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실과교육 시험정리 완벽 서브노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실과교육 시험정리 완벽 서브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1 -
* 실과 교육의 개념
< 1. 교육과정 해설서와 실과교육의 성격 >
* 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내용요소에 대한 이해
* 7차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의 성격
*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언급한 실과교과의 성격
* 실과 교과에 대한 다양한 성격 규명
* 교육과정해설서와 실과교육의 성격
< 2. 실과 교과의 목표 >
* 실과교육의 학문영역
< 3. 실과 교육의 내용 >
* 실과 교육 내용체계의 기본원칙
*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 2 -
< 1. 교육과정 >
*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4가지 관점
* 교육과정의 변화
< 2. 실과 내용영역의 변화 >
* 교육과정 제정 이전 시대 실과교육
* 일제시대와 실과교육
* 국민학교 교수요목의 시기(1946-1954)
* 제 1차 교육과정 (1954-1963)
* 제 2차 교육과정 (1963-1973)
* 제 3차 교육과정 (1973-1981)
* 제 4차 교육과정 (1981-1987)
* 제 5차 교육과정 (1987-1992)
* 제 6차 교육과정 (1992-1997)
* 제 7차 교육과정 (1997-)
* 실과 교수 학습 방향

- 3 -
< 1. 수업 설계를 위한 이론적 배경 >
* 수업에 대한 견해
* 수업 설계에 대한 견해
*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좋은 교수학습 방법
* 수업 설계에 대한 관점
< 2. 수업 설계의 절차 >
* 수업 설계의 요소
* 교육과정 및 수업내용 분석
*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 수업모형의 유형(Joyce & Will. 2004)
* 활용자료 및 활용방법 결정
* 수업설계의 절차
< 3. 공작적 문제해결 모형 >
* 문제해결이란?
* 공작적 문제해결 모형의 문제의 유형
* 공작적 문제 해결 모형의 기원


- 4 -
< 1. 실과교과와 문제해결과의 관계>
* 실과교과에서 문제해결 수업의 필요성
* 실과학습지도의 특성(최유현,1997)
* 문제해결 접근법에 대한 분류
* 실천적 문제해결 학습에서 다루는 문제의 본질
* 문제해결수업 적용에 따른 기본 전략
< 2. 여러 가지 문제해결 수업의 절차 >
* 문제해결학습 모형 1
* 문제해결학습 모형 2 (Todd, 1990, IDEATE모형, 기술적 문제 해결)
* 문제해결학습 모형 3 (Daiber, Literland & Thode, 1991, 기술적 문제해결)
< 3.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 >
*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의 기원
* 실천적 추론과정에 포함되는 요소
*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의 일반적인 절차
*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의 적용


- 5 -
< 1. 프로젝트 학습 >
* 프로젝트 학습의 개념
* 프로젝트 교수방법의 기원
* 프로젝트 학습법의 특징
* 프로젝트 학습과 다른 교육방식의 차이점
* 프로젝트 학습의 장/단점
< 2. 여러 가지 프로젝트 학습 >
* Kilpatrick(킬패트릭)의 모형
* Katz & Chard 의 모형 (프로젝트 접근법)
*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접근법
* Home Project (홈프로젝트)
< 3. 실과교육과 프로젝트 학습모형 예 >
* 재활용품 프로젝트(7차교육과정)

