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삼성전자의 글로벌화
Ⅲ. 삼성전자의 기업교육
1. 과정개발 배경
1) case study 방식의 Off-line 교육과정의 On-line화 시도
2) 마케팅 학습 Community의 필요성 대두
2. 교수설계 기본전략
1) 집합교육에서 적용한 단일 집단토론 방식 채택
2) 학습 참여도를 수료점수화하는데 중점
3)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의 활용
4) 학습자 개인정보 등록 및 휴게실 활성화를 통한 협동학습 분위기 조성
3. 적용 및 결과
1) 수료기준
2) 교수집단(Tutor, 과정운영자)의 역할 정립
3) 파일럿 과정운영 현황 및 결과
Ⅳ. 삼성전자의 PBL(문제중심학습)
1. PBL 과정개발에 앞서 생각해 볼 사항
2. PBL 문제 선정과 개발
1) 학습목표 규명
2) 문제와 교육생과의 관련성
3) 시간제한에 대한 고려
4) 문제의 검증작업
3. 문제에 대한 학습자원 선정 작업
4. PBL 과정 및 과제 수행을 위한 전략적 준비와 검토
1) PBL 과정(TLC과정)의 전반적 흐름에 대한 전략적 준비와 검토
2) 과제 수행에 대한 검토와 준비
Ⅴ. 삼성전자의 조직문화
1. 고민의 발단
1) IMF, 구조조정기, 조직활성화 어떻게 할까
2) 세상은 판이 바뀌는데, 생존․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2. 어떻게 추진해 갈까
1) THEME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2) 어떤 방법, 순서로 접근할 것인가
3) 어떤 원칙으로
3. 마음부터 다스리자
1) PRO-ACTION 21과정 운영
2) 보람과 의미를 찾기 위한 여사원 보람 찾기 과정 운영
4. 학습공동체 PRO 팀 운영
1) 개요
2) PRO 팀 운영 FLOW
3) 주요성과
5. 학습분위기 조성 : 개인 학습기회 최대 제공
6. 돈 및 인력 부족을 COVER하기 위해
Ⅵ. 삼성전자의 국민고발운동
Ⅶ. 삼성전자의 해외마케팅 사례
1. 제품(ACA)
2. 커뮤니케이션(BAS)
Ⅷ. 삼성전자의 중국진출 전략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삼성전자의 글로벌화
Ⅲ. 삼성전자의 기업교육
1. 과정개발 배경
1) case study 방식의 Off-line 교육과정의 On-line화 시도
2) 마케팅 학습 Community의 필요성 대두
2. 교수설계 기본전략
1) 집합교육에서 적용한 단일 집단토론 방식 채택
2) 학습 참여도를 수료점수화하는데 중점
3)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의 활용
4) 학습자 개인정보 등록 및 휴게실 활성화를 통한 협동학습 분위기 조성
3. 적용 및 결과
1) 수료기준
2) 교수집단(Tutor, 과정운영자)의 역할 정립
3) 파일럿 과정운영 현황 및 결과
Ⅳ. 삼성전자의 PBL(문제중심학습)
1. PBL 과정개발에 앞서 생각해 볼 사항
2. PBL 문제 선정과 개발
1) 학습목표 규명
2) 문제와 교육생과의 관련성
3) 시간제한에 대한 고려
4) 문제의 검증작업
3. 문제에 대한 학습자원 선정 작업
4. PBL 과정 및 과제 수행을 위한 전략적 준비와 검토
1) PBL 과정(TLC과정)의 전반적 흐름에 대한 전략적 준비와 검토
2) 과제 수행에 대한 검토와 준비
Ⅴ. 삼성전자의 조직문화
1. 고민의 발단
1) IMF, 구조조정기, 조직활성화 어떻게 할까
2) 세상은 판이 바뀌는데, 생존․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2. 어떻게 추진해 갈까
1) THEME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2) 어떤 방법, 순서로 접근할 것인가
3) 어떤 원칙으로
3. 마음부터 다스리자
1) PRO-ACTION 21과정 운영
2) 보람과 의미를 찾기 위한 여사원 보람 찾기 과정 운영
4. 학습공동체 PRO 팀 운영
1) 개요
2) PRO 팀 운영 FLOW
3) 주요성과
5. 학습분위기 조성 : 개인 학습기회 최대 제공
6. 돈 및 인력 부족을 COVER하기 위해
Ⅵ. 삼성전자의 국민고발운동
Ⅶ. 삼성전자의 해외마케팅 사례
1. 제품(ACA)
2. 커뮤니케이션(BAS)
Ⅷ. 삼성전자의 중국진출 전략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전자는 자사 브랜드를 세계 속의 Tier 1 Brand로 키워가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Tier 1 Brand란 흔히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단순히 많은 소비자들이 알고 있는 다른 말로 단순히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가 아니다. 진정한 Tier 1 Brand란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이에 상응하는 호감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에게 Unique한 가치를 제공해 주는 브랜드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9년을 기조로 삼성전자에서는 지금까지의 광고활동의 방향에 대 전환을 시도 했다. Global 개념을 포함하여 삼성전자의 브랜드 전략 전체를 재정립하고 이를 위해 전세계 50개국의 Market을 체계적으로 Segmentation& Targeting을 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Samsung Digitall everyone’s invited Campaign을 Launching하였고 체계적인 Brand Management Manual을 제작 전 종업원이 숙지케 하였다. 아울러 광고에 대한 과감한 투자의 실시와 함께 일차적으로 현지 법인 차원에서 중심적으로 행해지던 지역적 광고 집행에서 탈피해서 이를 본사 중심의 활동 체계로 변환하여 전 세계의 모든 소비자들에게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들 소비자들에게 동일한 모습으로 Identify 할 수 있도록 광고 활동에 대한 집행 체제의 변혁을 시도한 것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선진 사로 인식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Global Company에서 채택한 방법으로 이미 그 때까지의 마케팅 활동을 기반으로 좀더 견실한 그리고 좀더 사랑 받는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함 이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영국의 Interbrand사에서 발표한 세계적인 브랜드에 대한 자산가치 평가에서 삼성전자 브랜드 자산가치를 30억불로 평가 받았으며, 다음 해 결과에서 52억불로 인정받아 전체 브랜드 중 43위를 종합전자업체 중에서는 일본의 Panasonic을 누르고 3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 기업으로서는 유일무이한 결과를 보게 된 것이고 또한 전 세계 유명 가전업체를 상대로 보았을 때, 그저 멀게만 느껴졌던 1위의 자리는 이제 우리의 손길이 닺는 곳에 존재하고 있다는 확신감을 심어 주게 되었다.
