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 증상
3. 종류
4. 분류
5. 골절의 치료
※ 주 의
2. 증상
3. 종류
4. 분류
5. 골절의 치료
※ 주 의
본문내용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는다.
(나)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시킨다.
(다)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라) 충격처리를 한다.
☞ 골절의 의심이 있을 경우 골절로 간주하고 처치한다.
① 고정방법
(가) 부목, 팔걸이, 베개, 담요 등을 사용함. 부목은 받침이 있어야 한다.
(나) 부목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다) 들것을 사용하여 후송한다.
② 대용 부목 : 담요 접은 것 / 신문지 접은 것 / 큰 잡지
③ 부분별 처치
가) 코 골절
- 부목 사용 불능.
- 사두붕대를 사용한다.
- 상처에 대한 처치
나) 턱 골절
-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 아래 윗 이가 맞지 않는다.
- 담화나 식사가 불가능하다.
- 입을 열고 있다.
- 부목 사용 불능.
- 턱을 부축하는 붕대를 한다.
(단, 붕대를 한 뒤에 환자가 토할 기세가 있으면 풀어 주어야 한다.)
다) 쇄골 골절
- 손으로 만져서 느낄 수 있다.- 손을 올리지 못한다.
- 다친 쪽 팔이 축 처진다.- 부축 - 부목은 못 쓴다.
- 팔을 가슴에 붙이고 팔거리를 한 후, 팔을 몸통에 고정 시킨다.
라) 늑골 골절
-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때 아프다.
- 흔히 손을 가슴에 대고 얕게 쉰다.
- 폐가
(나)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시킨다.
(다)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라) 충격처리를 한다.
☞ 골절의 의심이 있을 경우 골절로 간주하고 처치한다.
① 고정방법
(가) 부목, 팔걸이, 베개, 담요 등을 사용함. 부목은 받침이 있어야 한다.
(나) 부목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다) 들것을 사용하여 후송한다.
② 대용 부목 : 담요 접은 것 / 신문지 접은 것 / 큰 잡지
③ 부분별 처치
가) 코 골절
- 부목 사용 불능.
- 사두붕대를 사용한다.
- 상처에 대한 처치
나) 턱 골절
- 움직이면 통증이 있다.
- 아래 윗 이가 맞지 않는다.
- 담화나 식사가 불가능하다.
- 입을 열고 있다.
- 부목 사용 불능.
- 턱을 부축하는 붕대를 한다.
(단, 붕대를 한 뒤에 환자가 토할 기세가 있으면 풀어 주어야 한다.)
다) 쇄골 골절
- 손으로 만져서 느낄 수 있다.- 손을 올리지 못한다.
- 다친 쪽 팔이 축 처진다.- 부축 - 부목은 못 쓴다.
- 팔을 가슴에 붙이고 팔거리를 한 후, 팔을 몸통에 고정 시킨다.
라) 늑골 골절
-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때 아프다.
- 흔히 손을 가슴에 대고 얕게 쉰다.
- 폐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