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이론과 자살 실태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살의 이론과 자살 실태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말

자살에 관한 이론적 검토
1.자살의 개념
2.자살에 관한 이론
3.최근 우리나라 자살지에 대한 실태분석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4.자살예방을 위한 대책 검토
5. 맺는 말

본문내용

자살의 이론과 자살 실태에 관한 고찰
-최근 5년간 자살 통계를 중심으로
1.들어가는 말
2004년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3년 현재, 우리나라는 연간 1만 932명이 자살로 사망하고 35만 명이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F이후로 어려운 경제와 사회문제로 인해 최근 10년간 자살인구는 7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IMF이후 감소하던 자살 사망률이 다시 증가함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 정신보건과는 자살방지를 위한 정책으로 자살방지를 위한 상담전화를 개설하고, 상담전화의 운영을 통해 자실시도를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살상담전화 운영은 2005년 1월 10일 오전 9시부터 24시간 운영되며 전국 120여개의 정신보건센터에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뉴스타운 2005.1.7)
통계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1992년까지 자살은 사망원인의 10위였으나 2003년에는 5위로 상승하며 폐암, 뇌질환 등의 뒤를 있는 사망원인이 됐다. 현재 10년 동안의 자살인구 7만영의 수치를 분석해보면 “매일 30명이 자살로 사망하고 960명이 자살시도를 한다.” 는 분석이 나온다. 그리고 이것은 48분마다 1명이 자살하고 1분 30초마다 자살을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아일보 2004. 9월 22일자)
1990년대 초반까지 자살인구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 중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해 1998년 경제위기시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다시 증가해 2003년 IMF 당시의 자살 사망률을 상회하게 됐다. 이같이 증가하는 자살율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 사망률 4위 자살 증가율 1위의 결과를 기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자살 증가현상은 심각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자살방지시스템이 전혀 마련돼 있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심각한 점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자살 예방 시설 및 네트워크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자살에 관한 이론적인 측면을 알아보고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자살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3년까지의 자살 통계를 분석하여 자살의 원인과 사회 문화적인 대책의 검토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자료는 주로 일간신문과 인터넷 뉴스 사이트에서 최신 통계보도를 참고하였고, 5년간 자살 통계에 대한 분석과 자살 예방 대책 등은 주로 김진혁. 「최근 자살의 실태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17호 (2004년 2.28자).를 참조하였음을 밝힌다.
자살에 관한 이론적 검토
1.자살의 개념
가. 일반적인 개념:
인간의 죽음은 자연적으로 수명을 다한 죽음이거나 타인에 의해 죽임을 당했거나 사고로 인한 죽음이거나 아니면 스스로 자살한 경우 등 어느 한 죽음을 하게 된다. 그런데 자살은 비정상적인 죽음의 하나이다. 그리고 사망의 종류를 따져보면 자살은 폭력적인 죽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살은 일련의 순서를 갖고 진행된다. 그것은 자살에 대한 의사를 구체적으로 가지고 이것을 계획하는 예비적 단계. 자살의 의사결정을 확정하는 단계. 및 실행단계인 자살 기도, 그리고 죽음의 결과를 가져오는 최종 단계를 가정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회적으로 구체적으로 어느 단계부터를 자살의 범주 안으로 포함시켜야 하는 것인가의 문제가 생긴다.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은 막연한 자살에 대한 생각을 ??? 구체적으로 자살을 계획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이 단계부터는 주변 사람들이 주의 깊게 관찰하면 그 징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살 미수를 우리는 자살의 범위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각 단계별 자살 예방 전략을 수립할 때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살이란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자신의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 죽고 싶은 마음. 자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죽고 싶다거나 ‘어떤 방법으로 자살할 수 있을까’ 와 같이 자살 행동을 직접적으로 연상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슈텡엘은 자살의 행동 양식에 대해 “자살 행동을 감행한 당사자가 자신이 살게 될지 죽게 될지 모르는 채 짧은 기간에 감행한 의도적인 자해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또 한 가지 자살에 관해 고려해야 할 문제는 짧은 기간 동안에 직접적인 자해 행위를 하지 않았다 해도, 생에 대한 욕구를 포기한 채 자신의 생명을 무단 방치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행위를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지만, 자살의 범주에서 제외 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환자가 치료를 포기한 행위, 죽음에 대한 욕구로 정상적인 생활을 포기한 중독자나 식음을 거의 포기한 사람, 사고의 순간에서 자신의 생명을 구조하지 않은 사람 등 이를 모두 자살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인가- 라는 문제다.
고의적 의사가 분명하거나 반드시 외형상의 자살소견이 확정적인 경우만을 자살로 인정할 것인가가 문제다. 외견상 자살 소견이 드러나지 않을 경우에는 그러한 행위나 혹은 행위의 종료가 자살의도에 기인한 것인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다. 어떤 경우는 스스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1.22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