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 1장 인간관계론의 기초
제1절 경영관리의 정의와 구분
1. 경영학의 학문적 정의
2. 경영관리론의 역사적 분류
제 2절 경영관리론의 역사적 발전
1.과학적 관리(고전이론)
2. 신고전 관리
3. 시스템론
제 2장 인간관계론의 발전
제 1절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론의 요
제 2절 초기 인간관계론의 전
1. 호손 실험과 인간관계론
2. 메이요의 인간관계론
3.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제 3절
1. 휴머니즘
2. Bernard의 효과와 능률의 차이
제 3장 인간활동의 이해
제 1절
1. 인간행동의 일반적인 ?형
2. 인간행동의 연구에 관한 접근방법
제 2절 개인행동의 이해
1. 개인행동의 기초적 이해
제 3절 퍼스낼리티과 개인행동
1. 퍼스낼리티의 개념과 특성
2.퍼스낼리티의
제 4절 知覺과 개인행동
1.지각의 과정
2. 지각의 오류
제 5절 학습과 인간과정
1. 학습의 정의 및 ?
2. 강화이론 유형
제 4장 인간행동의 이해:집단행동
제 1절 개설
1. 집단의 개념
2. 소집단의 개념
3. 집단의 구분
4.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제 1장 인간관계론의 기초
제1절 경영관리의 정의와 구분
1. 경영학의 학문적 정의
2. 경영관리론의 역사적 분류
제 2절 경영관리론의 역사적 발전
1.과학적 관리(고전이론)
2. 신고전 관리
3. 시스템론
제 2장 인간관계론의 발전
제 1절 인간관계와 인간관계론의 요
제 2절 초기 인간관계론의 전
1. 호손 실험과 인간관계론
2. 메이요의 인간관계론
3.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제 3절
1. 휴머니즘
2. Bernard의 효과와 능률의 차이
제 3장 인간활동의 이해
제 1절
1. 인간행동의 일반적인 ?형
2. 인간행동의 연구에 관한 접근방법
제 2절 개인행동의 이해
1. 개인행동의 기초적 이해
제 3절 퍼스낼리티과 개인행동
1. 퍼스낼리티의 개념과 특성
2.퍼스낼리티의
제 4절 知覺과 개인행동
1.지각의 과정
2. 지각의 오류
제 5절 학습과 인간과정
1. 학습의 정의 및 ?
2. 강화이론 유형
제 4장 인간행동의 이해:집단행동
제 1절 개설
1. 집단의 개념
2. 소집단의 개념
3. 집단의 구분
4.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본문내용
기반하여 반복적인 작업에 있어서의 피로와 단조로움의 문제를 제기하여 이를 임상적인 연구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였다.
②당초에 强迫觀念이라는 정신병리학의 개념을 사용하여 개인적으로 先入的인 偏見을 갖는 사람들의 심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 같은 그의 강박관념적인 사고는 정신요버에로 발전하여 뢰스버거로 하여금 ‘감정의 이론’을 전개하게 되었다.
③그는 현대의 산업사회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인간협동면에서 부족하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이를 참다운 의미에서의 인간관계기능이라고 하면서도 구체적인 산업현장에서 인간문제의 진단과 처리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관계 기능이 조직의 인간관계 관리 내지 관리자의 리더십에 불가결한 것인한 이 같은 의미에서 그의 아이디어는 높이 평가된다.
3.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그는 경영조직은 ①기술적 조직 또는 물적 조직 ②공식조직 및 ③비공식조직이라는 세 개의 조직으로 구성되며 이들 세 개 조직에는 각각의 價値를 나타내는 ‘觀念體系’ (system of ideas and beliefs)또는 논리가 존재함을 역설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술적 조직은 경제적 목적이 달성되는 정도를 평가하지 위한 관념체계인 비용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되고, 공식조직은 기술적 생산에 직접 관련하는 측면에서 비용의 논리가 적용되나 종업원이 어느 만큼 협동적인 능력을 다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관념체계로서는 ‘능률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되고, 마지막의 비공식조직은 이들과는 달리 조직 내의 여러가지 비공식집단의 내외에 대한 인간 상호관계 속에 존재하는 가치를 나타내는 관념체계인 비논리적인 감정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된다.
企業은 인간의, 인간에 의한 그리고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이상적인 경영은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아무리 과학적인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면 그의 존재가치를 잃어벌니 것일 수 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시대’를 선포한 초기 인간관계론자들의 업적은 실로 높이 평가되지 않으면 안된다.
제 3절
1. 휴머니즘
①휴머니즘은 민주적이며 모든 개인의 최대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②휴머니즘은 파괴적으로가 아니라 ?적으로 과학을 활용하려고 한다.
③휴머니즘은 사회적 책임과 결합된 개인적 自由를 목적으로 추구한다.
④휴머니즘은 논리적이며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의 ?리를 강조한다.
⑤휴머니즘은 하나의 生活方式이다.
