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장: 정신 = 물질의 산물이자 반영(反映)
◆ 관념론(idealism) 비판
◆ 범주 구분의 문제
◆ 반영(反映)의 문제
◆ 반영론의 한계
◆ 관념론(idealism) 비판
◆ 범주 구분의 문제
◆ 반영(反映)의 문제
◆ 반영론의 한계
본문내용
자체에도 오랜 역사에서 비롯된 고정적 의미와 어감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사실 언어(= 개념)라는 것 자체가 의식적 추상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이 세계의 실재와 그대로 일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실재와 언어 사이에는 틈이 있으며, 결국 우리가 어떤 개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떤 의도로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 앞서도 말했듯이 반영이라는 용어는 본래 물리적인 개념이며, 이 용어를 의식 활동을 설명하는 데 원용하는 것은 일종의 비유다. 따라서 비유는 비유로서 이해해야지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받아들이면 곤란하다. 예컨대 맑스는 사회 구조를 설명하면서 ‘토대(Basis)와 상부구조(Uberbau)라는 건축 용어를 빌려 썼다. 이 용어는 일종의 비유일 뿐이므로, 이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해서 상부구조라는 것이 토대 위에 물리적으로 얹혀 있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사실 비(非)물리적인 것을 표현하기 위해 물리적인 용어를 사용할 때는 늘 이런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동안 반영론을 둘러싼 수많은 논란은 사실 이러한 비유를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며, 또 반영론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이 용어를 지나치게 기계적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한 사람들이 많았다. 특히 반영이라는 개념이 예술이나 이론과 같은 고도의 정신적 활동에 적용될 때는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 “예술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소박한 리얼리즘(realism)이 얼마나 많은 비판에 직면했는가를 상기해 보라. 따라서 인식론의 원칙적인 큰 틀에서 반영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반영의 양식과 종류 등에 대해서는 언제나 더 많은 논의들이 필요한 것이다.
그동안 반영론을 둘러싼 수많은 논란은 사실 이러한 비유를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며, 또 반영론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이 용어를 지나치게 기계적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한 사람들이 많았다. 특히 반영이라는 개념이 예술이나 이론과 같은 고도의 정신적 활동에 적용될 때는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 “예술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소박한 리얼리즘(realism)이 얼마나 많은 비판에 직면했는가를 상기해 보라. 따라서 인식론의 원칙적인 큰 틀에서 반영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반영의 양식과 종류 등에 대해서는 언제나 더 많은 논의들이 필요한 것이다.
추천자료
- 고려시대의 사상
- [A+레포트]에너지와 엔트로피
- 순자의 사상연구
- [현대소설] <삼대>에서 나타나는 염상섭 작가의 세계관 연구
- 제 2차 세계 대전과 전후 문화적 변화 및 고찰
- 도덕과(도덕교과)교육과정의 특징과 성격, 도덕과(도덕교과)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개정중점,...
- [교육사회학][신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의 의미, 교육사회학의 연구관점, 교육사회학의 접근이...
- 서태지 분석을 통한 대중음악 분석
- 교육심리(다중지능)
- 해외투자유치(외국인직접투자유치, 외자 외국자본유치) 기능, 해외투자유치(외국인직접투자유...
- [기업 능력][기업 기술능력][기업 내부능력][기업 직업능력][기업 인건비지불능력][기업 부채...
- [서평] ‘오래된 연장통’(전중환, 사이언스북스, 2010)을 읽고
- 프로이트(Freud)
- [국문학사] 해방정국의 문학 대중화 운동의 의의와 성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