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국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Ⅱ. 미국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Ⅲ. 호주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Ⅳ. 일본
1. 추진체계
2. 정보화 계획
Ⅴ. 프랑스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Ⅵ. 독일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Ⅱ. 미국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Ⅲ. 호주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Ⅳ. 일본
1. 추진체계
2. 정보화 계획
Ⅴ. 프랑스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Ⅵ. 독일
1. 추진체계
2. 전자정부 계획
본문내용
998년)\' : 지식경제구현을 위한 10가지의 전략과 구체적인 분야 (예, 기술, 문화, 규제, 기반시설 및 전자상거래 등)를 명시하고, 1999년 말에 전자적 정부서비스전달을 강조하고 있고, 2000년에는 그 동안의 성과를 평가에 초점.
‘온라인정부(Government Online: The Commonwealth Government\'s Strategy, 2000)’ : 총 8개 전략으로서 인터넷의 활용을 극대화, 전자정부구현에 필요한 기본적인 업무의 구축(예, 인중, 메타데이타 표준화, 기록보존지침, 프라이버시 및 안전보호 등), 호주 전 지역에 전자적 정부서비스공급 확충, 전자정부의 호주정보통신산업에의 영향력 극대화, 정부업무의 전자화, 우수사례발굴 및 성과모니터링, 범부처적 서비스의 원활화, 관련 당사자들과의 대화를 제시
1999년의 전자정부 추진현황보고서(Government Online Progress Report) : 정부기관의 90%가 2001년까지 목표 달성에 확신하며, 현재 74%의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중이라고 분석하고 ‘전자거래법(Electronic Transaction Act, 1999)의 통과로 온라인상의 거래가 오프라인상의 거래와 똑같은 법적 효과를 지니게 됨.
2001년까지 연방정부의 1600가지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되었다.
Ⅳ. 일본
1. 추진체계
2001년 1월 중앙성청 통합에 따라 그 동안 각기 정보화 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여 왔던 우정성(초고속망), 자치성(지역정보화), 총무청(행정정보화) 등이 총무성으로 통폐합되어 총무성으로 출범하게 됨에 따라 전자정부 추진체제의 통합성이 확보됨
총리 직할의 성청 제휴 프로젝트팀인 Virtual Agency는 기존의 성청별 조직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정보화 추진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총리(내각총리대신) 직할로서 1998년 12월에 설치.
Virtual Agency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 중에서 자동차 보유관련 업무의 원스톱 서비스화, 정부조달업무(공공사업은 제외)의 전자화, 종이 없는 행정사무, 교육정보화 등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성청의 경계를 초월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 임무를 수행.
집권 자민당은 2002년 8월 1일 관방장관에게 각 성청에 정보시스템 개발 등과 함께 인사, 기구정원 등의 업무 전반을 책임지는 CIO의 설치와, 내각에 각 성청의 CIO로 구성된 CIO 연락회의를 설치하는 것을 건의함
2. 정보화 계획
‘일본신생을 위한 신개발정책‘(New Development Policy for the Rebirth of Japan, 2000.10) : IT를 경기회복의 견인차로 삼아 경제, 사회보장, 교육, 행정, 외교 등의 5개 분야 개혁추진을 시도
이후 2001년 6월 e-Japan 2002 전략 및 2002년 4월 e-Japan 중점계획 재검토안을 통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 형성, 교육·학습의 진흥 및 인재육성, 전자상거래 등의 촉진, 행정정보화 및 공공분야에 있어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촉진, 고도 정보통신 네트
‘온라인정부(Government Online: The Commonwealth Government\'s Strategy, 2000)’ : 총 8개 전략으로서 인터넷의 활용을 극대화, 전자정부구현에 필요한 기본적인 업무의 구축(예, 인중, 메타데이타 표준화, 기록보존지침, 프라이버시 및 안전보호 등), 호주 전 지역에 전자적 정부서비스공급 확충, 전자정부의 호주정보통신산업에의 영향력 극대화, 정부업무의 전자화, 우수사례발굴 및 성과모니터링, 범부처적 서비스의 원활화, 관련 당사자들과의 대화를 제시
1999년의 전자정부 추진현황보고서(Government Online Progress Report) : 정부기관의 90%가 2001년까지 목표 달성에 확신하며, 현재 74%의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중이라고 분석하고 ‘전자거래법(Electronic Transaction Act, 1999)의 통과로 온라인상의 거래가 오프라인상의 거래와 똑같은 법적 효과를 지니게 됨.
2001년까지 연방정부의 1600가지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되었다.
Ⅳ. 일본
1. 추진체계
2001년 1월 중앙성청 통합에 따라 그 동안 각기 정보화 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여 왔던 우정성(초고속망), 자치성(지역정보화), 총무청(행정정보화) 등이 총무성으로 통폐합되어 총무성으로 출범하게 됨에 따라 전자정부 추진체제의 통합성이 확보됨
총리 직할의 성청 제휴 프로젝트팀인 Virtual Agency는 기존의 성청별 조직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정보화 추진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총리(내각총리대신) 직할로서 1998년 12월에 설치.
Virtual Agency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프로젝트 중에서 자동차 보유관련 업무의 원스톱 서비스화, 정부조달업무(공공사업은 제외)의 전자화, 종이 없는 행정사무, 교육정보화 등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성청의 경계를 초월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 임무를 수행.
집권 자민당은 2002년 8월 1일 관방장관에게 각 성청에 정보시스템 개발 등과 함께 인사, 기구정원 등의 업무 전반을 책임지는 CIO의 설치와, 내각에 각 성청의 CIO로 구성된 CIO 연락회의를 설치하는 것을 건의함
2. 정보화 계획
‘일본신생을 위한 신개발정책‘(New Development Policy for the Rebirth of Japan, 2000.10) : IT를 경기회복의 견인차로 삼아 경제, 사회보장, 교육, 행정, 외교 등의 5개 분야 개혁추진을 시도
이후 2001년 6월 e-Japan 2002 전략 및 2002년 4월 e-Japan 중점계획 재검토안을 통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고도정보통신 네트워크 형성, 교육·학습의 진흥 및 인재육성, 전자상거래 등의 촉진, 행정정보화 및 공공분야에 있어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촉진, 고도 정보통신 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