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지와 게임의 관계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협지와 게임의 관계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길을 나서기 전에

2. 첫 번째 이정표- 장르문학과 컴퓨터 게임이 만났을 때

3. 두 번째 이정표- 내이름은 ‘신조협려’~♬

4. 세 번째 이정표- 신조협려(소설)에서 신조협려(게임)로 가는 길

5. 여행의 마침표를 찍으며

본문내용

게임을 만들었다. 이것이 최초의 일인용 롤플레잉게임으로서 지금까지 수많은 롤플레잉게임의 교과서이자 최고의 인기를 구사한 울티마다. 울티마는 테니스나 탱크게임, 단순한 스토리를 가진 어드벤처 게임이 득세하던 당시에 자유도와 세계관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전혀 새로운 컴퓨터게임이었다.
예를 들어 게임자가 인내력과 지혜, 지력, 기민성, 힘 등의 영역에서 각각의 특성점수를 지적하여 등장인물을 창조한 다음에 신비로운 행성을 여행하며 마을에 들러 생활 필수품을 구하고 재미있는 가십을 듣기도 하며 동굴과 첨탑들을 탐험하면서 드워프와 전사들 그리고 마법사들과 싸우게 한다는 뛰어난 상상력을 보이고 있다. 울티마는 물론이고 위저드리 또한 지하 10층에 있는 대던전에 잠입하여 마력의 부호를 얻는 이야기다.
롤플레잉게임 파이널 판타지1의 스크린샷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영화 파이널 판타지
80년대 중반 이후 롤플레잉게임은 컴퓨터에 머물지 않고 가정용 게임기용으로도 확산되었다. 일본에서 제작된 비디오게임 드래곤 퀘스트와 파이널 판타지가 등장한 것이다. 다만 일본의 비디오게임은 문학의 원전에서 상상력을 자극받아 이를 게임으로 만드는 미국 방식과 달리 만화와 애니메이션 장르에 힘입어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더욱이 파이널판타지와 같은 경우에는 버전을 거듭할수록 게임의 동영상 부분에 많은 비중을 두어 영화와 같은 게임을 추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얼마 전에 개봉한 3D 애니메이션 파이널판타지는 바로 일본식 롤플레잉게임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http://www.kcaf.or.kr/basic/multi/ch01/ch01-e-01.html
3. 두 번째 이정표- 내이름은 ‘신조협려’~♬
무협지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읽어 봤을 영웅문. 그 영웅문의 전 3부중 2부인 신조대협 양과와 소용녀의 사랑을 그린 신조협려가 게임으로 나왔다. 그중 지금부터 이야기할 신조협려 완결편은 전작 신조협려 이야기를 마무리 짓고 있다. 게임의 시작은 신조협려 전편의 엔딩이었던 소용녀와 양과가 헤어진 단장애에서 시작된다. 그에 앞서 신조협려 원작과 작가 세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김 용의 작품 세계
아시아적 판타지의 마르지 않는 샘이 무협지이다.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한자 문화권의 독특한 문학 장르가 무협지이기도 하다. 무협지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을 꼽는다면, 단연 김용의 소설일 것이다. 김용의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김용을 좋아하는 사람이고 다른 하나는 무협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즉 이 말은 무협소설을 즐겨 읽지 않는 사람이라도 유독 김용의 소설만큼은 예외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이 이렇게 국적과 세대 그리고 장르에 구분 없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무협소설은 잘생긴외모와 절세의 무공을 지닌 평면적인 주인공들의 모험담을 그린 이야기가 대부분이었으나, 김용은 무협을 도구로 정과 의리가 넘치는 개성있는 인물들의 인생을 담아냈기 때문이다.
곽정은 어수룩하고 무공에 대한 자질이 부족하며, 양과는 고집이 세고 독선적이며 외팔이이고, 장무기는 항상 정에 이끌리고 우유부단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미가 물씬 풍긴다는 점에서 기존 무협소설의 주인공들과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또한 김용은 무협소설이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인 비현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역사와 문화에 대한 방대한 지식과 학문적 소양을 작품 곳곳에 아로새겨 놓았다. <사조삼부곡>의 시대적 배경은 남송, 금, 원 교체기이며 칭기스칸, 왕중양, 주원장 등의 역사적 실존인물들이 등장하며 이것이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과 조화롭게 어울려있다. 곧 독자들이 어느 것이 참인지 거짓인지 잘 모를 정도로 그의 시도는 훌륭히 성공하였다. 이렇게 기존 무협소설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을 바꾸어놓았다는 점에서 김용은 무협소설의 풍격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등장을 전후로 구무협과 신무협으로 구분하여 김용을 ‘신무협의 창시자’ 혹은 ‘무협소설의 일대종사’로 부르고 있다. 『신조협려 미리읽기』p36-37
많은 사람들이 김용의 가장 뛰어난 점을 꼽을 때 역사와 허구의 절묘한 조화와 개성이 넘치는 인물창조로 인간의 내면과 심리를 세밀하게 묘사하여 독자를 작품 속에 한없이 몰입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2) 소설 ‘신조협려’의 주제
신조협려의 주제는 ‘정(情)’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강호의 여마두 이막수가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2.2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