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존 듀이의 생애와 철학에 대하여
Ⅲ. 아동과 교육과정
Ⅳ. 경험과 교육
Ⅴ. 마치며
참고문헌
Ⅱ. 존 듀이의 생애와 철학에 대하여
Ⅲ. 아동과 교육과정
Ⅳ. 경험과 교육
Ⅴ.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만, 전통주의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경험이 앞으로 올 경험과의 계속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잘못되어 있다고 존듀이는 말하고 있다. 이것은 전통교육의 내용이 관습이나 예부터 행해져온 틀에 박힌 것이어서 학습자 즉 학생이 미래에 겪게 될 경험과는 동떨어지게 된다는 얘기 같다.
존 듀이는 진보주의교육이 경험이라는 것을 강조하는데 경험이라는 것이 어떤 틀이라는 것이 없는 것과는 다르게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을 하려면 어떤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사실 교육을 경험이라는 것과 관련지어서 하려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내용을 경험과 관련지어서 하려면 경험이라는 것이 인간의 오감과 관련되기 때문에 이 오감을 이용해 학생들에게 지식내용을 전달하려면 여러 가지 도구가 필요하고 또 이로 인해 고정된 지식을 암기하게 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에게 전달할 지식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식 외에 다른 부수적인 자료라던가 그런 것들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존 듀이가 강조하고 또 여러 번 반복해서 나오는 '경험의,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이라는 것은 무척 어려운 것 같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의 방법들보다는 오히려 전통주의 교육방법에 의한 교육에 더 가깝고 나 자신 또한 그런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도 존듀이가 주장한 교육방법이 좋다고 느끼는 교사들도 자신이 체험하지 못하고 다만 이론만 접함으로써 마음에 와 닿지 않기 때문에 직접 실천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열악한 교육현실, 예를 들면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했을 때 교사 당 학생수가 많고, 또 학생들에게 경험으로써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자재 부족 등을 볼 때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의 방법들을 실천하기도 어렵다. 또 우리나라는 대학이라는 곳을 가기 위해서는 입시를 치러야하는데 이 입시라는 것이 경험에 의한 지식으로 치러지기에는 굉장히 많은 지식을 평가하기 때문에 더 더욱 하기가 어렵다.
이 책에서 존듀이는 진보주의교육이 인간적이기 때문에 지지한다고 하였다. 인간적인 교육, 여기서 인간적이다라는 의미는 짐승과 구별되는 의미가 아닌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전통주의교육이 단지 지식과 기능을 전달하기 위한 강압적이고 통제된 학습자 즉 학생들을 어떤 틀 안에 넣고 똑같은 지식과 기능을 가진 사람들을 양성하도록 한 교육이라면 진보주의교육은 이것과는 대비되는 좀 더 개성적이고 인간다운 특성과 자유로운 그런 인간을 만들어내는 교육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진보주의교육이 인간적이다라는 말을 사용한 것 같다.
존 듀이가 비판한 전통주의 교육방식을 거의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존 듀이처럼 이 교육방식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여 이를 고치기 위해 많이 노력했고, 그에 따라 예전에는 틀에 박히고 정형화되고 어떻게 보면 개성이 없는 학생들이 많았지만, 요즘 우리나라의 학생들을 보면 예전보다는 많이 자유로워지고 개성이라는 것을 갖춘 것 같다. 그러나 그 개성이라는 것이 외모보다는 그 사람의 성격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우리나라 학생들은 보면 마음에 의한 개성이 아닌 겉치장에 의한 즉 외모에 의한 개성이 만들어진 것 같아서 안타까울 때가 있다. 사실 예전보다는 학교가 많이 학생들에게 자유라는 것을 주고 있다. 그러나 자유라는 것이 책임을 항상 수반하기 때문에 자유가 많아질수록 책임도 그에 따라 많아지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을 보면, 자유만 누릴 줄 알지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겠다는 생각은 없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때가 많다.
