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조직에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군사조직에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경군
1)태조대의 경군
(1)태조대 경군의 규모
(2)태조대 경군의 편제
2) 2군 6위제의 성립
(1) 6위와 2군의 설치
(2) 2군 6위의 임무와 병력편제
3)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
(1)부병제설
(2)군반씨족제설
(3) 경·외군 혼성제설

본문내용

제도는 중안의 官人들을 대상으로 한 수조권 지급형태의 보수제도였으므로 그 제도속의 군인전 역시 수조지로 파악함이 타등해보인다. 따라서 군반씨족제설의 절반부분, 즉군반씨족은 군역을 직역으로 세습하면서 그 대가로 소정의 수조지(군인전)를 지급받는 전업적 군인들이었다는 부분은 충분한 설득력을 지닌다.
그러나 군반씨족제설의 나머지 절반부분, 즉 2군 6위의 소속군인 전부가 그러한 군반씨족 출신의 군인들로 편성되어 있었다는 일반화는 무리해 보인다.
요컨대 중앙군 가운데 군반씨족이라 불리는 전업적이고 세습적 군인들이 있었음은 인정되나 45령의 중앙군 전체가 그러한 종류의 군인들로만 구성되었다는 주장은, 부병제설에서 중앙군 전체를 농민군으로 간주한 경우롸 마찬가지로, 하나의 성급한 일반화였다고 판단된다.
(3) 경외군 혼성제설
우리는 위에서 부병제설과 군반씨족제설을 살펴보았다 두가시 설 모두 설득력을 지니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45령의 중앙군 전체가 번상입역하는 농민군 혹은 군반씨족의 어느 한 부류의 군인들로만 편성되어 있었다고 일반화한 점에 있어서는 두 가지설 모두 설득력이 부족하다.
부병제설과 군반제설의 이같은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양설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는 절충적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2군 6위의 중앙군은 크게 개경에 거주하는 전업적 군인층(경군)과 지방에서 번상입역하는 농민군층(외군) 등 두 종류의 군인층으로 편성되어 있었으리라는 가설이 그것이다.
경외군 혼성제설의 논거를 종합해보면, 고려전기의 중앙군은 농민군 아니면 세습적 전문군인중 어느한가지 종류의 군인들로만 편제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중앙군 안에는 농민군도 있었고, 전문적 군인들도 있었다. 혹은 그 어느쪽도 아닌 군인들이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지만 고려 전기 중앙군을 구성한 여러 부류의 군인들은 그들이 짊어진 군역의 성격과 그에 대한 국가적 보상 등의 면에서 두 종류로 대별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군역을 직역으로 수행하는 대가로 군인전시과를 잗는 소규모의 특수 군인층이었고, 다른하나는 군역을 국가적 부역으로 짊어지기 때문에 군인전 시과를 받지 못하는 대다수 농민군인층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군인들은 개경 거주의 군인들(경군)이었고 후자의 군인들은 거의가 지방 거주의 군인들(외군)이었을 것이다.
고려 전기 중앙군이 이처럼 기본적으로 상이한 두 종류의 군인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면 그들의 군역에 대한 보상제도 또한 달랐을 것이다. 군반씨족을 비롯한 개경의 전업적 군인들은 전시과 제도상의 군인전을 지급받았고 그 군인전은 수조지였다. 한편 윤번제로 입역하는 지방 농민군들은 수조지 혹은 면조지로서의 군인전이 지급되지 않았을 것이며, 군역에 대해 비록 열악하지만 모종의 보상제도가 있었을 것이다. 그 모종의 보상제도는 복역 중인 軍人戶의 생계보조자(養戶)가 군인 1명당 2명씩 배당되었던 것이다.
경외군 혼제설은 부병제설과 군반씨족설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면서 다른 두 가설에 비해 보다 많은 관련 증거들을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경외군 혼제설에 의한 史實 해석이 다른 두 가설에 비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경외군 혼제설을 인정하는 한 ‘경군’을 2군 6위와 동일시 할 수는 없다. 또한 ‘주현군’도 하나의 지방군 조직으로서 이해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경외군 혼제설에 의하면 ‘경군’과 ‘주현군’에 대한 해석이 종래의 그것들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외군 혼제설의 관점에서 주현군 자체를 구체적으로 다시 검토하고 해석하는 일이 요구된다. 그런 의미에서 경외군 혼제설은 하나의 새로운 결론을 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는 가설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0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