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 序論
Ⅰ. 책을 선택하게 된 동기
Ⅱ. 서술 방식
二. 本 論
제 1강의 한반도는 왜 일본에 강점되었을까요?
제 2강의 무단통치와 ‘토지조사사업’의 진상을 알아야 합니다
제 3강의 3 ․ 1 운동의 역사적 의의는 대단히 큽니다
제 4강의 1920년대 ‘문화정치’의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제 5강의 일제강점 시대, 조선 민중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제 6강의 1920년대의 ‘산미증식계획은 왜 실시되었을까요?
제 9강의 일제의 ‘병참기지화’도 경제개발로 봐야 할까요
三. 結論
※ 참고문헌
Ⅰ. 책을 선택하게 된 동기
Ⅱ. 서술 방식
二. 本 論
제 1강의 한반도는 왜 일본에 강점되었을까요?
제 2강의 무단통치와 ‘토지조사사업’의 진상을 알아야 합니다
제 3강의 3 ․ 1 운동의 역사적 의의는 대단히 큽니다
제 4강의 1920년대 ‘문화정치’의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제 5강의 일제강점 시대, 조선 민중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제 6강의 1920년대의 ‘산미증식계획은 왜 실시되었을까요?
제 9강의 일제의 ‘병참기지화’도 경제개발로 봐야 할까요
三. 結論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표들이나 청년 학생들도 물론 이점을 알았겠지만, 그래도 세계적으로 일어난 민족자결주의의 큰 물결을 이용하여 거대한 민족해방운동을 일으켰다.
2) 무단통치
한반도 전체가 일본의 완전 식민지가 되어 독립군을 양성할 ‘해방구’를 가지지 못하게 되자 의병전쟁의 잔여세력을 비록해서 민족 해방운동을 준비하고자 하는 많은 민족지도자들이 중국 동북지방 즉 만주지방으로 옮겨갔다. 그런 한편 국내에서도 조선총독부 무단통치의 물샐틈없는 감시 속에서 비밀단체들이 조직되어 민족해방운동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비밀결사단체들은 전국적으로 퍼져있었으며 그 구성원들은 학생 교사 목사 변호사 제조업종사자 상인 등으로 다양하였다. 3 1운동이 폭발하여 삽시간에 전구그이 중요 도시로 확대된 것은 이 같은 비밀결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 무단통치 9년간의 강점지배는 농민과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지식인과 중소지주층과 상인 등 자산계급에 이르기까지, 조선사람 각계각층의 실제생활에 그만큼 타격(회사령, 화폐정리사업, 토지조사사업)을 주었다. 이것이 곧 각계각층의 조선인이 참가함으로서 3 1운동이 거족적인 운동이 된 원인이었던 것이다.
2. 3 1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성
1) 전개과정
운동의 제 1단계는 독립선언문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을 포함해 서명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해도 처음부터 이 운동에 동참한 48인이 독립을 선언하여 운동에 불을 지핀 단계이다. 허나 아직 이 단계에서는 신 지식인층과 종교인, 그리고 민족 자본가층 및 일부 지주층 등의 계층에서의 참여가 이루어졌으며 비무장 무저항주의의 방법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더구나 대중운동을 현장에서 지도하는데 까지 나가지 못하고 독립을 선언하는 데 그쳤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지만 대규모 항일 민족운동을 유발하는 도화선 역할을 담당한 것은 사실이다.
3 1운동의 제 2단계는 ‘민족대표’들의 선언에 이어 주로 청년 학생과 교사 등 지식인, 도시의 노동자 및 상인층에 의해 운동이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된 단계이다. 이렇게 전국 주요 도시로 빠른 속도로 확산시킨 역할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전국에 흩어져 활동하고 있던 비밀결사단체가 담당하였다.