2. Bernard의 효과와 능률의 차이
효과(effectiveness)
능률 (efficiency)
목적
수단
결과지향적
과정지향적
대상
방법
대외지향적
대내지향법
장기간
단기간
조직
개인
방대,광할
협소,좁음
제 3장 人間活動의 理解 : 個人行動
제 1절
1. 인간행동의 일반적인 ?형
카벨(F.J. Carvell)은 이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세우고 인간행동을 이해함에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working concept을 설명하고 있다.
① 물리적 세계에서 물체의 행동이 외부의 힘에 의해 야기되듯이 인간의 행동에도 원인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원인을 유전과 환경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인간의 내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신념을 구체화한 것이다.
인간관계의 科程
자극
또는
원인
동기부여 또는 충동
행동
또는
행위
방향
또는
목적
목표지향적
방해
좌절,갈등
반응(공격,대체,회피)
배고파
불쾌함
고통을
피하려 함
음식을
찾고 먹음
배고픔을 없앰
②행동은 아무렇게나 일어나거나 비논리적인 것이기 보다는 목적방향적이다. 다시 말하며,사람은 타인들이 자기가 그같이 행동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자기에세 의미 있는 행동을 한다.
2. 인간행동의 연구에 관한 접근방법
인간행동의 관한 연구는 루탄스(F. Luthans)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방법으로 접근되고 있다.
①프로이드 등의 心理分析的 접근 방법:이 모형은 퍼스낼리티가 본능아(id),자아( ego) 및 초자아(super-ego) 등으로 구성되어 갈등을 일으키고 무의식적인 동기부여를 한다는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겠거니와 오늘날의 해동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접근방법은 무엇보다도 경험적(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비판받고 있다.
②實存主義的 接近방법:키에르케고르(Kierkegaar),니체(Nietzsche) 및 쇼펜하워(Schopenhauer)등과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유럽에서 생성된 이 실존주의는 광의로 보면 의미의 탐색에 있는데, 그것은 기본적으로 실전의 분석에 촛점을 두고 있으며 더욱 발전하여 인간의 실제적인 행동보다 인간정신의 내면, 정신 또는 인간의 잠재성 개발에 촛점을 두게 됨으로써 최근에 와서는 ‘人間潛在力 접근방법’이라고 불리고 있다.
③認知的 접근방법:이 접근방법은 이상의 두 가지 접근방법의 반동으로 등장되었다. 특히 이 방법은 프로이드식의 사고방식은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이며 性的으로 동기부여된 행동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으며 그것은 또한 지나치게 단순하고 결정론적이며 기계적이라고 비판하면서 긍정적이고 자유의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期待,要望 및 誘引策 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④행동론적인 접근방법:구조주의자와 기능주의자들이 파악하기 힘든 마음을 강조한 데 반해 소련의 파블로프(I. Pavlov)및 미국의 와트슨(J.B. Watson) 등 최초의 행동주의자들은 관측가능한 행동을 강조했다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인간행동에 관한 [刺戟-反應]도식을 설명하기 위해 고전적인 條件化 實驗을 활용하였다.
제 2절 개인행동의 이해
1. 개인행동의 基礎的 理解
조직의 규모와는 상관없이 모든 종업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리스(B.L. Reece)등은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①組織文化(철학,목적,표준 등)
②作業集團의 영향력(사회적 지원,감정적 지원)
③작업원의 개인적 특성(능력,관심,적성,가치관,기대)
④직무의 영향력(의미,책임,결과에 관한 지식)
⑤감독자관리자의 영향력(
②당초에 强迫觀念이라는 정신병리학의 개념을 사용하여 개인적으로 先入的인 偏見을 갖는 사람들의 심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 같은 그의 강박관념적인 사고는 정신요버에로 발전하여 뢰스버거로 하여금 ‘감정의 이론’을 전개하게 되었다.
③그는 현대의 산업사회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인간협동면에서 부족하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이를 참다운 의미에서의 인간관계기능이라고 하면서도 구체적인 산업현장에서 인간문제의 진단과 처리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관계 기능이 조직의 인간관계 관리 내지 관리자의 리더십에 불가결한 것인한 이 같은 의미에서 그의 아이디어는 높이 평가된다.
3.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그는 경영조직은 ①기술적 조직 또는 물적 조직 ②공식조직 및 ③비공식조직이라는 세 개의 조직으로 구성되며 이들 세 개 조직에는 각각의 價値를 나타내는 ‘觀念體系’ (system of ideas and beliefs)또는 논리가 존재함을 역설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술적 조직은 경제적 목적이 달성되는 정도를 평가하지 위한 관념체계인 비용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되고, 공식조직은 기술적 생산에 직접 관련하는 측면에서 비용의 논리가 적용되나 종업원이 어느 만큼 협동적인 능력을 다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관념체계로서는 ‘능률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되고, 마지막의 비공식조직은 이들과는 달리 조직 내의 여러가지 비공식집단의 내외에 대한 인간 상호관계 속에 존재하는 가치를 나타내는 관념체계인 비논리적인 감정의 논리에 의해 조직화된다.
