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적응(acculturation)
2. 문화적응 스트레스
3.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국제결혼으로 인한 가족의 문제
5. 국제결혼 통한 한국의 이주여성
6. 정부의 이주여성관련 정책 이행현황
Ⅲ. 사례연구
1. 사례개요
2. 가족력
1) 가계도
2) 생육사 및 가족력
3. 사정
4. 개입과정
5. 개입 후 변화사항 및 차후 계획
6. 논의사항
Ⅳ. 맺음말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적응(acculturation)
2. 문화적응 스트레스
3.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국제결혼으로 인한 가족의 문제
5. 국제결혼 통한 한국의 이주여성
6. 정부의 이주여성관련 정책 이행현황
Ⅲ. 사례연구
1. 사례개요
2. 가족력
1) 가계도
2) 생육사 및 가족력
3. 사정
4. 개입과정
5. 개입 후 변화사항 및 차후 계획
6. 논의사항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이해를 도움
⑦ 아동1, 2에 대한 개별상담
⑧ 아동3에 대한 학습지도 방법에 대한 母상담
3) 자원연계
① 자원봉사자 연결(학습자원봉사자)
② 부업연계
③ 학습비 지원
④ 언어치료비 지원
5. 개입 후 변화사항 및 차후 계획
1)개입 후 변화사항
(1) 부모
① 母의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고 있다.
일본에서 한국으로 결혼한 친구들로 사회적 관계망이 제한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방과후교사,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에게 자신의 어려움(자녀양육,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상담을 의뢰하는 등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되고 있다.
② 母의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다.
아동2의 문제가 단순히 학습의 문제가 아니라 학습태도(집중력 부족, 학교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에 관련된 것이라는 인식전환이 있으면서 자녀들에 대한 지나치게 허용적인 양육태도에 대한 변화욕구(아동2의 등·하교문제와 관련하여 일관된 태도를 취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③ 母의 부업연결(핀작업)과 자녀들의 학습비(언어치료비) 지원으로 경제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
④ 母가 한국음식과 제사법에 대한 정보를 통해 한국문화를 배워가고 있다.
⑤ 父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공부준비로 너무 바빠서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없었고, 父母모두 집안의 대소사는 母의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자녀
① 아동1의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② 아동2의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1년 간의 언어치료 결과 언어영역전반이 1세 이상 발달하였다
(그림어휘력:1세정도, 언어이해·인지력:2세이상,
문장이해력검사:6개월, 조음정확도:10%이상 향상).
③ 아동2가 자신의 언어표현에 자신감이 생기면서 친구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기주장도 하게 되면서 교우관계가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④ 母의 문화(일본)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방과후 교실에서 일본문화에 대한 공부와 일본음식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2)차후계획
(1) 부모
① 父에 대한 개입을 통해 母의 정서적 지지자원이 될 수 있도록 한다.
② 母상담을 통해 母의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으로 자녀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③ 母의 정서적 지지원을 개발하고 연계한다.
(2) 자녀
① 아동2의 문장발화의 유창성을 위해 3개월 정도 언어치료를 실시 하도록 한다.
② 부모(한국인 父와 외국인 母)의 이중문화로 인한 자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자기정체성을 인식하도록 개입한다.
6. 논의사항
1) 母에 대한 개입
母는 10년 정도 한국에 거주하고 있으나, 가족이외에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문화에 대한 경험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가족이 지역사회복지관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고 있으므로, 복지관 이외의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원의 연결이 필요하다.
2) 자녀에 개입
母의 언어부족으로 인한 가정에서의 언어자극의 부재는 아동1, 2의 학습부진과 또래관계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아동 1,2의 경우 학습지도와 언어치료를 통해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학습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 3의 경우도 언어부족으로 인한 학습문제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Ⅳ. 맺음말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인해 문화적응 스트레스하에 있는 가족을 돕기 위해 기존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가족전체에 대한 개입으로 1년간 진행된 사례이다.
초기 5개월 동안은 父母와의 rapport 형성의 어려움과 아동들의 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아동2의 언어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행동으로 인해서 사례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6개월이 지나면서 아동1이 학습비를 지원 받게 되고, 아동2의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기 시작하면서 母와 지역사회복지관과의 관계가 협조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가족개입 후기가 되면서 母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 정서적인 지원과 부업연결을 통한 경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아동1,2의 학습능력과 생활태도가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그렇지만 父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중문화속에서 성장하는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도록 개입하는데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경우 타문화에 문화적, 사회적으로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자원체계의 마련과 확충이 시급하다. 최근 들어 국제결혼과 탈북민의 증가로 타문화간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들이 점점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고, 이러한 어려움은 한 개인의 위기만이 아니라 사회통합의 위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사례를 통해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사회적응문제는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의 위기이므로, 기존의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서비스가 아닌 가족전체에 개입하는 통합적인 가족지원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정서적 자원체계 개발 및 연계가 필요하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경우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상황에 있으므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정서적 지지자원을 교육하고, 개발하여 연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 타문화권에 적응하기 위해 가장 필수적인 부분이 언어습득이다. 그러므로 국제결혼한 대상자만이 아니라 자녀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언어교육과 학습향상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개입과정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제결혼과 탈북민의 증가는 단일민족인 한국문화의 배타성으로 적응과정에 더 많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보다 전문적인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은실. [차이가 만들어내는 이주의 정치학]. {이화여대, 한국여성 연구원}, 2004.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5집(1989).
