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목적
3.실험이론
4.실험방법 및 결과
5.고찰
2.실험목적
3.실험이론
4.실험방법 및 결과
5.고찰
본문내용
69.3
0.700
0.870
67.6
0.800
0.915
66.0
0.900
0.958
65.2
0.950
0.999
64.65
1.000
1.000
<챠트 2.>
- 평형도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위와 같이 나타났다. 추세선을 이용해서 점들을 연결해 보았는데 약간의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 것 같다. 이 평형표와 이번 실험에서 우리가 실험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서로 비교를 해 봐야 하는데 실험시간이 ㅛ아서 75℃에서 밖에 구할수 없었다. 그래서 75℃에서 구한 Liquid mol%값과 vapor mol%값을 빨간색 점으로 그래프 위에 직접 손으로 찍어보았다.
5. 고 찰
-이번 실험을 통하여 평형증류에 대한 기초 지식과 장치의 조작방법을 이해하고 직접 실습을 통하여서 이론과 결과치를 비교하면서 기-액 평형에 대한 실험을 해 보았다. 이번 실험의 가장 아쉬운 점은 실험시간이 너무 ㅛ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서 여러경우의 MeOH 의 vol%에서 MeOH 의wt%를 측정했어야 했는데 우리가 실험한 경우는 0, 50, 100%인 경우밖에 없었다. 그리고 온도를 달리 하면서 기-액 평형을 측정했어야 했는데 75℃에서 기-액 평형의 결과값 밖에 없었다. 또한 우리조가 처음으로 실험을 한 결과 장치의 조작이 잘 이루어 지지가 않았고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비록 실제 이론값과 결과값을 비교하지는 않았지만 실험과정에서 오차가 생길수 있었던 부분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리가 실험한 온도는 75℃였는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은 것 같다.조작방법이 약간 까다로워서 그러긴 한다지만 온도가 72℃까지 내려 가는 것이 관측되었다.
둘째, 응축액을 얻은 과정에서 플라스크를 단열시킨다음에 서서히 식도록 해야 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것같다. 우리는 시간이 없어서 플라스크를 단열시키지 않았고(책에서는 최소한 단열을 위해서는 비닐 랩이라도 사용하라고 했지만) 식히지도 않은채 바로 측정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휘발성이 있는 상당량의 MeOH가 가스가 되어 날아간 것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셋째, 실험 결과 수치에서 표준곡선을 구하는 과정이 있었다. A, B 계산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값을 대입하여 구하여야 하는데 추세선의 직선의 성질을 이용하여서 처음값과 끝값을 대입하여 풀었다. 하지만 처음값과 두 번째 대입한 값과 비교해 볼때 A는 7정도가 차이가 났다. 이정도 차이면 이어지는 다른 계산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것으로 본다. 하지만 추세선을 평균값이라고 보고 A,B값을 구하였다.
넷째 , 실험장치내의 온도가 바깥 기온과 차이가 많이 난것도 엄밀히 말하면 실험의 오차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유난히 실험당일 날씨가 추웠는데 실험장치의 내부온도가 워낙 바깥기온보다 높아서 상당량의 열유지가 어려웠다고 본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고 보지만 실험의 정밀성을 위한 것이 아니고 단증류의 개념과 기-액평형의 값을 직접 구할 수 있었고 이를 평형 도표와 비교해 볼수 있었다는데 더 큰 의의를 두고 싶다.
0.700
0.870
67.6
0.800
0.915
66.0
0.900
0.958
65.2
0.950
0.999
64.65
1.000
1.000
<챠트 2.>
- 평형도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위와 같이 나타났다. 추세선을 이용해서 점들을 연결해 보았는데 약간의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 것 같다. 이 평형표와 이번 실험에서 우리가 실험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서로 비교를 해 봐야 하는데 실험시간이 ㅛ아서 75℃에서 밖에 구할수 없었다. 그래서 75℃에서 구한 Liquid mol%값과 vapor mol%값을 빨간색 점으로 그래프 위에 직접 손으로 찍어보았다.
5. 고 찰
-이번 실험을 통하여 평형증류에 대한 기초 지식과 장치의 조작방법을 이해하고 직접 실습을 통하여서 이론과 결과치를 비교하면서 기-액 평형에 대한 실험을 해 보았다. 이번 실험의 가장 아쉬운 점은 실험시간이 너무 ㅛ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서 여러경우의 MeOH 의 vol%에서 MeOH 의wt%를 측정했어야 했는데 우리가 실험한 경우는 0, 50, 100%인 경우밖에 없었다. 그리고 온도를 달리 하면서 기-액 평형을 측정했어야 했는데 75℃에서 기-액 평형의 결과값 밖에 없었다. 또한 우리조가 처음으로 실험을 한 결과 장치의 조작이 잘 이루어 지지가 않았고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비록 실제 이론값과 결과값을 비교하지는 않았지만 실험과정에서 오차가 생길수 있었던 부분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리가 실험한 온도는 75℃였는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은 것 같다.조작방법이 약간 까다로워서 그러긴 한다지만 온도가 72℃까지 내려 가는 것이 관측되었다.
둘째, 응축액을 얻은 과정에서 플라스크를 단열시킨다음에 서서히 식도록 해야 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것같다. 우리는 시간이 없어서 플라스크를 단열시키지 않았고(책에서는 최소한 단열을 위해서는 비닐 랩이라도 사용하라고 했지만) 식히지도 않은채 바로 측정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휘발성이 있는 상당량의 MeOH가 가스가 되어 날아간 것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셋째, 실험 결과 수치에서 표준곡선을 구하는 과정이 있었다. A, B 계산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값을 대입하여 구하여야 하는데 추세선의 직선의 성질을 이용하여서 처음값과 끝값을 대입하여 풀었다. 하지만 처음값과 두 번째 대입한 값과 비교해 볼때 A는 7정도가 차이가 났다. 이정도 차이면 이어지는 다른 계산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것으로 본다. 하지만 추세선을 평균값이라고 보고 A,B값을 구하였다.
넷째 , 실험장치내의 온도가 바깥 기온과 차이가 많이 난것도 엄밀히 말하면 실험의 오차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유난히 실험당일 날씨가 추웠는데 실험장치의 내부온도가 워낙 바깥기온보다 높아서 상당량의 열유지가 어려웠다고 본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고 보지만 실험의 정밀성을 위한 것이 아니고 단증류의 개념과 기-액평형의 값을 직접 구할 수 있었고 이를 평형 도표와 비교해 볼수 있었다는데 더 큰 의의를 두고 싶다.
추천자료
2성분계의 기액평형의 실험. 상평형
[과외]중학 과학 중1-06 물질의 특성 05
세라믹 흡착과 젖음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가스크로마토프래피(GC)
종합유체실험 보고서
이산화탄소의 분자량 측정
화학공학실험 다단식연속증류
화공생명 기초실험 - Binary Liquid-Vapor Phase[기액평형]
공업화학 -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에 관해
[화학공학실험] 기기분석 - GC(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량분석
화학공학실험 - 기액평형 실험(기-액 평형 실험)
[공학기술]크로마토그래피(GC 및 LC)
물의 증기압과 증발열 실험(결과 레포트)
크로마토그래피 (g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