企業은 인간의, 인간에 의한 그리고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이상적인 경영은 인간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아무리 과학적인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면 그의 존재가치를 잃어벌니 것일 수 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시대’를 선포한 초기 인간관계론자들의 업적은 실로 높이 평가되지 않으면 안된다.
제 3절
1. 휴머니즘
①휴머니즘은 민주적이며 모든 개인의 최대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②휴머니즘은 파괴적으로가 아니라 ?적으로 과학을 활용하려고 한다.
③휴머니즘은 사회적 책임과 결합된 개인적 自由를 목적으로 추구한다.
④휴머니즘은 논리적이며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의 ?리를 강조한다.
⑤휴머니즘은 하나의 生活方式이다.
2. Bernard의 효과와 능률의 차이
효과(effectiveness)
능률 (efficiency)
목적
수단
결과지향적
과정지향적
대상
방법
대외지향적
대내지향법
장기간
단기간
조직
개인
방대,광할
협소,좁음
제 3장 人間活動의 理解 : 個人行動
제 1절
1. 인간행동의 일반적인 ?형
카벨(F.J. Carvell)은 이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세우고 인간행동을 이해함에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working concept을 설명하고 있다.
① 물리적 세계에서 물체의 행동이 외부의 힘에 의해 야기되듯이 인간의 행동에도 원인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원인을 유전과 환경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인간의 내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신념을 구체화한 것이다.
인간관계의 科程
자극
또는
원인
동기부여 또는 충동
행동
또는
행위
방향
또는
목적
목표지향적
방해
좌절,갈등
반응(공격,대체,회피)
배고파
불쾌함
고통을
피하려 함
음식을
찾고 먹음
배고픔을 없앰
②행동은 아무렇게나 일어나거나 비논리적인 것이기 보다는 목적방향적이다. 다시 말하며,사람은 타인들이 자기가 그같이 행동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자기에세 의미 있는 행동을 한다.
2. 인간행동의 연구에 관한 접근방법
인간행동의 관한 연구는 루탄스(F. Luthans)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방법으로 접근되고 있다.
①프로이드 등의 心理分析的 접근 방법:이 모형은 퍼스낼리티가 본능아(id),자아( ego) 및 초자아(super-ego) 등으로 구성되어 갈등을 일으키고 무의식적인 동기부여를 한다는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겠거니와 오늘날의 해동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접근방법은 무엇보다도 경험적(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비판받고 있다.
②實存主義的 接近방법:키에르케고르(Kierkegaar),니체(Nietzsche) 및 쇼펜하워(Schopenhauer)등과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유럽에서 생성된 이 실존주의는 광의로 보면 의미의 탐색에 있는데, 그것은 기본적으로 실전의 분석에 촛점을 두고 있으며 더욱 발전하여 인간의 실제적인 행동보다 인간정신의 내면, 정신 또는 인간의 잠재성 개발에 촛점을 두게 됨으로써 최근에 와서는 ‘人間潛在力 접근방법’이라고 불리고 있다.
③認知的 접근방법:이 접근방법은 이상의 두 가지 접근방법의 반동으로 등장되었다. 특히 이 방법은 프로이드식의 사고방식은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이며 性的으로 동기부여된 행동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으며 그것은 또한 지나치게 단순하고 결정론적이며 기계적이라고 비판하면서 긍정적이고 자유의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期待,要望 및 誘引策 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④행동론적인 접근방법:구조주의자와 기능주의자들이 파악하기 힘든 마음을 강조한 데 반해 소련의 파블로프(I. Pavlov)및 미국의 와트슨(J.B. Watson) 등 최초의 행동주의자들은 관측가능한 행동을 강조했다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인간행동에 관한 [刺戟-反應]도식을 설명하기 위해 고전적인 條件化 實驗을 활용하였다.
제 2절 개인행동의 이해
1. 개인행동의 基礎的 理解
조직의 규모와는 상관없이 모든 종업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리스(B.L. Reece)등은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①組織文化(철학,목적,표준 등)
②作業集團의 영향력(사회적 지원,감정적 지원)
③작업원의 개인적 특성(능력,관심,적성,가치관,기대)
④직무의 영향력(의미,책임,결과에 관한 지식)
⑤감독자관리자의 영향력(
추천자료
[인문과학] Mayo의 호오손 공장실험과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을 읽고 나서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상황이론, 시스템이론이 조직행위에 미치는 영향
Mayo의 호오손 공장실험과 인간관계론
전략적간호관리4E)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의 비교,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게 하기 위...
『카네기 인간관계론』 _ 데일 카네기 (Dale Carnegie) 저 [독후감]
2015년 2학기 인간관계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인간관계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인간관계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인간관계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간호학과] 전략적간호관리_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
1.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게 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2017년 2학기 인간관계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청소년교육과 인간관계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