Ⅲ. 삼성전자의 기업교육
1. 과정개발 배경
1) case study 방식의 Off-line 교육과정의 On-line화 시도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연구소에서는 고객만족경영(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의 중요성과 실천전략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CSM과정과 마케팅전문가 육성을 위한 MEC(Marketing Expert Course)과정을 삼성전자의 과/부장급 간부 대상으로 4~5일 집합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 두 과정의 공통적인 특징은 자체 개발한 고객만족과 마케팅에 관련된 주제의 case와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소개되는 case를 중심으로 집단 토론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case study방식은 제시된 사례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이어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 뿐 아니라 사례에서 제시하는 의사결정 상황이나 토론주제에 대해 다양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의견을 들어볼 수 있고 사례연구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로부터 다양한 정보와 전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좋은 효과를 얻어내고 있었다.
CSM과정의 수료자가 800여명, MEC과정 수료자가 300여명을 넘게 되었고, 이들 수료자들에게는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CSM report와 마케팅 report를 e-mail로 정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 수료이후에 추가정보 제공을 통한 수료자관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전 간부를 집합교육과정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운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웹 기반 교육형태로의 전환에 대한 의견이 대두되어 이를 추진키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두 집합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던 case study의 방식을 도입하여 집합교육 강의장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학습장면을 웹상에서 on-line 환경 하에 그대로 구현한다는 기본전략이 결정되었다.
2) 마케팅 학습 Community의 필요성 대두
삼성전자는 제조중심 기업에서 고객/마케팅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국내외 마케팅 석박사 인력을 대거 채용하였다. 따라서 글로벌마케팅연구소에서는 신규 석박사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MFC(Marketing Field Course)과정을 개발 집합교육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 과정을 수료한 석/박사 인력들은 각 사업부 마케팅관련 부서에 배치되어 업무를 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집합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된 community의 유지와 지속적인 마케팅관련 정보의 교류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게 되었다. 마케팅연구소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포럼을 개최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으나 무엇보다도 수료자들을 간의 상호의사소통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는 별도 웹사이트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원격교육과정 운영목적의 Cyber Academy에 별도의 메뉴를 구성하여 이를 지원키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온라인 community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기존에 운영 중인 삼성전자 사내 인트라넷과 외부 커뮤니티 사이트들을 벤치마킹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마일리지 제도를 기본으로 하는 과정설계방안이 구체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2. 교수설계 기본전략
1) 집합교육에서 적용한 단일 집단토론 방식 채택
기존 자율학습형 원격교육과정의 경우 수강인원을 제한하는 대표적인 이유로 tutor 수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반면에 협동학습형태의 경우 많은 사람의 의견제시에 따른 토론방향의 유지의 어려움 때문에 인원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마케팅사례 연구과정은 집합교육에서의 case study와 같이 30~40여명을 기준으로 한 단일 집단 토론방식으로 운영키로 하였다. 따라서 수가신청인원을 선착순으로 마감하여 최대 30명을 넘지 않도록 하는 기준을 세웠다. 또한 일반 대학이나 학교에서의 웹 기반 협동학습과정의 경우 주로