위에서 말했듯이 예전의 교육방식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고, 이를 고치기 위해 학생들을 정형화된 지식에 의한 평가를 하는 것을 줄이고, 학생들의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좀 더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고자 입시제도도 많이 수정되었다. 하지만 나중에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한 본질주의 교육자들이 내세운 주장과 같이 이렇게 수정된 교육내용에 의해 양성된 학생들이 예전의 전통주의 교육방법에 의해 배운 학생들보다 학습수준도 떨어지고 학습에 대한 열의를 부족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밝혀져서 요즘은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존 듀이가 이 책에서 주장한 경험에 의한 교육은 교육을 하는 교사와 교육을 받는 학생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굉장히 어려울 수도 혹은 굉장히 쉬워질 수도 있는 교육방법이다. 존듀이가 말했듯이 교육에 있어서 어느 이론이나 사상을 완전히 강조 또는 옹호하거나 이에 대한 모든 것을 부정한다면, 이것은 옳은 교육이 될 수는 없다. 교육이라는 것도 어떻게 보면, 인간의 삶에 밑바탕을 두고 전개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인간의 삶이 올바른 것이고, 또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 어떤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항상 변화하고, 또 옳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종단에 가서는 옳은 방향으로 갈 수 있듯이 교육이라는 것도 항상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전개될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옳지 못한 교육을 받은 인간이 나중에 올바른 인간으로 될 가능성이 100% 있다고 할 수 없듯이 교육이라는 것은 그 교육을 받는 사람에게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여러 교육사상가들이 나타났고 여러 가지 교육방법이 등장했던 것이다.
지식이라는 것이 인간의 경험의 축적을 이론화하고 정당화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인간이 경험한다는 것은 곧 교육을 받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존듀이가 강조했듯이 경험에 의한 교육이 지식교육을 소홀히 한다는 것은 아니다. 지식과 경험교육, 그것이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교육방법은 지식과 경험 둘 다 만족시켜야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을 암기시키는 교육보다는 어려울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 모두 노력한다면 아마 굉장히 쉽고 훌륭한 교육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철홍(2002). 존 듀이: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문음사
엄태동(2001). 존 듀이: 경험과 교육. 원미사.
이돈희(1992).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홍우(1996).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존 듀이는 진보주의교육이 경험이라는 것을 강조하는데 경험이라는 것이 어떤 틀이라는 것이 없는 것과는 다르게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을 하려면 어떤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사실 교육을 경험이라는 것과 관련지어서 하려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내용을 경험과 관련지어서 하려면 경험이라는 것이 인간의 오감과 관련되기 때문에 이 오감을 이용해 학생들에게 지식내용을 전달하려면 여러 가지 도구가 필요하고 또 이로 인해 고정된 지식을 암기하게 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에게 전달할 지식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식 외에 다른 부수적인 자료라던가 그런 것들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존 듀이가 강조하고 또 여러 번 반복해서 나오는 '경험의,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이라는 것은 무척 어려운 것 같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의 방법들보다는 오히려 전통주의 교육방법에 의한 교육에 더 가깝고 나 자신 또한 그런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도 존듀이가 주장한 교육방법이 좋다고 느끼는 교사들도 자신이 체험하지 못하고 다만 이론만 접함으로써 마음에 와 닿지 않기 때문에 직접 실천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열악한 교육현실, 예를 들면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했을 때 교사 당 학생수가 많고, 또 학생들에게 경험으로써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자재 부족 등을 볼 때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의 방법들을 실천하기도 어렵다. 또 우리나라는 대학이라는 곳을 가기 위해서는 입시를 치러야하는데 이 입시라는 것이 경험에 의한 지식으로 치러지기에는 굉장히 많은 지식을 평가하기 때문에 더 더욱 하기가 어렵다.
이 책에서 존듀이는 진보주의교육이 인간적이기 때문에 지지한다고 하였다. 인간적인 교육, 여기서 인간적이다라는 의미는 짐승과 구별되는 의미가 아닌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전통주의교육이 단지 지식과 기능을 전달하기 위한 강압적이고 통제된 학습자 즉 학생들을 어떤 틀 안에 넣고 똑같은 지식과 기능을 가진 사람들을 양성하도록 한 교육이라면 진보주의교육은 이것과는 대비되는 좀 더 개성적이고 인간다운 특성과 자유로운 그런 인간을 만들어내는 교육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진보주의교육이 인간적이다라는 말을 사용한 것 같다.