⑦ 아동1, 2에 대한 개별상담
⑧ 아동3에 대한 학습지도 방법에 대한 母상담
3) 자원연계
① 자원봉사자 연결(학습자원봉사자)
② 부업연계
③ 학습비 지원
④ 언어치료비 지원
5. 개입 후 변화사항 및 차후 계획
1)개입 후 변화사항
(1) 부모
① 母의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고 있다.
일본에서 한국으로 결혼한 친구들로 사회적 관계망이 제한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방과후교사,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에게 자신의 어려움(자녀양육,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상담을 의뢰하는 등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되고 있다.
② 母의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다.
아동2의 문제가 단순히 학습의 문제가 아니라 학습태도(집중력 부족, 학교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에 관련된 것이라는 인식전환이 있으면서 자녀들에 대한 지나치게 허용적인 양육태도에 대한 변화욕구(아동2의 등·하교문제와 관련하여 일관된 태도를 취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③ 母의 부업연결(핀작업)과 자녀들의 학습비(언어치료비) 지원으로 경제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
④ 母가 한국음식과 제사법에 대한 정보를 통해 한국문화를 배워가고 있다.
⑤ 父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공부준비로 너무 바빠서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없었고, 父母모두 집안의 대소사는 母의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자녀
① 아동1의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② 아동2의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1년 간의 언어치료 결과 언어영역전반이 1세 이상 발달하였다
(그림어휘력:1세정도, 언어이해·인지력:2세이상,
문장이해력검사:6개월, 조음정확도:10%이상 향상).
③ 아동2가 자신의 언어표현에 자신감이 생기면서 친구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기주장도 하게 되면서 교우관계가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④ 母의 문화(일본)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방과후 교실에서 일본문화에 대한 공부와 일본음식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2)차후계획
(1) 부모
① 父에 대한 개입을 통해 母의 정서적 지지자원이 될 수 있도록 한다.
② 母상담을 통해 母의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으로 자녀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③ 母의 정서적 지지원을 개발하고 연계한다.
(2) 자녀
① 아동2의 문장발화의 유창성을 위해 3개월 정도 언어치료를 실시 하도록 한다.
② 부모(한국인 父와 외국인 母)의 이중문화로 인한 자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자기정체성을 인식하도록 개입한다.
6. 논의사항
1) 母에 대한 개입
母는 10년 정도 한국에 거주하고 있으나, 가족이외에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문화에 대한 경험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가족이 지역사회복지관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고 있으므로, 복지관 이외의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원의 연결이 필요하다.
2) 자녀에 개입
母의 언어부족으로 인한 가정에서의 언어자극의 부재는 아동1, 2의 학습부진과 또래관계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아동 1,2의 경우 학습지도와 언어치료를 통해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학습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 3의 경우도 언어부족으로 인한 학습문제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Ⅳ. 맺음말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인해 문화적응 스트레스하에 있는 가족을 돕기 위해 기존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가족전체에 대한 개입으로 1년간 진행된 사례이다.
초기 5개월 동안은 父母와의 rapport 형성의 어려움과 아동들의 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아동2의 언어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행동으로 인해서 사례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6개월이 지나면서 아동1이 학습비를 지원 받게 되고, 아동2의 언어표현능력이 향상되기 시작하면서 母와 지역사회복지관과의 관계가 협조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가족개입 후기가 되면서 母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 정서적인 지원과 부업연결을 통한 경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아동1,2의 학습능력과 생활태도가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그렇지만 父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중문화속에서 성장하는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도록 개입하는데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경우 타문화에 문화적, 사회적으로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자원체계의 마련과 확충이 시급하다. 최근 들어 국제결혼과 탈북민의 증가로 타문화간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들이 점점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고, 이러한 어려움은 한 개인의 위기만이 아니라 사회통합의 위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사례를 통해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사회적응문제는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의 위기이므로, 기존의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서비스가 아닌 가족전체에 개입하는 통합적인 가족지원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정서적 자원체계 개발 및 연계가 필요하다. 국제결혼한 가족의 경우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상황에 있으므로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정서적 지지자원을 교육하고, 개발하여 연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 타문화권에 적응하기 위해 가장 필수적인 부분이 언어습득이다. 그러므로 국제결혼한 대상자만이 아니라 자녀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언어교육과 학습향상을 위한 경제적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국제결혼한 가족에 대한 개입과정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제결혼과 탈북민의 증가는 단일민족인 한국문화의 배타성으로 적응과정에 더 많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보다 전문적인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은실. [차이가 만들어내는 이주의 정치학]. {이화여대, 한국여성 연구원}, 2004.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제5집(1989).
추천자료
- (사례개입) 재혼가족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사회 복지 실천사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외국인 노동자 문제와 국제결혼에 대한 심층 고찰
-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현황과 향후 지원방향
- 다문화 가정 문제,국제결혼
- 국제결혼 의 개념과 증가원인분석 다문화가정 의 이주여성들이 겪는 문제점
- 문학과 서브컬쳐 보고서 [결혼 이주민과 하위문화] (국제결혼 실태)
- 각 교육청의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육정책
- [ 창업계획서 ]국제결혼 중개업체 (만남서비스와 국내적응위한 지속적 케어서비스제공) 창업 ...
- 고립된 다문화 가정 여성을 위한 지원
- [PPT](국제결혼國際結婚의 증가와 한국 내에서의 인식) 다문화 가정 증가 원인, 다문화 가정 ...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다문화 가정(多文化家庭)과 영유아 건강 - 다문화 가정의 개념, 다...
- ★평가우수자료★ 성인화상환자와 그 가족의 개입사례
- 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여성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새터민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