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권택의 작품 세계
2. 임권택의 테마
3.임권택을 연구하며...
4. Biography
5. Filmography
2. 임권택의 테마
3.임권택을 연구하며...
4. Biography
5. Filmography
본문내용
다. 요약하자면 영화는 자신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예술이다. 그는 자신을 주인공과 내러티브에 투영해서 표현했고 보다 큰 공감대를 만들어냈다. 확실한 고증을 통한 역사에 대한 이해. 가장 한국적인 것에 담겨진 의미. 실험 정신과 작가 정신 모두를 갖춘 우리 영화계 거목이란 사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인생의 길에 대한 성찰, 우리가 겪어온 역사라는 테두리를 이해하고 현대의 것을 받아들이자는 온고지신의 정신, 가족의 존재와 한이라는 정서.
이 모든 것들이 어우려져 다가왔다. 또다른 흥행에 부응하지 않는 작가들이 많이 나오길 바라며 이 대부를 잇는 작가, 감독이 되길 기원한다.
4. Biography
임권택은 1936년, 전남 장성군에서 7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를 비롯한 가족이 당시 인텔리로서 좌익활동을 하다가 희생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큰할아버지의 둘째 아들이 일본 유학시절 사회주의에 가담했다가 옥살이 끝에 귀국했는데 그 영향이 컸다. 광주 숭일중학교를 다녔고 중학교를 도중 하차하고 17세 때 집을 나와 부산에서 잡역부를 하는 한편, 미군부대에서 구두를 빼다 파는 사람들 밑에서 일한다. 그러다 구두장사를 하던 사람들이 1956년 서울에서 영화사를 차렸고 임권택도 이들을 따라와 영화계에 처음 발을 들여놓게 된다. 처음에 그는 영화판에서 노동을 파는 잡일꾼으로 일하다가 정창화 감독 아래서 조감독 생활을 시작한다.
임권택의 첫 데뷔작은 1962년 <두만강아 잘있거라>. 하지만 이 작품은 거의 알려져있지 않고 본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1979년작 <깃발없는 기수>부터 논의의 대상이 된다. 임권택은 62년 첫 작품을 만든 뒤 70년대초 까지 <남자는 안팔려>, <단골 지각생>, <나는 왕이다>, <돌아온 왼손잡이> 등 멜로, 무협, 사극 등 모든 장르를 넘나들며 수십편의 영화를 만든다. 하지만 이 당시 만들었던 영화들은 오로지 흥행을 위해 만든 영화들로 그 스스로도 진정한 작품으로 여기지 않는 영화들이다.
하지만 그는 이런 수많은 영화제작을 통해 촬영, 편집 등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되었고, 그 경험은 이후 임권택만의 작품을 만드는 토대가 되었다.
5. Filmography
1962년
전쟁과 노인
속눈썹이 긴 여자
1979년
신궁
두만강아 잘 있거라
비나리는 선창가
내일 또 내일
1963년
신문고
비검
깃발없는 기수
망부석
밤차로 온 사나이
1980년
짝코
남자는 안팔려
그 여자를
인생의 길에 대한 성찰, 우리가 겪어온 역사라는 테두리를 이해하고 현대의 것을 받아들이자는 온고지신의 정신, 가족의 존재와 한이라는 정서.
이 모든 것들이 어우려져 다가왔다. 또다른 흥행에 부응하지 않는 작가들이 많이 나오길 바라며 이 대부를 잇는 작가, 감독이 되길 기원한다.
4. Biography
임권택은 1936년, 전남 장성군에서 7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를 비롯한 가족이 당시 인텔리로서 좌익활동을 하다가 희생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큰할아버지의 둘째 아들이 일본 유학시절 사회주의에 가담했다가 옥살이 끝에 귀국했는데 그 영향이 컸다. 광주 숭일중학교를 다녔고 중학교를 도중 하차하고 17세 때 집을 나와 부산에서 잡역부를 하는 한편, 미군부대에서 구두를 빼다 파는 사람들 밑에서 일한다. 그러다 구두장사를 하던 사람들이 1956년 서울에서 영화사를 차렸고 임권택도 이들을 따라와 영화계에 처음 발을 들여놓게 된다. 처음에 그는 영화판에서 노동을 파는 잡일꾼으로 일하다가 정창화 감독 아래서 조감독 생활을 시작한다.
임권택의 첫 데뷔작은 1962년 <두만강아 잘있거라>. 하지만 이 작품은 거의 알려져있지 않고 본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1979년작 <깃발없는 기수>부터 논의의 대상이 된다. 임권택은 62년 첫 작품을 만든 뒤 70년대초 까지 <남자는 안팔려>, <단골 지각생>, <나는 왕이다>, <돌아온 왼손잡이> 등 멜로, 무협, 사극 등 모든 장르를 넘나들며 수십편의 영화를 만든다. 하지만 이 당시 만들었던 영화들은 오로지 흥행을 위해 만든 영화들로 그 스스로도 진정한 작품으로 여기지 않는 영화들이다.
하지만 그는 이런 수많은 영화제작을 통해 촬영, 편집 등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되었고, 그 경험은 이후 임권택만의 작품을 만드는 토대가 되었다.
5. Filmography
1962년
전쟁과 노인
속눈썹이 긴 여자
1979년
신궁
두만강아 잘 있거라
비나리는 선창가
내일 또 내일
1963년
신문고
비검
깃발없는 기수
망부석
밤차로 온 사나이
1980년
짝코
남자는 안팔려
그 여자를
추천자료
2000년 이후 프랑스 영화의 흐름과 감독들
[과학] 내 인생의 영화, 감독, 배우
[인문과학] 내 인생의 영화, 감독, 배우
내 인생의 영화, 감독, 배우 [인문과학]
[인문] 내 인생의 영화, 감독, 배우
일본어를 택한 작가 김사량 연구
[일본,일본영화,감독론,] 구로사와 아키라의 작품세계
영화학의 관점에서 본 임권택 감독의 ‘안개마을’
장진감독-이나영,정재영 주연 영화'아는여자' 감상문
[중국영화계 6세대 감독] 왕 샤오슈아이 - 북경자전거 감상문
여성작가의 시 연구
영화 마작 (양덕창 감독소개)
[방송영상작가작품론] 영화 <헤어스프레이 (Hairspray)>
(영화감상문) 영화 변호인 영화감상문 (영화평론) - 감독 양우석, 주연 송강호 김영애 오달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