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 한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난설헌 한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
2. 위작론의

II. 난설헌의 배경
1. 가족관계 및 생애
2. 난설헌 시의 영향
3. 난설헌의 3가지 한

III. 난설헌의 시문학
1. 사회시
2. 애정시
3. 신선시

IV. 결론
1. 참고문헌
2. 연보

본문내용

봉건사회로 여인은 한 인간으로서 지위와 권리를 누릴 수 없는 시대였다는 점에서 난설헌은 더 높은 가치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난설헌은 안타깝게도 난설헌이라는 이름 보다는 許筠의 누이로 더 인식되는게 현실이다. 또한 난설헌의 작품은 그 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剽竊여부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안타깝기만 하다.
본 소논고에서는 난설헌의 작품보다 난설헌이라는 인물에 초점을 두었음을 다시 한번 밝혀두는 바이다. 작가의 작품연구가 아닌 작가에 대한 고찰이 주제이기 때문이다. 난설헌의 가문은 정치가이고, 문장가로 그 가문의 이름이 중국에까지 알려진 뛰어난 가문이었다. 난설헌 媤家의 가문 또한 허씨 가문에 비교할 만 했으니, 화려한 親家나 媤家의 가문의 가문은 난설헌의 詩作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난설헌은 이러한 유복한 어린 시절과는 달리 出嫁 이후의 생활은 순탄치 못했다. 가정이라는 이름 안에서 가장 큰 중심자는 남편이다. 그러나 난설헌의 三恨 중 하나가 '왜 김성립의 아내가 되었는가'에서 볼 수 있듯이 난설헌에게 있어서 남편 김성립은 가장 큰 괴로움의 근원이었다. 그러한 恨을 드러낼 정도로 부부간의 琴瑟이 안 좋았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雪上加霜으로 사랑하는 자녀의 죽음, 당쟁에 의한 친정의 몰락 등 견디기 힘든 현실의 고뇌 속에서 살았던 난설헌 이었다.
난설헌은 유복한 문장가 집에서 태어났으며, 士大夫家에서 오빠 허봉의 영향과 스승 손곡의 영향으로 글재주를 익히게 되지만 결혼과 동시에 불행한 삶을 맞이하게 된다. 이들은 권위주의적인 조선조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반항적 기질과 자유의식, 사회비판적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영향 아래 난설헌은 조선조 여성의 모습을 숙명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모순을 헤쳐 나가는 知的으로 앞선 여성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의 작품에는 스승 손곡의 영향을 받은 社會詩와 그녀의 불행한 또 여자로써의 삶을 표현한 愛情詩, 그리고 현실을 보상받고 싶어하는 모습을 보인 神仙詩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애정을 나타낸 시에서는 끈끈한 혈육의 정, 그리움과 기다림의 정서, 사랑에 관한 모습등이 나타났다. 사랑의 감정을 갖는다는 것은 인간의 당연한 감정일 것이다. 그러나 난설헌의 애정시응 낭만적 아름다움보다는 괴로움의 정서가 두드러진다. 이는 자식의 죽음과 가문의 몰락, 남편과의 불화 등 현실적 생활의 괴로움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사회 참여 의식을 나타낸 시는 규방 시인이 다루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 난설헌은 스승인 李達에게서 모순적인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기를 수 있었고, 아우 筠에게서 사회에 대한 반항의식, 개혁의식을 나름대로 주체적으로 수용하면서 작품을 창작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貧女吟> 에서는 가난한 여인의 삶을 그리고 있는데, 날카로운 사회비판과 가난한 여인에 대한 연민의 정이 담겨 있고, 많은 시에서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주고 잇다.
신선세계를 나타낸 시는 유선사를 중심으로 애정과 관련된 시는 현실세계와 같이 괴로움의 정서가 두드러진다. 선계참관을 나타낸 시에서는 儀式의 화려함과 영광스러운 모습이 드러나는데, 이는 과거 미화심리의 보상이며, 현재에 대한 불만족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 3가지로 나눠지는 시들은 난설헌이 품고 있었던 3가지의 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난설헌은 자의식을 보존하려는 주체의식이 강하였고 남성주위 사회에서 어떠한 방법으로든 자신을 표출하고 싶었는데 그러한 방법으로 문학작품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라는 제약이 심한 시대를 살면서, 시대의 번민을 호소하고 여성이라는 제약을 극복하고자 했던 그녀의 삶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도 난설헌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요할 것이다. 눈물과 한의 여인 허난설헌, 꿈의 날개를 펼쳐 보지도 못하고 접어 버린 허난설헌, 그에게 뜻을 펼칠 환경이 부여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參 考 文 獻
1. 단행본
許米子 著, 「許蘭雪軒硏究」, 誠信女子大學校出版部, 1985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 저, 「조선문학통사 1(고대.중세편)」, 以會文化社, 1996
허경진 엮음,「許蘭雪軒 詩選」, 평민사, 1988
2. 논문
장인애, 「허난설헌의 시문학 연구」, 세종대학교, 1995
金文淑, 「蘭雪軒 詩文學 硏究」, 暻園大學校, 1996
金學周, 「許蘭雪軒 漢詩 硏究」, 暻園大學校, 2001
年 譜
1세(1563,명종18년): 허난설헌은 강릉 초당 생가에서 초당 허엽의 삼남 삼녀중 셋째딸로 태어났다.
8세(1570,선조3년):『광한전백옥루상량문』을 지었으며 뒷날 주옥같은 시 213수를 남겼다.
15세(1577,선조10년): 난설헌은 이 때 서당 김성립에게 시집간 것으로 보인다.
23세(1585,선조17년): 자기의 죽음을 예언하는 시『몽유광산산』를 지었다.
27세(1589,선조21년): 짧은 나이로 한많은 세상을 떠났다. 유해는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지 월리 경수산에 묻혔다.
1590년(선조23): 이 해 11월 남동생 허균이 친정에 흩어져 있던 난설헌의 시를 모으고,자신 이 암기하고 있던것 을 모아서『난설헌집』초고를 만들고, 유성룡에게 서 문을 받았다.
1592년(선조25): 난설헌의 남편 김성립이 임진왜란에 참가하여 전쟁중에 싸우다가 죽었다.
1598년(선조31): 이 해 봄 정유재란때 명나라에서 원정 나온 문인 오명제에게 허균이 난설 헌 의시 200여편을 보여주었다. 이 시가 『조선시선』『열조시선』등에 실 렸다.
1606년(선조39년): 허균은 이 해 3월 27일 중국사신 주지번, 양유년 등에게 난설헌의 시 를 모아서 전해주어『난설헌집』은 사후 18년 뒤에 중국에서 간행되었다.
1607년(선조40년): 이 해 4월 허균이 『난설헌집』을 목판본으로 출판하였다. 난설헌집의 발문은 태안 피향당에서 지었다.
1711년: 일본에서 분다이야 지로베이에 의하여 『난설헌집』이 간행되었다.
1913년: 이 해 1월 10일 허경란이 난설헌의 시를 읽고 감화받아 자신이 소설헌 이라고 칭하 며 시를 지은 『소설헌집』이 활자본으로 신해음사에서 출판되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