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강산업 동향과 한국 철강산업의 진출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중국 강철산업 개요

Ⅱ. 강철산업의 현황
2-1 강철산업 현황
2-2 제품별/지역별 생산 현황
2-3 수/출입

Ⅲ. 강철산업의 수급구조
3-1 강철수요
3-2 지역별 수요
3-3 산업별 수요

Ⅳ. 한국 강철산업 동향
4-1 강철산업 동향
4-2 강철재 수요 전망

본문내용

여 감소전망이지만 수출은 2002년보다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02년에 이어 5600만톤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
<그림 4-7> 철강수급 전망
4-2-3-3 형강
건설경기의 회복과 조선 등 수요산업의 호조로 2002년도 내수수요 전년비 22.6% 증가한 415만톤으로 사상 최대실적 예상되며, 2003년도에는 토목분야의 공사는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되나, 상업용 건축공사의 부진으로 금년대비 2.2% 감소로 예측한다.
주요 수출지역인 동남아 수출의 지속적인 증가와 국내경기 부진에 따른 업계의 수출확대로 증가 전망되며, 수입은 2002년도에는 국내경기의 호조로 일본으로부터 저가의 수입재가 다량으로 수입되었으나, 2003년도에는 경기부진에 따라 다소 감소로 예측한다.
<표 4-10> 형강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4,714
5,400
14.6
5,345
-1.0
명목소비
(내수+재고)
3,382
4,145
22.6
4,055
-2.2
수 출
1,332
1,255
-5.8
1,290
2.8
생 산
4,248
4,640
9.2
4,595
-1.0
수 입
466
760
63.1
750
-1.3
4-2-3-4 철근
2001년 4/4분기이후 건축경기의 호조로 2002년도 국내수요는 다세대 주택건설 등 건축수요의 증가로 1,100만대로 '97년 이후 최대실적을 예상한다.
2003년도에도 상반기 중에는 재해 복구사업 등 수요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하반기이후 수요 감소로 전망한다. 건설경기호조에 따라 수입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생산도 2003년에는 다소 감소는 전망되나 1,000만 톤대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한다.
<표 4-11> 철근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9,846
11,130
13.0
10,740
-3.5
명목소비
(내수+재고)
9,591
11,065
15.4
10,590
-4.3
수 출
255
65
-74.5
150
130.8
생 산
9,789
10,830
10.6
10,470
-3.3
수 입
57
300
426.3
270
-10.0
4-2-3-5 중후판
조선경기의 호조로 총수요 '97년이후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3년에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조선경기는 호황이 지속되나, 건설경기의 부진으로 2003년도 국내수요는 감소 전망되며, 이에 따라 수입도 감소된 132만 톤대에 이를 전망이다.
<표 4-12> 중후판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6,218
6,655
7.0
6,600
-0.8
명목소비
(내수+재고)
5,477
6,060
10.6
5,980
-1.3
수 출
741
595
-19.7
620
4.2
생 산
5,147
5,295
2.9
5,280
-0.3
수 입
1,071
1,360
27.0
1,320
-2.9
4-2-3-6 핫코일
2002년도 명목소비는 자동차, 가전산업의 호조로 차 공정용의 수요증가로 전년비 4.4% 증가, 2003년도에는 자동차 등 제조업의 경기가 다소 상승함에 따라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생산은 포스코의 생산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2002년 대비 3.2% 증가한 2,027만 톤 전망, 이에 따라 수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표 4-13> 핫코일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23,984
24,890
3.8
25,200
1.2
명목소비
(내수+재고)
21,631
22,580
4.4
22,800
1.0
수 출
2,353
2,310
-1.8
2,400
3.9
생 산
19,780
19,650
-0.7
20,270
3.2
수 입
4,204
5,240
24.6
4,930
-5.9
4-2-3-7 냉연강판
2002년도 자동차, 가전산업 등 냉연 수요업계의 생산활동 호조로 국내수요 전년비 14.3% 증가하였으며, 2003년에도 증가세는 이어지나, 증가폭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생산은 고 부가가치 강 중심의 생산으로 감소가 전망되며, 수출은 미국, 중국, EU의 수입규제로 감소세 지속하며, 그동안 고급강 중심으로 소량의 수입이 이루어 졌으나 국내 공급부족에 따라 수입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한다.
<표 4-14> 냉연강판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6,081
6,075
-0.1
6,090
0.2
명목소비
(내수+재고)
2,760
3,155
14.3
3,190
1.1
수 출
3,321
2,920
-12.1
2,900
-0.7
생 산
6,007
5,845
-2.7
5,790
-0.9
수 입
74
230
210.8
300
30.4
4-2-3-8 아연도 강판
자동차, 가전, 건설 등 수요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98년이후 증가세 지속
-용융아연도강판 3.3%, 전기아연도강판 2.9%, 착색아연도강판 1.1%증가하며, 수출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다.
<표 4-15> 아연도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5,681
6,073
6.9
6,160
1.4
명목소비
(내수+재고)
3,769
4,218
11.9
4,330
2.7
수 출
1,912
1,855
-3.0
1,830
-1.3
생 산
5,456
5,745
5.3
5,835
1.6
수 입
225
328
45.8
325
-0.9
4-2-3-9 강관
98년이후 증가세 지속, 건설경기 및 기계산업도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호조를 보여 건설 및 기계구조용 강관 수요 증가, 2003년에는 소폭의 증가 전망, 수출은 최대 수출지역인 미국의 수입규제 영향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표 4-16> 강관 수급전망
구 분
2001
2002(E)
2003(F)
전년비
전년비
총 수 요
4,352
4,400
1.1
4,400
-
명목소비
(내수+재고)
3,212
3,325
3.5
3,340
0.5
수 출
1,140
1,075
-5.7
1,060
-1.4
생 산
4,117
4,135
0.4
4,160
0.6
수 입
235
265
12.8
240
-9.4
  • 가격2,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