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재건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잠실재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재건축의 이론적 고찰
1. 재건축의 개념 및 재개발과 비교
2. 재건축의 연혁
3. 재건축사업의 필요성


Ⅲ. 재건축 사업의 현황과 문제
1. 재건축사업의 현황과 변천 과정
2. 재건축 사업의 기대효과
3. 재건축 사업의 문제


Ⅳ. 재건축사례
1. 해외사례별 개요
2. 잠실 재개발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50(㎡)
총부지면적:157,872.90㎡ 학교부지:10,613.90㎡ 주구중심시설:3,946.80㎡ 공공청사:1,192.80㎡ 도로부지:6,360.00㎡ 공원부지:6,669.10㎡
건 설 규 모
지상19~32층 APT 35개동 2,678세대
26평형:536세대 34평형:1,012세대 43평형:678세대 50A평형:308세대 50B평형:144세대
지하주차장, 관리사무소, 노인정, 전기실, 발전기실, 펌프실, 중간기계실, 경비실, 생활편익시설, 유치원
전체(122,628.50㎡)
아파트
(122,681.70㎡)
주구중심시설
(3,946.80㎡)
지하층면적
159,054.80㎡
154,838.44㎡
4,216.38㎡
지상층면적
345,919.85㎡
337,348.09㎡
8,571.76㎡
건축 면적
17,831.01㎡
15,929.61㎡
1,901.40㎡
연 면 적
504,974.65㎡
15,929.61㎡
12,788.12㎡
건 폐 율
14.08%
492,186.53㎡
48.17%
용 적 율
273.17%
12.98%
217.18%
조경 면적
53,817.52㎡
274.97%
42.50%
주차 대수
계획: 4,106대 (지상:3대 지하:4,103대), 장애인용 주차(83대)
법정주차의 107% 설치
설 계 자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주) 한국조형
시 공 자
LG건설(주), 삼성물산(주)
《잠실 시영아파트》
구 분
내 용
비 고
공 사 명
잠실 시영단지 재건축 아파트 건설공사
대 지 위 치
서울시 송파구 신천동17번지 일대
지 역 지 구
일반주거지역, 아파트지구
대 지 면 적
사업대지면적(주택용지+주구중심)
285,489.20(㎡)
총부지면적:397,406.00㎡ 학교부지:37,416.30㎡ 주구중심시설:9,935.20㎡ 기타용지:4,279.90㎡ 도로부지:54,324.40㎡ 공원부지:15,896.20㎡
건 설 규 모
지하2층, 지상20~36층 APT 66개동 6,864세대
16평형:344세대 26A평형:600세대 26B평형:288세대 26C평형:156세대 32A평형:304세대 32B평형:1,978세대 33평형:1,978세대 45평형:642세대 52평형:574세대
관리동, 노인정, 주민공동시설, 보육시설, 경비실, 기계/전기실, 지하주차장
전체(283,420.90㎡)
아파트
(275,554.00㎡)
주구중심시설
(7,866.90㎡)
지하층면적
385,906.83㎡
368,284.44㎡
17,422.39㎡
지상층면적
790,529.73㎡
773,815.73㎡
16,714.00㎡
건축 면적
38,784.71㎡
35,235.06㎡
3,549.64㎡
연 면 적
1,176,236.56㎡
1,142.100.17㎡
34,136.39㎡
건 폐 율
13.68%
12.79%
45.12%
용 적 율
278.92%
280.82%
212.45%
조경 면적
111,870.01㎡
40.6%
주차 대수
법정 : 8,499대
계획 : 9,641대 (지상:17대, 지하:9,624대) 장애인용 주차(247대)
법정주차의 112% 설치
설 계 자
진아건축,POS.A-C
세종건축,천일건축
시 공 자
현대건설(주),대림산업(주)
삼성물산(주),두산건설(주)
코오롱건설(주),쌍용건설(주)
Ⅴ. 결 론
재건축사업은 도시재개발법에 의한 주택재개발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과 함께 불량주택의 정비라는 차원에는 그 제도적인 목표를 같이 하지만 사업성격, 추진절타 증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주택건설촉진법은 그 목적이 국민의 주거안정의 도모와 주거환경의 개선에 있으므로, 주택건설계획은 주택이란 물적계획과 사업주체라는 인적요인, 그리고 주거환경의 개선이라는 사회적 요인이 복합된 혼합적 계획이다. 이러한 재건축사업은 토지이용의 효율화, 토지이용구조개선을 통한 직주일치 실현, 주거환경개선, 주거안전성 확보, 도시미관확보 등 많은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건축사업은 여러가 지 문제점들을 도출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경제적인 논리에만 입각하여 사업이 추진되는 관계로 재건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재건축이 추진되지 못하는 문제, 개발이익의 사적 전유가 가능하여 부동산투기를 조장하는 문제, 신축후 20년도 안된 멀쩡한 주택이 철거되어 국가 경제적 자원을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 재건축으로 인해 주변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 등을 발생시키고 있다. 더군다나 조춥원과 집행부간, 조합과 건설회사간, 조합과 공공간, 조합과 미동의자간, 가옥주와 세입자간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사회적인 갈등구조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개선방안을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잡아 보았다.
첫째, 재건축사업 운영상의 개선방안으로는
조합원을 투명화하고 주민참여를 확대시시켜 조합운영을 합리화시킨다. 미동의자에 대해서는 강제수용권을 도입하고 지분차이의 조정방안을 마련하며 재건축사업 추진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둘째, 재건축사업 제도적인 개선방안으로
공동주택관리 전담기관을 신설하고 특별수선충당금 적립기준을 재조정하며 새로운 설계 및 시공방식 도입하여 공동주택관리를 강화한다. 재건축대상을 재검토하고 종합적인 주거환경평가를 실시하여 재건축 기준을 재정립한다.
결론적으로, 재건축사업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을 최소화한다. 행정적방임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켰기 때문에 재건축기준 재정립, 사회경제적 측면을 강화하여 공공이 제 역할을 다할 때 이런 문제들은 해결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의 잠재적 역할로서 기존 자원으로 최적이용, 적절한 주택보장 등 주택배분 정택으로 장래 가능 요구를 추정하고 주택산업이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불량주택재개발론 김형국 나남 1998
서울시정개발연구원레포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재개발의 실상 송욱섭 학술자원공사 1999
도시공동체론 한국도시연구소 한국아카데미 2003
재건축사업의 제도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태 강남대 2001
재건축을 위한 주택의 평가지침 1994
서울시재건축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권영덕 정기간행물 2003
새정부에 바라는 도시재건축 과제 박환용 정기간행물 2003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02.0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