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원
주제
학습목표
단계
교수-학습
전개과정
도입
문제 인식
동기 부여
문제 해결
전개
학습 내용
정리
및
발전
정리
주제
학습목표
단계
교수-학습
전개과정
도입
문제 인식
동기 부여
문제 해결
전개
학습 내용
정리
및
발전
정리
본문내용
지 서로 가려 달라고 하였습니다. 원님은 아무리 조사를 해 보아도 도무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가짜 옹고집이 먼저 나서서 집 안에 있는 세간을 술술 주워섬기자, 원님은 마침내 딱 자르듯 판결을 내렸습니다. “당신이 바로 옹고집이오!\" 가짜 옹고집은 원님과 술상 앞에 마주앉았습니다. “하마터면 재산을 가짜 놈에게 몽땅 빼앗길 뻔했습니다.\" “허허허, 세상에 별난 협잡꾼도 다 봅니다그려.\" 진짜 옹고집은 곤장을 맞고 거리로 쫓겨났습니다. “아이고, 돌아가서 누울 집 한 칸도 없구나! 거지가 되었어.\" 가짜 옹고집은 신바람이 나서 춤을 추며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이제 돌아오세요?\" 진짜 옹고집의 아내가 가짜 옹고집을 반겼습니다. “허, 그놈 때문에 까딱했으면 우리 재산 몽땅 날리고, 당신마저 다시 못 볼 뻔했소.” “천만 다행이에요.\" 가짜 옹고집은 껄껄 웃었습니다.
거지가 되어 갖은 고생을 하며 돌아다니던 진짜 옹고집은 산 속에서 도사를 만났습니다. “제가 잘못해서 벌을 받았습니다. 용서해 주십시오.\" 진짜 옹고집은 눈물을 흘리면서 애원했습니다. “이제야 잘못을 뉘우치는군.\" 도사는 부적을 주며, 진짜 옹고집에게 집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진짜 옹고집이 나타나자, 아내가 놀라서 소리쳤습니다. “여보, 저놈이 또 왔어요! 어서 내쫓아요!\" 그러나 이제껏 남편 행세를 해 오던 가짜 옹고집은 온데간데없고, 그 자리에는 짚 한 단이 쓰러져 있었습니다. 옹고집은 그 뒤, 착하게 살았답니다.
공통점
차이점
【형성 평가 정답】
1) ⓐ 그랬더니 ⓑ 그 ⓒ 그러자
형성평가
<수준별-기초>
1. 용소(龍沼)와 며느리 바위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간단히 쓰시오.
( )
2. 내용 조직의 일반 원리 중 ‘통일성’과 관계 깊은 것은?
①처음과 중간, 끝의 각 단계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한다.
②전체적으로 하나의 화제에 따라 내용을 조직하여야 한다.
③지시어나 접속어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유기적인 관계로 조직한다.
④짧고 간단하게 구성한다.
⑤글의 내용은 주제 전부를 포괄해야 하며,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3. 본문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처음
전설 증거물(용소)의 위치와 전설의 내용에 대한 개괄적 언급
중간
<전설 내용의 구체적 제시>
① ( )한 장자가 시주를 부탁하는 ( )을 괄시하여 쫓아냄
② 도승이 ( )를 하는 며느리에게 구원의 길과 금기를 제시함
③ ( )는 벌을 받고, 도망하던 며느리는 ( )를 위반하여
( )가 됨
끝
전설 증거물에 대한 소개 및 부연 설명
<보기> 금기, 바위, 도승, 인색, 시주, 장자
4. 이 이야기의 내용 조직 방법과 관련된 설명이다. 아래 글을 읽고 윗글에 적합한 내용 조직 방법을 두 가지 적어 보자.
용소와 며느리바위에 얽힌 전설 내용을 소개하는 이 이야기는 전체적으로 원래 장재 첨지네 집터자리였던 것이 왜 지금의 용소로 바뀌었는지 그에 얽힌 사연(이유)을 밝히고 있다. 또 사연에 해당하는 ‘전설’ 내용(글의 짜임상 중간 단계 내용에 해당)은 이야기의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① 조직 방법 ② 조직 방법
5. 이 이야기를 교훈을 목적으로 하는 신문 기사로 바꾸어 쓰려고 한다. 다음 중 표제로 적합한 것은?
① 물이 끊임없이 솟아나는 신비한 용소를 찾아…….
② 신이한 능력을 지닌 스님의 복수
③ 인색함이 한 가족의 참화를 불러들여
④ 금기를 어긴 며느리, 돌 되다!
⑤ 장자 첨지 영감, 도승을 몰라보고 내쫓아…….