존 듀이가 비판한 전통주의 교육방식을 거의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존 듀이처럼 이 교육방식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여 이를 고치기 위해 많이 노력했고, 그에 따라 예전에는 틀에 박히고 정형화되고 어떻게 보면 개성이 없는 학생들이 많았지만, 요즘 우리나라의 학생들을 보면 예전보다는 많이 자유로워지고 개성이라는 것을 갖춘 것 같다. 그러나 그 개성이라는 것이 외모보다는 그 사람의 성격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우리나라 학생들은 보면 마음에 의한 개성이 아닌 겉치장에 의한 즉 외모에 의한 개성이 만들어진 것 같아서 안타까울 때가 있다. 사실 예전보다는 학교가 많이 학생들에게 자유라는 것을 주고 있다. 그러나 자유라는 것이 책임을 항상 수반하기 때문에 자유가 많아질수록 책임도 그에 따라 많아지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을 보면, 자유만 누릴 줄 알지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겠다는 생각은 없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때가 많다.
위에서 말했듯이 예전의 교육방식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고, 이를 고치기 위해 학생들을 정형화된 지식에 의한 평가를 하는 것을 줄이고, 학생들의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좀 더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고자 입시제도도 많이 수정되었다. 하지만 나중에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한 본질주의 교육자들이 내세운 주장과 같이 이렇게 수정된 교육내용에 의해 양성된 학생들이 예전의 전통주의 교육방법에 의해 배운 학생들보다 학습수준도 떨어지고 학습에 대한 열의를 부족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밝혀져서 요즘은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존 듀이가 이 책에서 주장한 경험에 의한 교육은 교육을 하는 교사와 교육을 받는 학생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굉장히 어려울 수도 혹은 굉장히 쉬워질 수도 있는 교육방법이다. 존듀이가 말했듯이 교육에 있어서 어느 이론이나 사상을 완전히 강조 또는 옹호하거나 이에 대한 모든 것을 부정한다면, 이것은 옳은 교육이 될 수는 없다. 교육이라는 것도 어떻게 보면, 인간의 삶에 밑바탕을 두고 전개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인간의 삶이 올바른 것이고, 또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 어떤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항상 변화하고, 또 옳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종단에 가서는 옳은 방향으로 갈 수 있듯이 교육이라는 것도 항상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전개될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옳지 못한 교육을 받은 인간이 나중에 올바른 인간으로 될 가능성이 100% 있다고 할 수 없듯이 교육이라는 것은 그 교육을 받는 사람에게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여러 교육사상가들이 나타났고 여러 가지 교육방법이 등장했던 것이다.
지식이라는 것이 인간의 경험의 축적을 이론화하고 정당화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인간이 경험한다는 것은 곧 교육을 받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존듀이가 강조했듯이 경험에 의한 교육이 지식교육을 소홀히 한다는 것은 아니다. 지식과 경험교육, 그것이 존 듀이가 주장한 교육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교육방법은 지식과 경험 둘 다 만족시켜야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을 암기시키는 교육보다는 어려울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 모두 노력한다면 아마 굉장히 쉽고 훌륭한 교육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철홍(2002). 존 듀이: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문음사
엄태동(2001). 존 듀이: 경험과 교육. 원미사.
이돈희(1992). 존 듀이: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홍우(1996).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 듀이에 관한 사상과 생애
-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초등 교육에 미치는 영향
- 듀이의 교육사상
-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제3장 지도로서의 교육
- 듀이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교육 비판
- 듀이의 도덕교육
- 듀이 경험과 교육 요약과 감상(교육학개론 레포트)
-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흥미론 비교
- 듀이의 생애와 사상 - (John Dewey, 1859~1952)
- 듀이의 교육관 『MY PEDAGOGIC CREED(by J. Dewey)』를 읽고
- 듀이의 실용주의(프라그머티즘) 정리
- 듀이의 교육사상
- 죤 듀이의 經驗觀에 대한 고찰
- 진보주의 듀이의 관점에서 바라본 평생교육기회 균등의 의의와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