3 1운동의 제 3단계는 이 운동이 주요 도시로부터 전국의 농촌지방을 확산된 단계이다. 이 당시 시위에 참가한 민중들의 피해는 대단히 컸으며, 농민의 희생이 그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2) 3 1운동의 역사적 의의
첫째, 3 1운동을 통해서 한민족의 족립의지가 세계 만장에 강렬하게 전해졌다는 점에서 크게 성공한 운동이라 볼 수 있다. 3 1운동과 그 후의 민족해방운동을 과정을 통해 일본의 지배를 거부한다는 뜻이 분명히 펼쳐졌기 때문에 뒷날 일봉제국주의가 패망할 때 연합국들이 카이로 선언 등에서 일본과 한반도를 그 영토에서 독립시킬 것을 당연한 사실로 결정했던 것이다.
둘째, 양반 상농이란 신분 차이에서 오는 이해관계를 넘어 자산계급과 농민 노동자를 막론하고 민족구성원 전체의 이해관계가 일치해서 외세에 만선 것은 3 1운동이 처음이라고 봄으로써 우리역사에서 근대적 ‘민족’이 형성된 시점을 이 운동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근왕주의적 색채가 남아 있던 의병전쟁과 전투성 혁명성이 결여된 부르주아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이 3 1운동에서 합류하여 국민주의적 민족해방운동으로 승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일제 강점 이전에도 신민회운동과 같은 공화주의 운동이 일부이었지만, 3 1운동은 이제 민족해방운동에서 공화주의운동이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3 1운동을 계기로 여러 임시정부가 수립하였고 어느 쪽이건 복벽주의 세력을 극복하고 공화주의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운영되었던 것이다.
다섯째, 3 1운동은 그 공화주의 노선과 더불어 사회주의가 수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3 1운동의 불씨가 된 민족자결주의로 인해 조선은 러시아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3 1운동의 결코 성립된 상해 임시정부는 민족주의 세력과 한인사회당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 세력의 통일전선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여섯째, 3 1운동을 계기로 민족해방운동전선에는 방법론상으로 뚜렷한 구반이 나타났다. 즉 족립전쟁론과 외교독립론으로 비교적 선명히 구분되어 갔던 것이다. 또 한편 종래의 절대독립론이 계속 주장되는가 하면, 종전의 실력양성론 독립준비론에 근거하고 3 1운동의 실패의 영향을 받은 타협주의 자치주의 노선이 나타나서, 전체 민족해방운동전선에 혼선이 빚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Ⅲ. 결론
3 1운동은 일본의 무단통치에 대한 민족의 대규모적인 반발로 여러 다양한 계층이 전국적으로 참여한 그야말로 거족적인 민족 운동이었다. 이러한 3 1운동은 국제적 여론화 하여 일제강점을 폭로한 운동이기도 하며, 이후 우리민족 해방운동의 돌파구가 된 운동이다. 먼저 3 1운동은 모든 계층 다양한 사회 층이 참여한 운동으로 우리역사에서 처음을 근대적 ‘민족’이 형성된 시점이다. 또한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전쟁을 합류한 국민주의적 민족해방운동으로서, 공화주의를 지향하는 임시정부들을 수립하는 등 그 역사적 의의는 대단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3 1운동은 단순한 전국적 대규모 조직의 운동의 차원이 뿐만이 아니라 민족적 거국적 민족해방운동이었던 것이다.
제 4강의 1920년대 ‘문화정치’의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Ⅰ. 서론
3 1운동 후 일제의 지배정책은 ‘문화정치’라는 이름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바뀌었고, 그 결과 민족해방운동전선의 일부 우익이 타협주의로 돌아서게 되었다.
그럼 과연 ‘문화정치’의 본질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하여나갔는가 그리고, 왜 민족해방운동전선의 일부가 이탈했는가, 또 그것의 민족사 내적원인은 무엇이었으며, 타협노선으로 돌아선 일부 세력을 제외한 민족해방운동전선은 ‘문화정치’에 어떻게 대응해갔는가 하는 문제를 살펴보아야한다.
