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기획한 정도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을 기획한 정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도전의 생애정도전의 가계
1. 정도전의 가계
2. 변혁을 꿈꾸다
3. 이성계와의 만남과 조선의 건국
4. 개국이후의 업적
5. 혁명의 꿈을 가슴에 묻고

Ⅲ. 정도전의 사상
1. 사회 ․ 정치사상
2. 경제사상
3. 철학 ․ 윤리사상
4. 배불론

Ⅳ. 나오며

◎ 새로운 각도로 역사보기

본문내용

인물로 보는 한국사
Report
조선을 기획한 정도전
불우한 영웅의 도전과 좌절
목 차
Ⅰ. 들어가며 .......3
Ⅱ. 정도전의 생애정도전의 가계
1. 정도전의 가계 ........4
2. 변혁을 꿈꾸다 ........4
3. 이성계와의 만남과 조선의 건국 ........6
4. 개국이후의 업적 ........7
5. 혁명의 꿈을 가슴에 묻고 ........8
Ⅲ. 정도전의 사상
1. 사회 정치사상 ........9
2. 경제사상 ........13
3. 철학 윤리사상 ........15
4. 배불론 ........16
Ⅳ. 나오며
◎ 새로운 각도로 역사보기 ...............19
※참고문헌
한영우,『정도전사상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3.
한영우,『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지식산업사, 1999.
조유식,『정도전을 위한 변명』, 푸른역사, 2000.
김영수,「이색과 정도전: 여말선초 정치사상의 갈등」,『한국정치사상의 비교연구』,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1999.
문길영,「시문을 통해 본 정도전의 내면세계」,『한국학보 42』, 일지사, 1986.
이석규,「정도전의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한국학논집 18』, 한양대, 1990.
도현철,「정도전의 정치체제 구상과 재상정치론」,『한국사학보 9』, 고려사학회, 2000.
김대용,「정도전의 정치이념과 배불론」,『호서문화연구 10』, 충북대, 1992.
이영춘,「정도전의 배불론과 그 성격」『한국사상과문화창간호』, 한국사상문화학회, 1998.
이종익, [정도전의 배불론 批判], 『불교학보8』. 서울: 동국대 불교문화원, 1971.
송찬한, [정도전의 척불론에 대하여], 『대구사학15·16』, 1978.
이석영, [정삼봉의 불씨심성론 비판고], 『철학회지8』.
윤사순, [한국유학사상론], 열음사, 1986.
조선을 기획한 정도전
Ⅰ. 들어가며
어느 시대, 어느 왕조든 건국은 무장 출신이 하기 마련이라는 법은 없다. 그러나 전통시대를 가만히 들여다보자면 무력에 의해 건국되어지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가 있다. 한의 건국자 유방, 장의 이연, 송의 조광윤 등은 모두 무장이었다. 고려의 건국자 왕건, 조선의 건국자 이성계도 역시 무장이었다. 그러나 새 왕조가 어느 정도 안정을 찾게 되면 그때부터는 문치주의를 정치이념으로 하게 된다. 정권을 잡기까지는 공세적인 전략이 중요하므로 물리력이 필요하지만, 일단 권력이 안정되면 권력의 유지와 방어가 중요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정치행정으로 돌아가야 하는 것이다.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건국한 왕조이지만 조선은 고려라는 왕조를 새 왕조로 교체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조선의 건국은 고려의 통일과 건국에 비해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다시 말해 조선의 건국은 물리력만으로 이루어지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여기에 새 왕조 교체의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사상이 마련되었으니, 바로 정도전의 혁명사상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사상은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충분히 뒷받침 해 주었다.
그러나 정도전에 대한 당대인들의 평가는 극과 극이다. 조선의 공식기록인 『태조실록』에서는 정도전을 비하하고 있지만, 그 이외에는 정도전을 비판하는 당대인의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정도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이유는不事二君을 신하가 갖추어야 할 최고의 덕목으로 생각하고 의리의 실천을 강조하는 조선중기 이후의 도학적(道學的) 분위기에서 볼 때, 정도전은 커다란 결함이 있었고, 이 때문에 그는 조선 성리학의 도통(道統)에서 제외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尹絲淳,『韓國儒學思想論』, 열음사. 1986. pp,33~34
반면 이성계와 이색, 신숙주, 권근 등 많은 이들은 정도전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성계야말로 조선 창업공신들의 논공행상에 대해 가장 책임 있게 평가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이성계가 정도전을 어떻게 평가했는가 1395년 1월 25일 삼사판사 정도전이 정당문학 정총과 함께『고려사』를 지어 바치자 이성계가 이를 치하하며 정도전에게 내린 글이다. 경의 학문은 경서와 역사의 깊은 문제까지 파고 들어갔고 지식은 고금의 변천을 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12.3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