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패혈증(sepsis)의 정의
▶합병증
▶진단적 검사
▶치료
▶ 예후
▶간호
▶ 예방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고위험 신생아실의 장비 및 기구의 종류, 사용목적 및 방법
2.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간호과정
3.결과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패혈증(sepsis)의 정의
▶합병증
▶진단적 검사
▶치료
▶ 예후
▶간호
▶ 예방
☆고위험 신생아의 특수한 진단적 검사 및 치료
☆고위험 신생아실의 장비 및 기구의 종류, 사용목적 및 방법
2.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간호과정
3.결과
본문내용
방안 온도를 보육기 온도보다 7°C 이상 낮게 하지 않 는다.
③일상적인 간호는 보육기의 구멍을 통해 실시한다.
④보육기 내의 습도는 35~55%로 유지한다.
⑤보육기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멀리 둔다.
⑥보육기에서 분리하는 경우 보육기의 온도 조절기를 끈 다음에도 체온조절을 할 수 있을 때 아기침대로 옮기고 얼마동안 체온조절 여부를 면밀히 사정한다.
⑦자동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탐침은 앙와위에서는 복부에, 복위에서는 등에 부착하 고, 젖지 않도록 하며 환경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덮개를 씌운다.
⑧보통 보육기의 온도는 체중이 낮을수록 높게 유지되며 평균적으로 32.6~36.5°C 에서 유 지된다.
⑨보육기 내의 신생아는 보육기 내에서 스펀지 목욕을 시킨다.
⑩보육기내에서의 수유는 반좌위 상태에서 수행한다. 만약 꺼내서 수유할 경우 따뜻한 포로 싸야 한다. 수유 후에는 트림시키고 매트리스의 상부를 약간 올린 채 눕혀둔다.
3.광선요법기
기능: 고빌리루빈 혈증 신생아를 위한 가장 흔한 치료방법으로 비용혈성 고빌리 루빈 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효과적임.
종류: flat형 광선요법기, biliblanket 광선요법기와 spotlight형 광선요법기가 있다. flat형 광선요법기- 길다란 형광등형 전구를 여러개 장치한 것으로 보육기나
아기침대위에 설치하여 사용.
spotlight형 광선요법기- 방사보온기나 아기침대 위해 설치하여 적용. . biliblanket 광선요법기- 침상 위에 깔고 신생아를 그 위에 눕혀 적용.
사용법:
①장치와 아기와의 거리는 45~60 cm이 적당하다.
②형광 불빛의 강도가 치료 범위인지 매일 점검한다.
③광선요법의 효과는 광선의 강도, 노출된 피부범위, 피부 빌리루빈에 대한 광선요법의 초기 효과에 달려 있다.
간호:
①전체 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옷을 완전히 벗김.
②강렬한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망막손상을 가져오므로 불투명 안대로 눈을 가림. 안대 는 거즈 안에 검은 천이나 종이를 대고 만들고 8시간마다 교환하며 눈간호를 실시.
③체표면에 골고루 노출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변경.
④불빛은 방사열을 생성시키므로 보육기 온도 및 신생아의 체온을 2~4시간마다 측정.
⑤형광빛에 의한 혈관확장은 불감 수분손실을 증가시키고, 장운동 촉진으로 설사가 흔히 나 타나므로 수분섭취를 증가시킴.
⑥피부의 황달감소는 혈청 빌리루빈 농도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매 일 시행. 채혈하는 동안에는 등을 꺼 둠.
⑦수유동안에는 등을 끄고 안대를 벗긴 다음 안고 먹임. 이것은 사람과의 접촉을 경험케 하 고 수유동안 즐거움을 주며 눈을 뜨고 주위를 둘러볼 기회를 제공.
⑧수면 및 수유 양상을 점검하여 영아의 특성에 맞추어 계획을 세움.
⑨신진대사율이 증가하여 칼로리 요구량이 커지므로 매일 체중 측정.
⑩모체 호르몬이 빌리루빈 수준을 높일 수 있으므로 모유수유는 중단.
⑪부작용을 관찰.
*기면, 묽고 초록빛 대변, 짙은색 소변, 체온 상승
*모세혈관 확장으로 인한 피부발진, 불감수분손실로 인한 탈수
*알부민의 빌리루빈 결합능력저하
4.방사보온기, 집중치료대 (Radiant waraer, ICU bed)
기능: 적절한 체온유지를 위해 보욕기가 가장 적절한 수단이나 교환 수혈이나, 소 생술, 소수술 등 많은 처치로 보다 용이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사용.
사용법:
①처음 가동시에는 미리 수동 온도조절 장치로 보온시켜야 하며, 일단 온도가 유지되면 자 동 온도조절 장치로 전환시켜 사용한다.
②자동 온도조절 장치로 전환하는 경우 탐침은, 앙와위인 경우 검상돌기와 제대의 중간부위, 복위인 경우 신장부위에 부착한다.
③증발이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환기창이나 에어컨에서 멀리두고, 후드나 플라스틱 유리덮개를 사용한다.
④30분마다 체온을 기록하고, 탐침 부착상태를 점검한다.
⑤보온용 모자를 씌우고, 긴양말을 신겨서 신체노출을 줄인다.
⑥불감수분 손실이 크므로 탈수증상을 사정한다.
⑦가습기능이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⑧기계가 제대로 작동을 하는지 자주 점검한다. 체온확인시 액와체온을 잰다.
