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생애 및 업적
II. 사상적 배경
III. 교육사상 및 교육사적 의의
II. 사상적 배경
III. 교육사상 및 교육사적 의의
본문내용
심연에 빠졌다. 그러나 그는 1648년부터 1650년 사이에 교단원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죽어가는 어머니의 유언운운』이라는 책과『악마의 추방』이라는 그의 설교집을 발행했다.
1650년 10월, 지벤뷰르겐 공국(항가리 동쪽)의 영주인 랏고찌(Rakoczi)의 초청을 받은 그는 사로스 파타크(Saros Patak)에 가서 1654년까지 그곳에 체류했다. 사로스 파타크 체재시대는 학교개혁자로서의 코메니우스의 생애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수확이 많았던 시대이다. 그 곳에서 그는 17세기에 있어서의 신교운동의 전형(典型)이라고도 할 수 있는 코메니우스주의의 신학교(新學校)를 만드는데 힘을 다했다.이 학교는 코메니우스가 그의 교육이론을 실지로 실험해 본 단 한나의 학교로서 교육의 역사상 주목할 만하다. 사로스 파타크 학교개혁의 원리와 강열을 기술한 『범지학교』(汎智學校:Schola Pansophia,1650),어학입문을 극화한『유희학교』(遊戱學校:Schola Ludus,1654),서양세계 최초의 직관교재(直觀敎材)로 유명한『세계도회』(世界圖繪:Orbis Sensualum Pictus, 1653~1665)등은 모두 「사로스 파타크학교」위해서 저술한 것이며, 그것들은 모두 코메니우스 교육학의 완성기를 장식하는 역사적 문헌들이다.
그러나 그가 사로스 파타크에 간 보다 근본적인 동기는 단순히 모범학교를 만들기 위새서가 아니라, 그를 초대한 라코찌가(家)에 접근하여 반 합스부르크전쟁을 재연시키려는 심모(深謀)에 의했던 것이다. 이 정치적 이면공작에 관련하여 쓰여진 두개의 문헌이 남아있다.그 하나가 『나단으로부터 다비데에게의 비화(秘話)』(Semo Seretus Nathanis ad Dadidem, 1651)이며, 다른 하나는『민족의 행복 그리고 자기가 현재 행복한가 행복하지 못한가, 또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도리 것인가를 알고자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거울에 물건이 비쳐치듯 모여주는 글』(Gentis felicitas specula exhibita iis,qui num febices sint, et quomode fieri possint, cognoscere velint, 1654)이다. 그러나 그는 라코티가(家)의 협력을 얻지 못한 채, 교단의 지도와 통제를 위한 릿사귀환(歸還)의 요청에 따라 1654년 7월,사로스 파타크를 떠났다.
릿사에 돌아온 코메니우스는 교단의 지도,감독과 정치적 공작에 부심했다. 즉, 신교제국(新敎諸國)을 규합하여 새로운 전쟁을 일으키기 위한 정치적 책모가 착수된 것이다. 코메니우스와 연고가 있던 지벤뷰르겐공국(公國)의 영주인 라코찌, 스웨덴왕인 칼,구슈타아프(Karl Gustaf),그리고 청교도혁명에 성공하여 영국의 정권을 장악한 크롬웰(O.Crom vell)등의 3대 신교정권을 연결하여 반 합스부르크동맹을 결성시키는 것이 코메니우스의 의도였던 것이다. 1655년 7월, 구스타아프의 폴란드 침공에서 시작되는 「폴란드전란」은 그의 정치공작의 성과였다고 할 수 있으며, 라코찌가(家)의 참전으로 합스부르크 타도의 꿈이 실현되는 듯도 했다. 이 싸움으로 릿사도 전화를 입어 전 시가가 초토화하여 코메니우스는 다시 모든 것을 잃은 채 1656년 8월,게에르의 아들인 로오란쓰 훤 게에르(Loranz von Geer)의 초청을 받아, 암스텔담으로 옮겨와 정치적 암약(暗躍)을 계속했다. 이곳에서 그는 예언가인 드라빅크(Nicolaus Drabik),콧타(Christoph Kotta),포니아토우스키(Poniatouski)등의 예언을 모아, 예언집인 『어둠 속의 광명』(Lux in Tenbric)을 만들어 그것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서문과 주석을 붙여 출판했다. 이 기간에 그는 자기의 교육에 관한 저서의 집성을 꾀하여 1657년, 4부로 된 『코메니우스 교육학전집』(J.A. Comii Opera Didactica Omnia, 1657)를 간행했다.