Ⅱ. 본론
1. ‘문화정치’실시의 배경
한반도를 강점한 후 1910년대 내내 무단통치를 강행하다가 3 1운동에 부딪히게 되자, 일본에서는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여론계의 일각에서 크게 일어났다. 또한
2) 무단통치
한반도 전체가 일본의 완전 식민지가 되어 독립군을 양성할 ‘해방구’를 가지지 못하게 되자 의병전쟁의 잔여세력을 비록해서 민족 해방운동을 준비하고자 하는 많은 민족지도자들이 중국 동북지방 즉 만주지방으로 옮겨갔다. 그런 한편 국내에서도 조선총독부 무단통치의 물샐틈없는 감시 속에서 비밀단체들이 조직되어 민족해방운동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비밀결사단체들은 전국적으로 퍼져있었으며 그 구성원들은 학생 교사 목사 변호사 제조업종사자 상인 등으로 다양하였다. 3 1운동이 폭발하여 삽시간에 전구그이 중요 도시로 확대된 것은 이 같은 비밀결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 무단통치 9년간의 강점지배는 농민과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지식인과 중소지주층과 상인 등 자산계급에 이르기까지, 조선사람 각계각층의 실제생활에 그만큼 타격(회사령, 화폐정리사업, 토지조사사업)을 주었다. 이것이 곧 각계각층의 조선인이 참가함으로서 3 1운동이 거족적인 운동이 된 원인이었던 것이다.
2. 3 1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성
1) 전개과정
운동의 제 1단계는 독립선언문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을 포함해 서명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해도 처음부터 이 운동에 동참한 48인이 독립을 선언하여 운동에 불을 지핀 단계이다. 허나 아직 이 단계에서는 신 지식인층과 종교인, 그리고 민족 자본가층 및 일부 지주층 등의 계층에서의 참여가 이루어졌으며 비무장 무저항주의의 방법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더구나 대중운동을 현장에서 지도하는데 까지 나가지 못하고 독립을 선언하는 데 그쳤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지만 대규모 항일 민족운동을 유발하는 도화선 역할을 담당한 것은 사실이다.
3 1운동의 제 2단계는 ‘민족대표’들의 선언에 이어 주로 청년 학생과 교사 등 지식인, 도시의 노동자 및 상인층에 의해 운동이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된 단계이다. 이렇게 전국 주요 도시로 빠른 속도로 확산시킨 역할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전국에 흩어져 활동하고 있던 비밀결사단체가 담당하였다.
3 1운동의 제 3단계는 이 운동이 주요 도시로부터 전국의 농촌지방을 확산된 단계이다. 이 당시 시위에 참가한 민중들의 피해는 대단히 컸으며, 농민의 희생이 그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2) 3 1운동의 역사적 의의
첫째, 3 1운동을 통해서 한민족의 족립의지가 세계 만장에 강렬하게 전해졌다는 점에서 크게 성공한 운동이라 볼 수 있다. 3 1운동과 그 후의 민족해방운동을 과정을 통해 일본의 지배를 거부한다는 뜻이 분명히 펼쳐졌기 때문에 뒷날 일봉제국주의가 패망할 때 연합국들이 카이로 선언 등에서 일본과 한반도를 그 영토에서 독립시킬 것을 당연한 사실로 결정했던 것이다.
둘째, 양반 상농이란 신분 차이에서 오는 이해관계를 넘어 자산계급과 농민 노동자를 막론하고 민족구성원 전체의 이해관계가 일치해서 외세에 만선 것은 3 1운동이 처음이라고 봄으로써 우리역사에서 근대적 ‘민족’이 형성된 시점을 이 운동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근왕주의적 색채가 남아 있던 의병전쟁과 전투성 혁명성이 결여된 부르주아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이 3 1운동에서 합류하여 국민주의적 민족해방운동으로 승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일제 강점 이전에도 신민회운동과 같은 공화주의 운동이 일부이었지만, 3 1운동은 이제 민족해방운동에서 공화주의운동이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3 1운동을 계기로 여러 임시정부가 수립하였고 어느 쪽이건 복벽주의 세력을 극복하고 공화주의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운영되었던 것이다.
