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 부정문의 의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 국어 부정문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Ⅱ.본론
1. 부정문의 형성
1-1. 부정문과 긍정문
1-2. 부정문 범위규정
1-3. 부정소 유형별 부정문
2. 부정 아닌 부정
2-1. 확인문
2-2. 회의문
3. 이중부정문
3-1. 개념
3-2. 의미 기능

Ⅲ.결론

본문내용

국어에서 이중부정문이 의의를 갖게 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부정문과 긍정문 및 부정소 유형별 부정문의 양상, 부정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부정문이 아닌 문장을 살펴봄으로써 부정문의 범위를 규정하였으며 이중부정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이중부정문의 범위를 다시 규정하고 이중부정문에 국어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정문은 반드시 대응되는 긍정문을 가지고 있으며 통사적 조건으로 부정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때 부정소는 긍정문을 부정문이 되게 만드는 요소로서 '아니'와 '못'이 있으며 이러한 부정소는 긍정문을 그에 대웅하는 부정문으로 만드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확인문과 회의문에서 나타나듯이 '아니'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부정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확인문과 회의문의 '아니'는 부정문의 부정소 '아니'와 같은 모습이지만 이 경우 확인문과 회의문에 나타나는 부정소는 가부정으로서 각각 앞서 전제한 것을 확인하는 기능과 말하는 이가 자기 바람에 대한 걱정이나 의혹, 두려움 등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며 부정의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확인문과 회의문은 부정문이라 보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부정문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정소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 부정소는 부정의 기능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중부정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중부정문은 우선 이중부정과 구별되어야 하고, 특정 발화 상황에서의 부정문 강조와 구별되어야 하고, 나아가 문장의 최종적인 진리치를 따져 보는 언어유희와 구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고 이중부정문의 실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중 부정문의 조건을 명시하였다.
<1> 한 문장 안에 부정소가 둘 나타난 문장이다.
<2> 두 부정소는 문장 안에서 온전한 의미의 부정소로서 기능한다.
<3> 두 부정소가 장·단형으로 나뉘어 실현되고 그 두 부정소가 동일한 의미 를 갖는 것이 아닐 때 이중부정문이 성립하다.
이와함께 이중부정문의 의미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중부정문의 의미는 부정·부정을 기계적으로 상쇄시킨 긍정 의미와 동일하지 않았다.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국어에서 이중부정문이 의의를 갖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영근, 「보충법과 불완전 계열의 문제」, 어학연구 23.3., 505-26(520-23), 1987.
고영근·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1985.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김승동, 「현대국어 부정문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 1995.
김동식, 「현대 국어 부정법의 연구」, 국어연구 42, 국어연구회, 1980.
, 「부정 아닌 부정」, 한국언어학회, 1981.
, 「부정법」, 동아출판사, 1990.
김석득, 「한국어 부정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53, 47-58, 1971.
김성화, 「'- 지/다가/고 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 10, 147-74, 1989.
김영만, 「국어의 부정문에 대하여」, 조규설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1982.
김영욱, 「국어 부정문의 유형」, 선청어문 14·15, 서울대 사대 국어과, 1986.
박상규,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부정법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1977.
박순함, 「A transformational Anlysis of Negation in Korean」, 백합출판사, 1967.
배해수, 「국어 부정법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1975.
백봉자, 「한국어의 부정과 그 범주」, 연세어문학 6, 연세대 국문과, 1975.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 깊은 나무, 1994.
성광수, 「부정-변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52, 75-99, 1971.
송석중, 「Some Transformational Rules in Korean」, Indiana Univ. 1967.
, 「동의성 -언어학자의 Frankenstein-」, 국어학 2, 65-82, 1974.
신원재, 「현대국어 부정표현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논문집 27, 서울대 사대 국어과, 1987.
오숙화, 「현대국어 부정문 연구」, 서울대대학원, 1994.
오준규, 「Aspects of Korxan Syntax-Quantification, Relativization, Topicalization and Negation」, 범한서적주식회사, 1971a.
, 「On the Negation of Korean」, 어학연구 7-2., 45-66. 1971b.
이상복, 「동사 '말다'에 대하여」, 연세어문학 12, 연세대 국문과, 1979.
이소영, 「현대국어 부정문의 해석에 대하여」, 숙명여대, 1990.
이영헌, 「국어 부정법의 통어적 특성-부정의 범위와 부정소의 상호관계를 중심 으로-」, 외국문화연구, 조선대 외국문화연구소, 1979.
이은섭, 「현대국어 부정문의 통사구조」, 서울대학, 1996.
이익환, 「국어 외부부정의 의미 해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9.
이정민, 「부정명령의 분석」, 어학연구 13.2., 105-14, 1977.
이창용, 「국어 부정문 연구」, 세종대학, 1990.
이홍배, 「A study pf Korean Syntax: Performatives, Complementations, Negation and Causation」, 범한서적주식회사, 1970a.
, 「On negation in Korean」, 어학연구 6.2., 33-59, 1970b.
, 「국어 부정문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어학연구 8.2., 60-77, 1972.
임홍빈, 「부정의 양상」,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1973.
,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연구소, 1987.
장경기, 「국어 부정의문문과 전제」, 어학연구 22-1, 1986.
장석진, 「국어의 부가 의문문: 형식과 기능」, 언어 9.2., 259-77, 1984.
정원수, 「부정형태 '잖(찮)'- 대하여」, 국어국문학 100, 283-94, 1988.
천기석, 「부정표현 '못하다'의 의미 체계」, 어문논지 3, 충남대 국문과, 1978a.
, 「표면제약 부정과 심층제약 부정」, 어문논총 12, 경북대 국문과, 197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