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가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향가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향가>의 형성

2. <춘향가>의 성장과 발전

3. <춘향가>의 계통

4. <춘향가>의 자력(磁力)

본문내용

쌍거쌍래 비둘기 같이 꾹꿍꿍꿍 으흥거려 뒤로 돌려 담쑥 안고 젖을 쥐고 발발 떨며 저고리 치마 바지 속곳까지 활씬 벗겨 놓으니 춘향은 부끄러워 한편으로 잡치고 앉아 얼굴이 볼그레하고 구슬땀이 송실송실 맺힌다. 어디 이뿐인가, <춘향가>에는 ‘정자타령’, ‘궁자타령’, ‘비점가’ 등 춘향과 이도령의 성행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거나 빗대어 부른 사랑가가 즐비하다. 갈 데까지 다 갔지만 전혀 상스럽거나 추하지 않다. 그래서 <춘향가>이다. <춘향가>는 이와 같이 은밀한 남녀간의 관능적인 사랑을 열린 공간에 드러내 놓고 자연스럽고 떳떳하게 즐길 수 있게 해 준다.
4) 축제양식에 의한 문제 해결
<춘향가>가 줄곧 문제삼고 있는 것은 춘향의 사랑이다. 이 문제는 열린 공간이자 공식적 공간인 동헌(東軒)에서 축제양식으로 해결된다. 이러한 해결방식은 판소리 외의 어떤 장르도 일찍이 겪어보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양식이다. 춘향은 어사가 낭군임을 알고 대상에 뛰어올라 목을 얼싸안고 춤을 춘다. 가슴 속에 깊이 묻어 두었던 한의 덩어리를 단숨에 쓸어내릴 수 있는 춤이다. 판소리가 선택한 축제양식에 의한 문제해결 방식은 예사롭지 않다. 민중들은 닫힌 공간에서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문제해결을 신뢰하지 않고, 열린 공간에서 그들의 참여하에 이루어지는 문제해결만 신뢰하며, 또 그렇게 문제가 해결되기를 고집한다. 민중들은 열린 공간에서 문제가 해결될 때만 유효하다는 것을 삶의 현장에서 체득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월매는 우리에게 축제판에 동참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그녀는 이도령이 어사가 되어 춘향을 살려냈다는 소문을 듣고 달려와 궁둥이를 두었다가 논을 사나 밭을 사나 흔들 대로 흔들어 보자며 한바탕 엉덩이 춤을 신나게 춘다. 월매가 추는 엉덩이 춤은 신명 났을 때 저절로 추어지는 주체할 수 없는 춤이고, 그것은 바로 한풀이 굿에서 한을 풀어내는 무당의 신들린 춤과 다를 바 없다. 이제까지 한 걸음 물러선 자리에서 춘향의 승리를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했던 우리는 월매가 벌이는 춤판에 뛰어들어 그녀와 더불어 엉덩이 춤을 신명나게 추며 춘향의 승리를 체험하고 그것에 환호한다. 여기에 와서야 비로소 춘향의 승리가 우리 모두의 승리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되고, 그것은 완전한 것이 된다.
5) 신랄한 현실비판
당대의 사회상을 잘 반영하고 있고, 시대적 모순과 아픔을 첨예하게 드러내고 있는 점도 <춘향가>의 자력으로 주목해야 한다. 남원백성들은 부정부패로 얼룩진 현실을 무서울 정도로 정확하게 인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지방관과 관속들이 자행하고 있는 민중수탈의 현장을 준엄하게 고발한다. 춘향을 잡으러 갔던 사령군뢰들이 술대접과 뇌물에 혹하는 것도 부정적인 현실의 한 단면을 고발한 것이다. 더욱이 이몽룡을 전라어사로 파견할 수밖에 없는 속사정은 심상치 않다. 팔도에 賊炎이 들어 各道에 어사를 내어 虐政하는 탐관오리와 破傷倫紀하는 자들을 處斬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조정에서도 도적 떼가 횡행하고 탐관오리가 만연한 사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을 정도이니 백성들의 삶은 오죽했겠는가?
“남원부사 말을 마오. 욕심이 어떠한 도적놈인지 민간 미전 목포를 고래질하여 백성이 모두 거상지경이오”(이명선본)
어느 농부가 변학도를 백성의 재물을 고래질하는 욕심 많은 도적놈으로 비난한 것이다. 부패한 지방관속들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뱃속을 채우기 위해 착취할 뿐만 아니라 변학도에게 환심을 사기 위해 생일잔치에 바칠 뇌물인 돈과 쌀을 민간수렴을 자행하고 있다.
“관쇽드리 어 려온단 말을 듯고 관젼 목포 환상 젼결 복슈 문셔 닥글

키워드

춘향가,   춘향,   이몽룡,   변사또,   암행어사,   굿,   기생,   금오공대
  • 가격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0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