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國語의 特質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II. 文字體系
1.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2. 固有名詞 表記
3. 誓記式 表記
4. 吏讀
5. 口訣
6. 鄕札

III. 訓民正音
1. 訓民正音 體系
(1) 初聲體系
(2) 中聲體系
(3) 終聲體系
(4) 竝書(쓰기)
(5) 連書(니쓰기)
(6) 聲調(傍點)

IV.國語의 特徵
1. 국어 자음의 변천 과정
2. 국어 모음의 변천 과정
3. 중세 국어의 특징
(1) 음운의 특징
(2) 문법의 특징
(3) 조어법의 특징
(4) 표기법의 특징
4. 근대 국어의 특징

V. 중세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2. 문법
(1) 형태
3. 문장의 짜임새
(1) 문장 성분
(2) 겹문장의 짜임새

VI. 근대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3) 음운체계

VII. 現代國語
1. 子音體系
2. 母音體系

본문내용

고전문법 총정리
I.國語의 特質
1. 國語의 特質
(1) 음운상의 특질
(2) 어휘상의 특질
(3) 구문상의 특질
II. 文字體系
1.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2. 固有名詞 表記
3. 誓記式 表記
4. 吏讀
5. 口訣
6. 鄕札
III. 訓民正音
1. 訓民正音 體系
(1) 初聲體系
(2) 中聲體系
(3) 終聲體系
(4) 竝書(쓰기)
(5) 連書(니쓰기)
(6) 聲調(傍點)
IV.國語의 特徵
1. 국어 자음의 변천 과정
2. 국어 모음의 변천 과정
3. 중세 국어의 특징
(1) 음운의 특징
(2) 문법의 특징
(3) 조어법의 특징
(4) 표기법의 특징
4. 근대 국어의 특징
V. 중세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2. 문법
(1) 형태
3. 문장의 짜임새
(1) 문장 성분
(2) 겹문장의 짜임새
VI. 근대 국어
1. 음운 변화
(1) 자음의 변화
(2) 모음의 변화
(3) 음운체계
VII. 現代國語
1. 子音體系
2. 母音體系
國語의 特質
國語의 特質
음운상의 특질
국어의 자음체계는(특히 파열음 계열에서)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삼중 체계를 이루고 있다.
語頭에 오는 자음에 제약이 있다.(頭音法則)
音節末에는 7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만이 실현된다.(음절 끝소리 규칙)
母音調和 현상이 있다.
同化作用이 있다.(모음동화→‘ㅣ’모음 동화. 자음동화→비음화, 설측음화)
音相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진다. (주로 의성어, 의태어들이며<예:빙빙-삥삥-핑핑> 낱말의 뜻을 분화시키기도 한다. <예:뛰다[躍]~튀다[彈]>)
모음 사이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다.
모음 연접(hiatus)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어휘상의 특질
한자어의 비중이 크다.
높임말이 발달되어 있다.
감각어가 발달되어 있다.(예 : 노랗다. 샛노랗다. 노르스름하다. 누렇다. 느르끄레하다……)
상징어가 발달되어 있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삼중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구문상의 특질
국어에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이런 점에서 국어는 膠着語에 속한다.)
단어 형성법이 발달되어 있다.
국어의 문장은 대체로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서술어의 어순은 주로 문장의 맨 뒤에 오지만, 다른 성분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한다.
높임법이 발달해 있다.
명사에 성(性)의 구별과 수(數)의 개념이 없으며, 관계 대명사가 없고, 형용사에 비교급과 최상급이 없다.
문법 형태소(조사, 어미)가 반드시 후치한다.
주어나 목적어가 둘 이상 잇달아 나타나는 문장이 가능하다.
활용어미는 문장 또는 用言句 전체에도 가능하다.
文字體系
漢文의 定着과 借字表記法
借字表記法의 발달을 가져온 한자는 언제 유입되고 정착되었는가의 문제는 정음 창제 이전에 우리에게 한자 정착을 거부할 만한 고유 문자 체계가 있었던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지금은 전하지 않지만 그 동안 몇몇 학자들에 의해서 우리에게도 몇 종류의 고유 문자가 있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문자 이전의 특수기호나 회의문자 정도로 추정될 뿐 정음 이전에 우리 민족에게 고유 문자가 없던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고유 문자 체계가 있었다면 吏讀와 같은 차자표기법 자체가 생길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한자의 전래는 고조선 말엽 기원전 3세기경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여 소위 漢四郡時代에 이르러 서서히 정착되어 한자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이 성립된 이후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어와는 이질적인 언어를 사용해 온 우리 민족이 한문의 문법에 적응하여 자신의 언어 표현을 기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년간의 전문 교육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육의 기회가 폭넓지 못한 대다수의 言衆은 한자를 이용하여 표기 욕구를 충족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러한 배경에서 발달된 것이 借字表記法이다.
固有名詞 表記
借字表記法이란 한자의 音과 訓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고유 문자가 없는 상황에서 언중의 표기 욕구에 따라 한자를 恣意的 이용하는 방법에서 비롯되었다. 「三國史記」의 지명인명관명 등의 고유명사들의 차자표기례를 살펴보면 적절히 借音과 借訓을 이용하였고, 借音時에도 一字一音節 표기의 원칙을 지키되 경우에 따라서는 借用 한자의 聲母(초성)나 韻尾(중성+종성)만을 취하기도 하였다. 이런 표기 방식은 古人들의 국어 음절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면서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 단어를 구성하는 音韻連鎖體를 음절 단위로 분석할 줄 아는 능력이 없이 一字一音節의 借字 원칙이 세워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誓記式 表記
서기식 표기란 소위 임신서기석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표기적 특징은 한자를 우리말 어순에 따라 배열하고 있다. 한자의 字義만 알고 있다면 누구나 우리말의 어순에 따라 그 뜻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서기식 표기이다. 서기식 표기는 문장 단위의 국어를 표기해 보려는 언중의 강렬한 욕구와 함께 한문과 국어가 語順에서 큰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배경으로 하여 생성된 것으로 이두의 전 단계 표기로 보인다.
吏讀
이두의 기원에 대해서는 「帝王韻紀」를 비롯한 문헌들이 설총 제작설을 전하고 있으나 설총보다 앞선 시기에 건립된 慶州 南山 新城碑에서 이두식 표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설총이 제작했다기 보다 집대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두란 서기식 표기에 제3류 형태소에 속하는 문법소(조사나 어미 따위)들을 보충한 표기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한 문장에서 意味部에 해당하는 요소들은 한자의 字義를 살려 우리말 어순에 따라 배열하고 거기에 결여된 조사나 어미류의 形態部를 차자표기로 보완한 것이다. 이는 문장 단위의 서기식 표기와 고유명사 표기에서 터득된 차자표기법이 적절히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이두식 표기는 膠着語로서의 국어의 문법소가 갖는 기능적 비중을 명확히 인식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口訣
구결은 우리말로 입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6.02.2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