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간호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간호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간호

2. 근대적 간호의 시작

3. 일제시대의 간호

4. 1945년 - 1960년의 간호

5. 1961년 - 1979년의 간호

본문내용

산업재해보상법, 1973년 모자보건법등
▶ 간호교육제도의 개선
간호고등기술학교 폐지하고 간호전문학교로 인가
석사과정 : 1960년 이화여대, 63년 연세대, 64년 서울대
박사과정 : 78년 연세대, 79년 이화여대등
국군간호학교(1970년 개칭, 3년제)에서 국군간호사관학교(1975년, 4년제)로 승격
▶ 대한간호협회의 활동
회원자격의 변화
산하단체 : 1972년 보건간호사회, 76년 임상간호사회, 79년 마취간호사회등
대한간호학회 창설 : 1970년 대한간호협회 산하단체로 등록, 초대학회장 이귀향
1974년 독립.
한국간호사의 윤리강령 제정 : 국제간호윤리규약(1953년 10차 브라질 총회)를 바탕으로 1972년 4월 발표
현재 대한간호협회의 조직은 17개 지부, 8개 산하단체로 구성되었고,
협회장은 김화중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간호정우회 : 1991년 설립. 최초의 간호사국회의원은 김모임(1981,민정당)
간호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간호계를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을
정계로 진출
1995년 KNA연수원건립
1976년 간협신보 발간 이후 1998년 3만8천부 발행
1989년 19차 ICN총회 한국에서 개최 : 김모임 ICN 서태평양이사로 선출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2.0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