【형성평가 정답】
1.인색함에 대한 경계 2. ④ 3.인색, 도승, 시주, 장자, 금기, 바위 4. 인과적, 시간적 5. ③
형성평가
<수준별-심화>
※ 용소와 며느리 바위를 읽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재구성해 보았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2)
(1) 장연읍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몽금포로 가는 길옆에 용소라는 곳이 있어.
(2) ( ) 용소는 원래 장재 첨지네 집터 자리였지.
(3) 왜 소가 되었냐 하면, 첨지 영감의 인색함 때문이지.
(4) ( ) 하루는 그 영감의 소문을 듣고 근처 불타산에 있는 스님이 벌주기 위해 일부러 시주 받으러 그 영감을 찾아갔지.
(5) 그랬더니 영감은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에게 큰 소리를 치며 쇠똥을 퍼 주었지.
(6) 그 때 우물가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던 며느리가 시아버지 대신 씻고 있던 쌀을 스님에게 주었어.
(7) ( ) 스님은 며느리에게 이 집에 큰 재앙이 내릴 테니 빨리 몸을 피하라고 얘기해 주었지.
(8) ( ) 말을 듣는 즉시 며느리는 아기를 업고 명주 도투마리를 이고 개를 불러서 산으로 달아났어.
(9) ( ) 그 때 갑자기 큰 벼락 치는 소리가 나지 뭐야.
(10) ( ) 소리에 놀라 뒤를 돌아보는 순간 며느리는 그만 화석이 되고 말았지.
(11) ( ) 스님이 절대 뒤를 돌아보면 안 된다 그랬거든.
(12) ( ) 벼락이 치던 바로 그 순간에 영감이 살던 곳은 큰 못이 되었대.
(13) ( ) 그 곳이 바로 지금의 용소가 된 거야.
(14) 그 소에서는 물이 아주 많이 나오고 매우 깊대.
1. 문맥에 맞도록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나 지시어를 써 보자.
단 계
내 용(기호)
처 음
중 간
끝
2. 위의 내용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려고 한다. 윗글을 바탕으로 다음에 알맞은 기호를 넣어 보자.
3.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용소의 유래를 밝히는 글을 쓰려고 할 때, 삭제해도 좋은 부분을 찾아 기호로 적어 보자.
4. 이 이야기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재구성할 때, (11)이 들어가야 할 위치는 몇 번 다음인지 찾아 써 보자.
5. 이 이야기의 내용을 신문 기사로 쓰려고 한다. 육하원칙에 맞춰 다음을 작성해 보자.
부제
용소와 며느리 바위에 얽힌 전설
전 문
누가 :
언제 :
어디서 :
무엇을 :
어떻게 :
왜 :
6. 용소(龍沼)와 며느리 바위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간단히 쓰시오.
( )
7. 다음 글은 내용 조직의 일반 원리 중 어떤 성질에 가장 많이 위배되었는가?
이리이리 너무 물이 많이 나와서 그래 갖구, 그 물 나오는, 그 물을 가지구서 에 오마
거지가 되어 갖은 고생을 하며 돌아다니던 진짜 옹고집은 산 속에서 도사를 만났습니다. “제가 잘못해서 벌을 받았습니다. 용서해 주십시오.\" 진짜 옹고집은 눈물을 흘리면서 애원했습니다. “이제야 잘못을 뉘우치는군.\" 도사는 부적을 주며, 진짜 옹고집에게 집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진짜 옹고집이 나타나자, 아내가 놀라서 소리쳤습니다. “여보, 저놈이 또 왔어요! 어서 내쫓아요!\" 그러나 이제껏 남편 행세를 해 오던 가짜 옹고집은 온데간데없고, 그 자리에는 짚 한 단이 쓰러져 있었습니다. 옹고집은 그 뒤, 착하게 살았답니다.
공통점
차이점
【형성 평가 정답】
1) ⓐ 그랬더니 ⓑ 그 ⓒ 그러자
형성평가
<수준별-기초>
1. 용소(龍沼)와 며느리 바위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간단히 쓰시오.
( )
2. 내용 조직의 일반 원리 중 ‘통일성’과 관계 깊은 것은?
①처음과 중간, 끝의 각 단계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한다.
②전체적으로 하나의 화제에 따라 내용을 조직하여야 한다.
③지시어나 접속어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유기적인 관계로 조직한다.
④짧고 간단하게 구성한다.
