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와 상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은유...................................................1
1. 은유의 의미.................................................1

2. 은유의 유형 : 치환은유와 병치은유...........................2
1) 치환은유..................................................2
2) 병치은유..................................................3

3. 은유의 문법.................................................4
1) A는 B다형.................................................4
2) 전이의 네 형식............................................6
3) A의 B형...................................................8
4) 서술형 은유...............................................8
5) 중복형의 은유.............................................9

4. 은유의 전달과정.............................................10

5. 은유의 기능.................................................10


Ⅱ. 상징....................................................11
1. 상징의 의미.................................................11

※ 상징주의....................................................11

2. 상징과 기호.................................................12

3. 상징과 알레고리.............................................13

4. 상징의 유형.................................................14
1) 제도적 상징................................................14
2) 개인적 상징................................................14
3) 원형적 상징................................................15
원초적 원형..................................................15
물질적 상상력................................................16
원형상징.....................................................16

5. 상징의 전이과정.............................................16

6. 상징의 기능.................................................17


Ⅲ. 상징과 은유..........................................17

【참고도서】...................................................20

본문내용

있다.
넷째로, 시적 의미를 입체적 사물로 바꾸는 기능을 꼽을 수 있다. 상징은 의미와 사물성을 고루 갖추는 양식이다. 의미는 원관념, 사물성은 보조관념을 통하여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일치된다. 그리하여, 이런 기법을 택한 작품을 접할 때면 실제 사물을 접할 때와 같이 정서와 물질적 감각을 느낄 수 있고, 그로 인해 입체적 감각이 형성된다.
다섯째로, 전달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꼽을 수 있다. 은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하는 고리를 발견하지 못하면 그 의미를 짐작하루 수 없다. 그러나 상징은 사물을 의사주체로 내세우기 때문에 의사주체로 내세운 사물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고, 그것이 거느리고 있는 보편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관념 상태에 머무는 은유보다 한결 전달력이 강화될 수밖에 없다.
Ⅲ. 상징과 은유
상징과 은유, 즉 상징과 비유에 있어서도 다같이 사물의 의미나 정의를 대신한다는 점은 일치하지만 몇 가지로 구별되는 점이 있다.
첫째로 상징은 관념만을 사물 이미지로 표현하지만 은유는 사물을 다른 사물 이미지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징의 경우는 본의는 생략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비유는 본의와 유의를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1) 그의 머리는 최상의 순금이며
그의 머리는 텁수룩하고 까마귀처럼 검구나.
(2) 그들이 나를 포도원지기로 삼았으나
나는 내 포도원을 지키지 못하였구나.
(1)의 인용에서는 '머리는 순금'이라든지 '머리는 까마귀처럼'이란 문장으로 은유와 직유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2)의 문장에 나타난 '포도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드러내지 않았다. 즉 포도원은 보조관념일 뿐 원관념이 없다. 그러나 '포도원'은 관례적으로 처녀성을 뜻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처녀성의 상실이란 의미를 대신하는 상징적 수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은유에 유사성이나 비교와 대조의 관계로 대각선이 그어지는 것이지만 상징은 그러한 연결선이 없거나 회피한다. 따라서 은유보다 더욱 상상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로 용어에 있어서 상징은 보다 많은 형용사나 동사를 사용한다면 은유는 명사형을 많이 사용한다.
넷째로 상징이나 비유는 모두가 사물의 의미를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지만 상징은 넓은 의미에서 비유의 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주목해야 할 사실이 있다. 그것은 웰렉과 워렌이 「문학의 이론」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상징은 반복적이라는 사실이다. 은유가 일시적이고 일회적인 것이라면 상징은 은유가 여러차례 되풀이되고 관례화 되어 원관념이 생략되는 상징을 사용한다는 사실이다. 휠라이트도 일반적으로 상징이란 우리의 지각 경험가운데 비교적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요소를 말하며 지각 경험 자체만으로 전달되지 않거나 충분히 전달될 수 없는 더욱 평범한 어떠한 의미 혹은 일련의 의미를 뜻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던(J.Donne)의 설교집에 나오는 은유,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라는 구절을 헤밍웨이가 소설의 제목으로 하면서 은유가 상징으로 된 경우가 된다. 물론 상징은 은유적 형식과 유사하면서 은유적 형식을 초월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이 마침내 상징을 마술의 한 영역으로 돌아가게 했고 또 모든 마술의 열쇠는 인간성의 실마리로 번역되어 해석되었음을 우리는 안다. 휠러에 의하면 은유와 상징은 문학 작품에서 비슷한 양식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은유는 끝내 언어적 기교임에 비하여 상징은 단순한 언어적 연결이 아니다. 둘 다 일종의 이중성을 핵으로 한다. 그러나 은유의 경우 모두 낱말인 반면 상징의 경우는 사물과 관념을 표시한다. 요약하면 은유는 오직 단어에 의해서 존재하지만 상징은 언어에 의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사물과 더불어 사고하는 방법이요 은유보다 더욱 분별적이고 근본적이다.
(1) 사랑하는 나의 하나님, 당신은
늙은 비애다.
푸줏간에 걸린 커다란 살점이다.
시인 릴케가 만난
슬라브 여자의 마음 속에 갈앉은
놋쇠 항아리다.
-김춘수의 <나의 하나님>에서-
(2) 지금 눈 내리고
매화향기 홀로 가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이육사의 <광야>에서-
인용한 두 시를 보면 은유와 상징의 형식이 상당한 부분에서 구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선 은유는 본의와 유의가 문면에 드러나고 그 형식은 'A는 B다'라는 문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징은 본의가 생략되고 그 본의를 대신하는 유의, 즉 상징적 이미지만 문면에 나타나 있다. (1)의 은유적 형식은 '하나님은 늙은 비애다', '하나님은 살점이다', '하나님은 놋쇠 항아리다'등으로 분명히 명시화되어 있다. 그러나 (2)에서는 가난한 노래의 씨, 백마타고 오는 초인 등 상징어만 문면에 있고 이들이 내포하고 있는 본의는 숨겨져 있다. 그런가 하면 (1)은 매우 단정적 형식이다. 하나님의 다양한 의미가 늙은 비애나 살점이나 놋쇠항아리로 한정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2)의 '가난한 노래의 씨'나 '백마타고 오는 초인'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열려 있는 형식이다.
종래의 시론에서 상징의 보조관념은 사물(thing)이고, 그것을 환기시키는 것은 관념(idea)이라고 설명해 왔다. 다시 말해, 은유는 하나의 단어를 다른 단어로 바꾸고, 보조관념과 원관념의 관계가 <1 : 1>인 반면에 상징은 하나의 사물을 내세워 무수한 관념을 환기시키는 양식으로서 원관념이 잠재되며, 상징물과 원관념의 관계는 <1 : >라는 것이다. 은유는 하나의 낱말을 일회적으로 바꾸는 양식이고, 상징은 다회적으로 바꾸어 사물성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양식이다. 그러므로 보조관념의 의미가 무한대(1 : )로 확대되는 것이 아닐라, 그 사물이 거느리고 있는 관념만큼(about thing) 확산되는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도서】
홍문표, 『시창작강의』, 양문각, 1997.
윤석산, 『현대시학』, 도서출판 새미, 1996.
제해만, 『시·시조 창작강의』, 외길사, 1993.
馬光洙, 『詩學』, 철학과 현실사, 1997.
오세영 외, 『時論』, 現代文學, 199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12.2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