폴란드전란도 결국 실패로 끝나 코메니우스의 숙원이었던 조국해방과 신교의 슬이 하에서의 세계평화 실현이 또다시 수포화되자 그는 다시 실망의 심연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1658년부터 1670년 사이에도 굴하지 않고 코메니우스는 다시 제3의 신교 연합의 결성과 그것에 의한 합스부르크 타도, 신교 중심의 국제평화기구의 수립 등에 힘썼다. 그는 언젠가는 반드시 신의 의지가 실현되어, 세계의 어느 곳이든 신교도의 통일 왕국이 수립되고, 그 가운데서 그의 조국과 교단도 구제될 날이 올 것이라는 절대적 시념과 신의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그는 왕년의 평화주의적 사회개량론자의 입장으로 돌아가 정치활동으로 중단되었던 범지체계의 완성에 만년(10여년간)을 불요(不撓)의 의지력으로 보냈다.
범지체계의 체계적 저술도 계획되어 1645년에 제1권을 낸 채 중단되었던 『인사개선에 관한 대회의』의 완성에 착수하여 1662년에는 제2권인 『파나우기아』(Panaugia)를 탈고했고, 제3권도 착수했다. 그러나 전7권으로 웅대하게 계획되었던 범지체게의 대저술은 완성되지 못했다.코메니우스는 제3권의 집필도중 파란중첩했던 생애를 암스텔담의 가우(假寓)에서 마쳤다(1670년 11월 15일 향년78세).임종할 때 코메니우스는 아들 다니엘을 불러 그의 범지체계에 관한 유고를 정리하여 출판할 것을 유명(遺命)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수많은 그의 저작 가운데 교육과 관련된 대표적인 것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
『어학입문』(Janua Linguarum Reserata,1631.)
『대교수학』(Didaktika Magna,1632.)
『어학입문지침』(Janua Linguarum Reseratae Vestibulum,1633.)
『최신어학교수법』(Methodus Linguarum Novissimo,1648.)
『범지학교』(Schola Pansophia,1650.)
『유희학교』(Schola Ludus, 1654.)
『세계도회』(Orbis Sensuarum Pictus,1653~1665.)
『코메니우스 교육학전집』(J.A.Comeii Opera Didactica Omnia,1657.)
II.사상적 배경
‘나의 생애는 유랑 그것이었다. 나는 고향을 갖지 못했었다’라고 코메니우슨 ㄴ술회해
1650년 10월, 지벤뷰르겐 공국(항가리 동쪽)의 영주인 랏고찌(Rakoczi)의 초청을 받은 그는 사로스 파타크(Saros Patak)에 가서 1654년까지 그곳에 체류했다. 사로스 파타크 체재시대는 학교개혁자로서의 코메니우스의 생애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수확이 많았던 시대이다. 그 곳에서 그는 17세기에 있어서의 신교운동의 전형(典型)이라고도 할 수 있는 코메니우스주의의 신학교(新學校)를 만드는데 힘을 다했다.이 학교는 코메니우스가 그의 교육이론을 실지로 실험해 본 단 한나의 학교로서 교육의 역사상 주목할 만하다. 사로스 파타크 학교개혁의 원리와 강열을 기술한 『범지학교』(汎智學校:Schola Pansophia,1650),어학입문을 극화한『유희학교』(遊戱學校:Schola Ludus,1654),서양세계 최초의 직관교재(直觀敎材)로 유명한『세계도회』(世界圖繪:Orbis Sensualum Pictus, 1653~1665)등은 모두 「사로스 파타크학교」위해서 저술한 것이며, 그것들은 모두 코메니우스 교육학의 완성기를 장식하는 역사적 문헌들이다.
그러나 그가 사로스 파타크에 간 보다 근본적인 동기는 단순히 모범학교를 만들기 위새서가 아니라, 그를 초대한 라코찌가(家)에 접근하여 반 합스부르크전쟁을 재연시키려는 심모(深謀)에 의했던 것이다. 이 정치적 이면공작에 관련하여 쓰여진 두개의 문헌이 남아있다.그 하나가 『나단으로부터 다비데에게의 비화(秘話)』(Semo Seretus Nathanis ad Dadidem, 1651)이며, 다른 하나는『민족의 행복 그리고 자기가 현재 행복한가 행복하지 못한가, 또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도리 것인가를 알고자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거울에 물건이 비쳐치듯 모여주는 글』(Gentis felicitas specula exhibita iis,qui num febices sint, et quomode fieri possint, cognoscere velint, 1654)이다. 그러나 그는 라코티가(家)의 협력을 얻지 못한 채, 교단의 지도와 통제를 위한 릿사귀환(歸還)의 요청에 따라 1654년 7월,사로스 파타크를 떠났다.