본문내용

관련시켜 그 효과가 있을때 적용시켜야 함.) (실천적 문제해결 학습을 적용한 지도안 참조 프린트 예시 : 역할갈등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행동 - 역할갈등이 생기는 이유나 해결방안을 다루지만, 이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고 시간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교사가 내용을 택하여 수업할 수 있고 활동에 대한 융통성이 크다. 지도안 일부분만 가지고 수업할 수도 있다. 이처럼 아이들이 가질만한 문제를 사례로 교사가 제시해 줌으로 아이들이 자신을 비추어보고 그런 문제 상황이 닥칠 때 해결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런 생각과 해결활동을 통해 타인의 해결방법과 가치도 알 수 있고, 그를 통해 자신도 그런 사고과정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프린트 5 -
(프로젝트학습, 여러 가지프로젝트학습, 실과교육과 프로젝트 학습모형의 예)
< 1. 프로젝트 학습 > - 교재 89p~ 참조!
* 프로젝트 학습의 개념
① Dewey 의 반성적 사고에 기초 (Kilpatrick이 체계화)
② 마음속에서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기 위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활동
③ 목적을 가진 경험중에서 왕성한 목적의식으로 행동의 목적을 결정하고 과정을 이끌어 가는 활동이나 내적 기능을 부여하는 목적적 활동(by kilpatrick)
(학생이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생활상 가치있는 문제를 선정하여, 자기 힘으로 계획을 세워서 그것을 해결하는 활동을 수행케 하는 것)
* 프로젝트 교수방법의 기원
① 공작학습(Richards, 1900)
② 홈프로젝트 - ‘농업’교육에서 시작됨 (Stevenson, 1908)
③ 구안법(Kilpatrick, 1919) - ‘프로젝트 방법’이라 함.
④ 프로젝트 접근법 (Katz & Chard, 1989) (수업 중 현장 견학 반드시 포함)
* 프로젝트 학습법의 특징
① 수업의 주체자는 학생이다.
② 창의성을 요하는 학습목표에 적당하다.
③ 학습자의 계획에 의해 운영된다.
④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에 맞게 과제를 선정한다.
⑤ “목적설정, 계획, 실행, 평가”의 단계로 진행된다.
⑥ 주체는 학습자이고 교사는 조언자이다.
* 프로젝트 학습과 다른 교육방식의 차이점
① 학습내용의 선정에 아동의 참여
② 아동의 호기심과 흥미가 충족될 때까지 활동에 몰입, 학습
③ 실생활과 관련된 유의미한 학습이 가능
④ 창의적 발견 기회 제공, 체험적 탐색 가능
⑤ 타인과 상호 협동, 학교 구성원, 지역사회와의 관계 증진 (ex: 레지오 아밀리레의 교육)
* 프로젝트 학습의 장/단점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와 학생이 주체이고 교사는 운영하는 것)
1) 장점
① 확실한 동기화
② 자주성과 책임감 훈련
③ 학교생활과 실제생활의 결부
④ 학습에 대한 인내심과 작업 완수의 즐거움
⑤ 창의적, 연구적 태도육성
⑥ 협동정신, 지도정신, 희생정신 함양
2) 단점
① 자신의 능력이 부족시 시간과 정력 낭비
② 자료 부족시 실패
③ 특수 학생이 독점하는 경향
④ 무질서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⑤ 교재의 논리적인 체제를 무시하는 경향
⑥ 감상적, 기계적 숙련이 필요한 학습을 등한시
* 프로젝트 학습단계(교재89p)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동이 자신들이 알고자 하는 것을 유목화하는 등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스스로 하는데 초점.)
① 목적 (학습문제 선택, 학습목적확인, 흥미환기,학습문제선정)
② 계획 (학습계획, 자료수집, 설계)
③ 수행 (안전유의! 창의성발휘, 격려)
④ 평가
< 2. 여러 가지 프로젝트 학습 >
* Kilpatrick(킬패트릭)의 모형
절차 : 목적→계획→실행(수행)→평가
목적 : 학습문제 선택, 학습목표 확인, 흥미환기
계획 : 학습계획, 자료수집, 설계
실행 : 안전유의, 창의력발휘, 격려
평가 : 자기반성평가, 전시보고, 상호평가
* Katz & Chard 의 모형 (프로젝트 접근법)
절차 : 준비→시작→전개→마무리
준비 : 주제선정, 주제망 구성
시작 : 개인적 경험 회상, 개인적 기억 묘사, 서로의 경험 공유, 질문찾기
전개 : 현장견학준비, 현장견학, 현장견학사후활동, 전문가방문
마무리 : 결과발표 및 공유, 활동과 작품평가, 새 지식의 내면화
*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 접근법
(유아를 대상으로 모든 교육과정을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 이 교육은 그 지역이 다 유치원, 즉 교육과정이 국가에서 정해진 틀이 있는게 아니라, 아이들이 관찰하고 알아내는 학습임. 유아교육에서 예술적 재능을 발달시키기 위해 쓰이기도 함.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게 어려워서 초등에 효과가 높다고 생각. )
사회적 구성주의 철학아래 개발된 프로젝트 학습
유아를 대상으로 모든 교육과정을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
현장경험과 직접체험을 중시, 예술적 심미안 고려
아동과 아동, 아동과 교사간의 협동적 상호작용을 중시
아동의 반응에 따라 분출적인 질문을 이용
* Home Project (홈프로젝트) - 교재 91p~ 참조!
(가정이라는 공간을 학습의 교재로 삼고, 가정이 가진 교육환경으로서의 유리한 변인을 학습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나 요즘은 잘 안씀. 왜냐하면 잘못하면 집에 다 떠맡기는 식이 될 수도 있으므로... 따라서 가족이 ‘협조’는 하되, 아이들이 스스로 하도록 유도)
절차
① 문제제기
② 실습계획수립
③ 시범실습
④ 과제제시(학교)
⑤ 실습준비
⑥ 실습
⑦ 반성평가(가정)
⑧ 개인별발표, 상호비교 수정보완
형태 : 개별실습, 가족실습, 소집단별실습, 마을별실습
실천 방법 : 가족의 도움 필수, 혼자하도록 사전지도 철저해야 함,
교사의 안내에 따라 지도 조언을 받은 후 실습, 학부형에 대한 안내장, 계몽활동 필요
< 3. 실과교육과 프로젝트 학습모형 예 >
* 밥상차리기 프로젝트 (6차 교육과정)
* 재활용품 프로젝트(7차교육과정)
① 프로젝트 시작 : 흥미유발, 주제망 만들기, 질문거리 찾기 (brainstorming, 경험나누기)
② 프로젝트 전개 : 재활용과 재활용품 만들기, 만들어보기, 현장견학하기
③ 프로젝트 마무리 : 재활용품 만들기, 전시하기.
(문제해결적 접근에 ‘공장/실천적 문제해결학습, 프로젝트학습, 홈프로젝트법’이 포함되는것)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01.0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