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사갑민가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조가사갑민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추구 의식에서 기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서술된 갑산민의 생애는 지방적 특수성과 개별성을 지닌 민중사실이면서 동시에 당시의 사회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전형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것으로 인해 이 작품은 서사성을 띠게 된다고 보았다. 결국, <갑민가>의 작가의식은 급변하는 사회, 갈등하는 사회에서 현실에 대처해 나가는 사회 구성원 각각의 삶에 대해 관심이 고조해 나갔던 시대정신의 산물로서 그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결론을 맺고 있다.
③ 김용찬, 「<갑민가>의 주제에 대한 재검토」,고려대학교,『어문논집』33,
<갑민가>를 작품론의 측면에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당대 현실 반영의 면모와 작자층의 성격, 그리고 주제에 대해 논하였다. 작품 속에서 갑민이 비록 자신이 처한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이향(離鄕)이라는 소극적인 선택에 머물지라도, 그의 형상을 통해 당대 민중들에게 닥쳤던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 아울러 단지 현실에 대한 단순한 보고의 성격이 아닌,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당대 현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가진 문학적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고 하였다.
이런 근거 위에서 작자는 현실비판가사의 작자층과 동일한 계층으로 파악할 수 있다. 현실비판가사의 작자층에 소속되어 동일한 사회적 성격을 지님으로써 공통의 의식과 세계관을 지닐 수 있었던 인물, 즉 지방하층사족층에의해 지어졌다 하겠다.
함경남도 갑산은 산악지대에 근접하여 있다. 농토가 적었기 때문에 산악지대를 배경으로 하는 농가부업, 본문에서도 서술되어 있는 채삼이나 돈피수렵이 성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농가 생산력이 미약하였기 때문에 관북민들의 생활상은 언제나 궁박한 상태였다.그런데 관서를 비롯한 북부 변방지역은 본래 사족층의 지배질서가 삼남지방에 비해 약한 편이었다. 북방지역은 사족의 지배질서가 튼튼하지 못했고, 향임을 요직으로 여기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회신분제의 동요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부작용도 다른 지방에 비해 현저하게 나타나는 곳이었다.
갑산민은 스스로 자기 가문이 원래 갑산읍에서 좌수, 별감, 풍헌, 감관 등 향임직과 유사, 장의 등의 향교직을 맡았던 사족층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그래서 갑산민 일가는 군역에서 제외될 수 있었다. 그런데 “애슬푸다 내시절의 원수인의 모해로서 군사강정되단말가”의 구절에서 말하였듯이 갑산민 당대에 이르러 일가가 군역을 부담하게 되었던 것이다. ‘원수인의 모해’로 표현된 것의 내막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곳 변방 지역의 극심한 매향 풍조가 배경으로 깔려 있었을 것이다.
한편 조선 후기 수취제도는 각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공동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갑산민은 자기가 살고 있는 갑산지방을 떠나 인읍인 북청으로 간다고 하였다. 그곳에서는 大小家가 고루 군액을 분담하여 많아야 삼량오전을 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갑산민은 자신이 사족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와서 군역에 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본다면 그가 조선 후기 사회신분제의 동요 과정에서 향촌 내 지배력의 행사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었던 소외계층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족출신인 갑산민의 사정에 비추어 볼 때 일반 농민의 처지는 말할 것도 없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갑민가」는 조선 후기 변방지역의 사회 신분제의 극심한 혼란과 변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2. 내용3)
이 부분은 작품 도입부로 생원의 갑민에 대한 형색을 묘사하고, 遊離하지 말고 고향에서 살 것을 권장하는 내용이다.
어져어져 저기가 저(어이어이 저기가는 이사람아)
네 行色 보아니 軍군士逃도亡망 네로고나 / 腰뇨上상으로 볼시면 뵈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1.2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