⑤글의 내용은 주제 전부를 포괄해야 하며,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3. 본문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처음
전설 증거물(용소)의 위치와 전설의 내용에 대한 개괄적 언급
중간
<전설 내용의 구체적 제시>
① ( )한 장자가 시주를 부탁하는 ( )을 괄시하여 쫓아냄
② 도승이 ( )를 하는 며느리에게 구원의 길과 금기를 제시함
③ ( )는 벌을 받고, 도망하던 며느리는 ( )를 위반하여
( )가 됨
끝
전설 증거물에 대한 소개 및 부연 설명
<보기> 금기, 바위, 도승, 인색, 시주, 장자
4. 이 이야기의 내용 조직 방법과 관련된 설명이다. 아래 글을 읽고 윗글에 적합한 내용 조직 방법을 두 가지 적어 보자.
용소와 며느리바위에 얽힌 전설 내용을 소개하는 이 이야기는 전체적으로 원래 장재 첨지네 집터자리였던 것이 왜 지금의 용소로 바뀌었는지 그에 얽힌 사연(이유)을 밝히고 있다. 또 사연에 해당하는 ‘전설’ 내용(글의 짜임상 중간 단계 내용에 해당)은 이야기의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① 조직 방법 ② 조직 방법
5. 이 이야기를 교훈을 목적으로 하는 신문 기사로 바꾸어 쓰려고 한다. 다음 중 표제로 적합한 것은?
① 물이 끊임없이 솟아나는 신비한 용소를 찾아…….
② 신이한 능력을 지닌 스님의 복수
③ 인색함이 한 가족의 참화를 불러들여
④ 금기를 어긴 며느리, 돌 되다!
⑤ 장자 첨지 영감, 도승을 몰라보고 내쫓아…….
【형성평가 정답】
1.인색함에 대한 경계 2. ④ 3.인색, 도승, 시주, 장자, 금기, 바위 4. 인과적, 시간적 5. ③
형성평가
<수준별-심화>
※ 용소와 며느리 바위를 읽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재구성해 보았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2)
(1) 장연읍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몽금포로 가는 길옆에 용소라는 곳이 있어.
(2) ( ) 용소는 원래 장재 첨지네 집터 자리였지.
(3) 왜 소가 되었냐 하면, 첨지 영감의 인색함 때문이지.
(4) ( ) 하루는 그 영감의 소문을 듣고 근처 불타산에 있는 스님이 벌주기 위해 일부러 시주 받으러 그 영감을 찾아갔지.
(5) 그랬더니 영감은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에게 큰 소리를 치며 쇠똥을 퍼 주었지.
(6) 그 때 우물가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던 며느리가 시아버지 대신 씻고 있던 쌀을 스님에게 주었어.
(7) ( ) 스님은 며느리에게 이 집에 큰 재앙이 내릴 테니 빨리 몸을 피하라고 얘기해 주었지.
(8) ( ) 말을 듣는 즉시 며느리는 아기를 업고 명주 도투마리를 이고 개를 불러서 산으로 달아났어.
(9) ( ) 그 때 갑자기 큰 벼락 치는 소리가 나지 뭐야.
(10) ( ) 소리에 놀라 뒤를 돌아보는 순간 며느리는 그만 화석이 되고 말았지.
(11) ( ) 스님이 절대 뒤를 돌아보면 안 된다 그랬거든.
(12) ( ) 벼락이 치던 바로 그 순간에 영감이 살던 곳은 큰 못이 되었대.
(13) ( ) 그 곳이 바로 지금의 용소가 된 거야.
(14) 그 소에서는 물이 아주 많이 나오고 매우 깊대.
1. 문맥에 맞도록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나 지시어를 써 보자.
단 계
내 용(기호)
처 음
중 간
끝
2. 위의 내용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려고 한다. 윗글을 바탕으로 다음에 알맞은 기호를 넣어 보자.
3.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용소의 유래를 밝히는 글을 쓰려고 할 때, 삭제해도 좋은 부분을 찾아 기호로 적어 보자.
4. 이 이야기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재구성할 때, (11)이 들어가야 할 위치는 몇 번 다음인지 찾아 써 보자.
5. 이 이야기의 내용을 신문 기사로 쓰려고 한다. 육하원칙에 맞춰 다음을 작성해 보자.
부제
용소와 며느리 바위에 얽힌 전설
전 문
누가 :
언제 :
어디서 :
무엇을 :
어떻게 :
왜 :
6. 용소(龍沼)와 며느리 바위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간단히 쓰시오.
( )
7. 다음 글은 내용 조직의 일반 원리 중 어떤 성질에 가장 많이 위배되었는가?
이리이리 너무 물이 많이 나와서 그래 갖구, 그 물 나오는, 그 물을 가지구서 에 오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