다섯째, 3 1운동은 그 공화주의 노선과 더불어 사회주의가 수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3 1운동의 불씨가 된 민족자결주의로 인해 조선은 러시아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3 1운동의 결코 성립된 상해 임시정부는 민족주의 세력과 한인사회당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 세력의 통일전선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여섯째, 3 1운동을 계기로 민족해방운동전선에는 방법론상으로 뚜렷한 구반이 나타났다. 즉 족립전쟁론과 외교독립론으로 비교적 선명히 구분되어 갔던 것이다. 또 한편 종래의 절대독립론이 계속 주장되는가 하면, 종전의 실력양성론 독립준비론에 근거하고 3 1운동의 실패의 영향을 받은 타협주의 자치주의 노선이 나타나서, 전체 민족해방운동전선에 혼선이 빚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Ⅲ. 결론
3 1운동은 일본의 무단통치에 대한 민족의 대규모적인 반발로 여러 다양한 계층이 전국적으로 참여한 그야말로 거족적인 민족 운동이었다. 이러한 3 1운동은 국제적 여론화 하여 일제강점을 폭로한 운동이기도 하며, 이후 우리민족 해방운동의 돌파구가 된 운동이다. 먼저 3 1운동은 모든 계층 다양한 사회 층이 참여한 운동으로 우리역사에서 처음을 근대적 ‘민족’이 형성된 시점이다. 또한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전쟁을 합류한 국민주의적 민족해방운동으로서, 공화주의를 지향하는 임시정부들을 수립하는 등 그 역사적 의의는 대단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3 1운동은 단순한 전국적 대규모 조직의 운동의 차원이 뿐만이 아니라 민족적 거국적 민족해방운동이었던 것이다.
제 4강의 1920년대 ‘문화정치’의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Ⅰ. 서론
3 1운동 후 일제의 지배정책은 ‘문화정치’라는 이름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바뀌었고, 그 결과 민족해방운동전선의 일부 우익이 타협주의로 돌아서게 되었다.
그럼 과연 ‘문화정치’의 본질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하여나갔는가 그리고, 왜 민족해방운동전선의 일부가 이탈했는가, 또 그것의 민족사 내적원인은 무엇이었으며, 타협노선으로 돌아선 일부 세력을 제외한 민족해방운동전선은 ‘문화정치’에 어떻게 대응해갔는가 하는 문제를 살펴보아야한다.
Ⅱ. 본론
1. ‘문화정치’실시의 배경
한반도를 강점한 후 1910년대 내내 무단통치를 강행하다가 3 1운동에 부딪히게 되자, 일본에서는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여론계의 일각에서 크게 일어났다. 또한
추천자료
[인문과학] 우리역사
20세기의 흑인문학
미 제국주의와 20세기초 대외정책
[교육철학]20세기 진보적인 교육철학
컴퓨터에 공헌한 사람들의 이론은 20세기 전후해서 정립된 이유
20세기 교육사조
[20세기 유럽의 좌익과 우익] 독후감 자료
[서양][국가관][근세국가관][봉건제도][환경관][도서관사][패션][음악]서양의 국가관, 근세의...
다시찾는 우리역사 - 한영우 (요약정리)
20세기 유럽
중화인민공화국 50년사 - 20세기 중국사 요약
삼위일체론(종교개혁으로부터 현대까지) -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집단들,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여왕을 통해 본 신라시대 정치와 여성 (신라의 건국설화, 우리역사의 여왕들, 선덕여왕의 통...
양계초와 여자세계 - 20세기초 중국에서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