릿사에 돌아온 코메니우스는 교단의 지도,감독과 정치적 공작에 부심했다. 즉, 신교제국(新敎諸國)을 규합하여 새로운 전쟁을 일으키기 위한 정치적 책모가 착수된 것이다. 코메니우스와 연고가 있던 지벤뷰르겐공국(公國)의 영주인 라코찌, 스웨덴왕인 칼,구슈타아프(Karl Gustaf),그리고 청교도혁명에 성공하여 영국의 정권을 장악한 크롬웰(O.Crom vell)등의 3대 신교정권을 연결하여 반 합스부르크동맹을 결성시키는 것이 코메니우스의 의도였던 것이다. 1655년 7월, 구스타아프의 폴란드 침공에서 시작되는 「폴란드전란」은 그의 정치공작의 성과였다고 할 수 있으며, 라코찌가(家)의 참전으로 합스부르크 타도의 꿈이 실현되는 듯도 했다. 이 싸움으로 릿사도 전화를 입어 전 시가가 초토화하여 코메니우스는 다시 모든 것을 잃은 채 1656년 8월,게에르의 아들인 로오란쓰 훤 게에르(Loranz von Geer)의 초청을 받아, 암스텔담으로 옮겨와 정치적 암약(暗躍)을 계속했다. 이곳에서 그는 예언가인 드라빅크(Nicolaus Drabik),콧타(Christoph Kotta),포니아토우스키(Poniatouski)등의 예언을 모아, 예언집인 『어둠 속의 광명』(Lux in Tenbric)을 만들어 그것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서문과 주석을 붙여 출판했다. 이 기간에 그는 자기의 교육에 관한 저서의 집성을 꾀하여 1657년, 4부로 된 『코메니우스 교육학전집』(J.A. Comii Opera Didactica Omnia, 1657)를 간행했다.
폴란드전란도 결국 실패로 끝나 코메니우스의 숙원이었던 조국해방과 신교의 슬이 하에서의 세계평화 실현이 또다시 수포화되자 그는 다시 실망의 심연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1658년부터 1670년 사이에도 굴하지 않고 코메니우스는 다시 제3의 신교 연합의 결성과 그것에 의한 합스부르크 타도, 신교 중심의 국제평화기구의 수립 등에 힘썼다. 그는 언젠가는 반드시 신의 의지가 실현되어, 세계의 어느 곳이든 신교도의 통일 왕국이 수립되고, 그 가운데서 그의 조국과 교단도 구제될 날이 올 것이라는 절대적 시념과 신의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그는 왕년의 평화주의적 사회개량론자의 입장으로 돌아가 정치활동으로 중단되었던 범지체계의 완성에 만년(10여년간)을 불요(不撓)의 의지력으로 보냈다.
범지체계의 체계적 저술도 계획되어 1645년에 제1권을 낸 채 중단되었던 『인사개선에 관한 대회의』의 완성에 착수하여 1662년에는 제2권인 『파나우기아』(Panaugia)를 탈고했고, 제3권도 착수했다. 그러나 전7권으로 웅대하게 계획되었던 범지체게의 대저술은 완성되지 못했다.코메니우스는 제3권의 집필도중 파란중첩했던 생애를 암스텔담의 가우(假寓)에서 마쳤다(1670년 11월 15일 향년78세).임종할 때 코메니우스는 아들 다니엘을 불러 그의 범지체계에 관한 유고를 정리하여 출판할 것을 유명(遺命)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수많은 그의 저작 가운데 교육과 관련된 대표적인 것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
『어학입문』(Janua Linguarum Reserata,1631.)
『대교수학』(Didaktika Magna,1632.)
『어학입문지침』(Janua Linguarum Reseratae Vestibulum,1633.)
『최신어학교수법』(Methodus Linguarum Novissimo,1648.)
『범지학교』(Schola Pansophia,1650.)
『유희학교』(Schola Ludus, 1654.)
『세계도회』(Orbis Sensuarum Pictus,1653~1665.)
『코메니우스 교육학전집』(J.A.Comeii Opera Didactica Omnia,1657.)
II.사상적 배경
‘나의 생애는 유랑 그것이었다. 나는 고향을 갖지 못했었다’라고 코메니우슨 ㄴ술회해
추천자료
[지방교육자치제도]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념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문제점 및 향후 지방교육...
[독일][독일교육][독일의 교육]독일의 교육제도, 독일의 학생선발제도, 독일의 의무교육 제도...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소비자 교육내용 분석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과 학교선택제, 자립형사립고, 고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
공교육(학교교육)의 정의, 공교육(학교교육)의 운영, 공교육(학교교육)의 편성, 공교육(학교...
[공교육][학교교육]공교육(학교교육)의 지식탐구, 공교육(학교교육)의 비용결정, 공교육(학교...
학교교육(공교육)의 교육이론, 학교교육(공교육)의 역할, 학교교육(공교육)과 교원정책, 학교...
학교교육(공교육)의 의미, 학교교육(공교육)의 교육이론, 학교교육(공교육)의 인간화, 학교교...
[교육제도][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정책)의 개념, 교육제도(교육정책)의 성격, 일본의 교육제...
[교육문제연구론] 학교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교육관의 개념으로 분석적으로 논의하시오-학교...
회사정리법, 내부고발자보호법의 국제비교, 기업지배구조, 기업거래시스템의 국제비교, 소비...
[인사제도][승진제도][디지털시대 인사제도][장애인공무원 인사제도]디지털시대 인사제도(승...
[학교폭력의 이론과 실제 공통] 1. 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서술. ...
[학교폭력의 이론과 실제 공통] 1. 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서술.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