이를 위해, 1999년을 기조로 삼성전자에서는 지금까지의 광고활동의 방향에 대 전환을 시도 했다. Global 개념을 포함하여 삼성전자의 브랜드 전략 전체를 재정립하고 이를 위해 전세계 50개국의 Market을 체계적으로 Segmentation& Targeting을 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Samsung Digitall everyone’s invited Campaign을 Launching하였고 체계적인 Brand Management Manual을 제작 전 종업원이 숙지케 하였다. 아울러 광고에 대한 과감한 투자의 실시와 함께 일차적으로 현지 법인 차원에서 중심적으로 행해지던 지역적 광고 집행에서 탈피해서 이를 본사 중심의 활동 체계로 변환하여 전 세계의 모든 소비자들에게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들 소비자들에게 동일한 모습으로 Identify 할 수 있도록 광고 활동에 대한 집행 체제의 변혁을 시도한 것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선진 사로 인식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Global Company에서 채택한 방법으로 이미 그 때까지의 마케팅 활동을 기반으로 좀더 견실한 그리고 좀더 사랑 받는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함 이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영국의 Interbrand사에서 발표한 세계적인 브랜드에 대한 자산가치 평가에서 삼성전자 브랜드 자산가치를 30억불로 평가 받았으며, 다음 해 결과에서 52억불로 인정받아 전체 브랜드 중 43위를 종합전자업체 중에서는 일본의 Panasonic을 누르고 3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 기업으로서는 유일무이한 결과를 보게 된 것이고 또한 전 세계 유명 가전업체를 상대로 보았을 때, 그저 멀게만 느껴졌던 1위의 자리는 이제 우리의 손길이 닺는 곳에 존재하고 있다는 확신감을 심어 주게 되었다.
Ⅲ. 삼성전자의 기업교육
1. 과정개발 배경
1) case study 방식의 Off-line 교육과정의 On-line화 시도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연구소에서는 고객만족경영(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의 중요성과 실천전략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CSM과정과 마케팅전문가 육성을 위한 MEC(Marketing Expert Course)과정을 삼성전자의 과/부장급 간부 대상으로 4~5일 집합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 두 과정의 공통적인 특징은 자체 개발한 고객만족과 마케팅에 관련된 주제의 case와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소개되는 case를 중심으로 집단 토론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case study방식은 제시된 사례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이어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때문 뿐 아니라 사례에서 제시하는 의사결정 상황이나 토론주제에 대해 다양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의견을 들어볼 수 있고 사례연구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로부터 다양한 정보와 전략적 의사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좋은 효과를 얻어내고 있었다.
CSM과정의 수료자가 800여명, MEC과정 수료자가 300여명을 넘게 되었고, 이들 수료자들에게는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CSM report와 마케팅 report를 e-mail로 정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 수료이후에 추가정보 제공을 통한 수료자관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전 간부를 집합교육과정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운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웹 기반 교육형태로의 전환에 대한 의견이 대두되어 이를 추진키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두 집합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던 case study의 방식을 도입하여 집합교육 강의장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학습장면을 웹상에서 on-line 환경 하에 그대로 구현한다는 기본전략이 결정되었다.
2) 마케팅 학습 Community의 필요성 대두
삼성전자는 제조중심 기업에서 고객/마케팅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국내외 마케팅 석박사 인력을 대거 채용하였다. 따라서 글로벌마케팅연구소에서는 신규 석박사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MFC(Marketing Field Course)과정을 개발 집합교육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 과정을 수료한 석/박사 인력들은 각 사업부 마케팅관련 부서에 배치되어 업무를 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집합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된 community의 유지와 지속적인 마케팅관련 정보의 교류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게 되었다. 마케팅연구소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포럼을 개최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으나 무엇보다도 수료자들을 간의 상호의사소통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는 별도 웹사이트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운영 중인 원격교육과정 운영목적의 Cyber Academy에 별도의 메뉴를 구성하여 이를 지원키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온라인 community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기존에 운영 중인 삼성전자 사내 인트라넷과 외부 커뮤니티 사이트들을 벤치마킹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마일리지 제도를 기본으로 하는 과정설계방안이 구체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2. 교수설계 기본전략
1) 집합교육에서 적용한 단일 집단토론 방식 채택
기존 자율학습형 원격교육과정의 경우 수강인원을 제한하는 대표적인 이유로 tutor 수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반면에 협동학습형태의 경우 많은 사람의 의견제시에 따른 토론방향의 유지의 어려움 때문에 인원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마케팅사례 연구과정은 집합교육에서의 case study와 같이 30~40여명을 기준으로 한 단일 집단 토론방식으로 운영키로 하였다. 따라서 수가신청인원을 선착순으로 마감하여 최대 30명을 넘지 않도록 하는 기준을 세웠다. 또한 일반 대학이나 학교에서의 웹 기반 협동학습과정의 경우 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