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망각하고 몸뚱아리만 남아 있는 흡혈귀가 부럽다.(중략) 절망에 빠진 데이브는 다른 사람이 되었어야 했다. 데이브는 죽었다.(중략) 헨리와 조지(변태성욕자들)는 늑대들이다. 흡혈귀에게 한번 물리면 영원히 남는다.”
이 영화에서 이 대사만큼이나 데이브의 심리상태를 잘 나타내주는 부분이 없다. 아주 적나라하게 나타난 부분이다. 먼저
“인간의 감정을 망각하고 몸뚱아리만 남아 있는 흡혈귀가 부럽다.”
라는 부분에서 보면 데이브는 수십년전에 겪었던 감정적인 상처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감정이 없이 몸뚱아리만 가지고 있는 흡혈귀가 부럽다는 말은 감정이 자신을 괴롭히고 있다는 말로 해석되며 ‘감정이 없다면 이런 고통을 받을 필요조차 없었을텐데’라고 돌려 말 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또한
“흡혈귀에게 한번 물리면 영원히 남는다.”
라고 말한 것 또한 자신의 가슴에 상처로 늑대의 이빨자국이 아직도 남아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십년이 지나 가정을 이룬 지금에도 데이브는 과거의 감정적 상처에 얽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거짓속에 숨어 버린 자신의 진정한 인격
위의 대사에서 발견할 수 있는 데이브의 또다른 심리는 ‘무서워서 숨어버린 인격’이다.
“절망에 빠진 데이브는 다른 사람이 되었어야 했다. 데이브는 죽었다. 나도 나를 모르겠다.”
이 대사속에서 우리는 데이브가 자신의 내면에서 자신의 인격을 스스로 죽여버린 것을 볼 수 있다. 스스로 공포에 못 이겨 두려워하는 자신의 인격을 무시해버리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양상은 ‘방어기제’와 비슷하다. ‘방어기제’는 ‘상처받는 것이 두려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행하는 행동양식이나 생각따위’를 말하는데, 데이브에게 있어서는 감당할 수 없는 공포와 상처로 상당히 발전적인(심각한) 방어기제의 형태를 보인다. 진정한 자신의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서 거짓 자아를 만들어 내어 그 뒤로 숨어버리는 것이다. 이럴 경우 평소의 자신이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어렵게 된다. 심할 경우 자신이 무엇을 느끼고 원하는지 조차 알 수 없게 된다. 자신으로부터 조차도 숨어버린 진정한 자아를 되찾기란 쉽지 않다. 영화에서 보면 데이브의 성격에서 다분히 이러한 기질을 발견할 수가 있다. 다혈질적이고 냉철한 ‘지미’의 경우에는 가족에게나 친구에게나 심지어는 자신의 장인에게조차 자신의 감정을 자신있고 솔직하게 드러내는 반면에 데이브는 상당히 차분하면서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왠지 행동도 굼뜨고 어눌한 느낌이 든다. 웃을때도 마음껏 웃지 않으며 약간의 미소만 띄울 뿐이다. 그의 행동에는 다분히 우울함과 어눌함이 느껴진다.
상처의 아픔이 크면 클수록 숨어버린 인격으로 인해 현실을 직시하기도 어려워진다. 친구인 ‘지미’와 ‘숀’의 성품과 비교해 볼 때 현대인을 살아가는 ‘빠릇빠릇함’이 데이브에게는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아주 큰 키에 그저 휘청거리는 어눌함뿐이다. 어쩌면 무기력감에 빠져 있는지도 모른다. 특히 살인을 저지르고 난 이후에는 더욱 그렇다.
데이브는 외친다.
“데이브는 숲에서 도망칠 때 이미 죽었어!!”
라고... 자신의 진정한 인격을 찾고 싶지 않다는 뜻이다. 이 말은 다시는 그 상처와 대면하고 싶지 않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상처의 고통속에 혼자 아파하고 죽어가는 진정한 데이브의 자아, 그것은 데이브가 상처의 현장에서 탈출하기 위해 ‘스스로 만들어낸 인격’ 뒤에 영원히 숨어 있는 인격이다. 데이브는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거짓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정신병을 다른 말로 정신 분열증이라고도 한다. 정신 분열증은 말 그대로 정신이 두 개 이상으로 분열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코미디 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중이’ 또한 이런 컨셉에 속한다. 인간의 심리는 워낙 신비롭고 복잡해서 상처를 받으면 그것을 방어하기 위해 방어기제가 발동한다. 그것이 심해지면 인격이 분열되게 된다. ‘아이덴티티’라는 영화가 바로 이 다중인격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데이브 또한 약간의 이러한 증세를 보인다.
3) 폭발적 분노
항상 숨어 있는 상처받은 인격은 비슷한 사건을 만나거나 느낌을 받았을 때 감당할 수 없는 공포심이나 갑작스런 폭발적 분노를 경험하게 된다. 비슷한 사건이나 느낌을 받았을 때는 아마도 숨겨져 있던 자아가 겉으로 드러나는 시점일 것이다. 자신의 인격을 뒤에 숨겨두는 이유 또한 이러한 현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항상 두려움과 분노에 사로잡혀 있는 진정한 자신의 자아를 직시하고 받아드릴 때 나타나는 겉잡을 수 없는 행태들에 대한 두려움 말이다.
데이브가 술집에서 나간 뒤 우연히 변태성욕자를 발견하게 되고, 과거의 상처를 떠올린 데이브는 이성이 주체할 수 없는 분노에 휩싸이게 된다. 그리고는 결국 그 변태성욕자를 주먹으로 때려죽이고 만다.
이 폭발적 분노는 뒤에 가족과의 갈등에서 또 한번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4) 낮은 자존감과 열등감
숨겨진 자아는 올바르게 성장하지 못한다. 항상 자신을 비하하게 되고 남과 비교하게 된다. 모든 사람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모든 것을 잘하는 사람도 없을뿐더러 모든 것을 못하는 사람 또한 없다. 이러한 위험한 심리는 자신의 장점을 보지 못하게 만들고, 항상 타인의 장점을 부러워하게 되어 필요없고 근거없는 열등감속으로 피해자를 몰아가게 만든다.
데이브는 영화속에서 자신을 흡혈귀와 비교한다. 그리고 부러워한다. 자신을 흡혈귀보다 못한 인간으로 몰아간다. 뿐만 아니라 술집 bar위에서 춤을 추는 케이트를 회상하며 지미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녀는 행복해 보였어. 케이트를 봤을 때 어릴적 잃어버린 나의 꿈이 떠올랐어.”
자신의 처지와 케이트를 비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둘은 결코 비교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데이브의 경우 외에 일반적인 경우는 어떠할까?
한 여자가 성폭행을 당했다. 그리고 그 여자는 그 즉시 목욕탕으로 뛰어 갔고 혼자 앉아 살이 벗겨지도록 때를 밀었다. 왜 그럴까? 자신을 불결한 몸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남 앞에서 강제로 옷 벗김을 당하는 그 수치심과 분노가 자신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이다. 어떤 여자는 성폭행 당할 때 가해자를 손톱으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