5.수액 주입기(Infusion pump)
기능: 약물 및 수액 주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주입량 과다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
종류: 실린더 주입기는 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는 형과 2~3개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는 케비넷 형이 있다.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액세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I-med가 있으나 실린더 주입기를 더 선호한다.
사용법:
①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하는 1-체널 주입기는 주사기가 20, 30, 50cc짜리가 있고, 2혹은 3-체널 주입기는 50cc짜리 전용으로 동시에 2혹은 3종류의 수액을 연결할 수 있다.
②가능한 최소 주입량은 소수점 이하 1자리 까지이다.(단위: cc)
③약물을 잰 주사기를 펌프에 설치하고 하루에 주입할 수액량을 지정해 주면 시간당 주입되 는 량이 cc단위로 나타나게 되어있다.
④extention 접착부위를 아래로 위치시켜 공기방울의 유입을 막거나 extention B를 연결하 는 것이 좋다.
⑤1-체널 캐비넷 실린더 주입기 경보가 울리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세트가 꼬인 경우
*3-way가 막혔거나 불충분하게 열린 경우
*주사기 선정이 잘못된 경우
*배터리 방전시
6.보조환기요법(Assisted ventilation)
목표: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가장 이상적인 가스교환을 이루는 것.
사용법
①삽관을 하고 안전하게 공정한다.
②air flow line 에 pressure manometer를 위치시킨다.
③다음과 같이 수동환기를 시작한다.
Fio₂= 0.5
Rate = 40~50 bpm
PIP = 18cmH₂O (<1500gm), 20cmH₂O (>1500gm)
PEEP = 4~5cmH₂O
I:E = 1:1
Inspiratory time = 0.75
flow(L/mm) = 4
④청색증 여부, 흉벽운동, 모세혈관 관류상태, 호흡음을 관찰한다.
⑤환기가 부적절하면 공기투입이 적절하게 보일 때까지 2~3 호흡시 마다 PIP를 1cmH₂O 씩 증가시킨다.
⑥산소화가 불충분하고 청색증이 남아 있으면 청색증이 소실될
③일상적인 간호는 보육기의 구멍을 통해 실시한다.
④보육기 내의 습도는 35~55%로 유지한다.
⑤보육기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멀리 둔다.
⑥보육기에서 분리하는 경우 보육기의 온도 조절기를 끈 다음에도 체온조절을 할 수 있을 때 아기침대로 옮기고 얼마동안 체온조절 여부를 면밀히 사정한다.
⑦자동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탐침은 앙와위에서는 복부에, 복위에서는 등에 부착하 고, 젖지 않도록 하며 환경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덮개를 씌운다.
⑧보통 보육기의 온도는 체중이 낮을수록 높게 유지되며 평균적으로 32.6~36.5°C 에서 유 지된다.
⑨보육기 내의 신생아는 보육기 내에서 스펀지 목욕을 시킨다.
⑩보육기내에서의 수유는 반좌위 상태에서 수행한다. 만약 꺼내서 수유할 경우 따뜻한 포로 싸야 한다. 수유 후에는 트림시키고 매트리스의 상부를 약간 올린 채 눕혀둔다.
3.광선요법기
기능: 고빌리루빈 혈증 신생아를 위한 가장 흔한 치료방법으로 비용혈성 고빌리 루빈 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효과적임.
종류: flat형 광선요법기, biliblanket 광선요법기와 spotlight형 광선요법기가 있다. flat형 광선요법기- 길다란 형광등형 전구를 여러개 장치한 것으로 보육기나
아기침대위에 설치하여 사용.
spotlight형 광선요법기- 방사보온기나 아기침대 위해 설치하여 적용. . biliblanket 광선요법기- 침상 위에 깔고 신생아를 그 위에 눕혀 적용.
사용법:
①장치와 아기와의 거리는 45~60 cm이 적당하다.
②형광 불빛의 강도가 치료 범위인지 매일 점검한다.
③광선요법의 효과는 광선의 강도, 노출된 피부범위, 피부 빌리루빈에 대한 광선요법의 초기 효과에 달려 있다.
간호:
①전체 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옷을 완전히 벗김.
②강렬한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망막손상을 가져오므로 불투명 안대로 눈을 가림. 안대 는 거즈 안에 검은 천이나 종이를 대고 만들고 8시간마다 교환하며 눈간호를 실시.
③체표면에 골고루 노출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변경.
④불빛은 방사열을 생성시키므로 보육기 온도 및 신생아의 체온을 2~4시간마다 측정.
⑤형광빛에 의한 혈관확장은 불감 수분손실을 증가시키고, 장운동 촉진으로 설사가 흔히 나 타나므로 수분섭취를 증가시킴.
⑥피부의 황달감소는 혈청 빌리루빈 농도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매 일 시행. 채혈하는 동안에는 등을 꺼 둠.
⑦수유동안에는 등을 끄고 안대를 벗긴 다음 안고 먹임. 이것은 사람과의 접촉을 경험케 하 고 수유동안 즐거움을 주며 눈을 뜨고 주위를 둘러볼 기회를 제공.
⑧수면 및 수유 양상을 점검하여 영아의 특성에 맞추어 계획을 세움.
⑨신진대사율이 증가하여 칼로리 요구량이 커지므로 매일 체중 측정.
⑩모체 호르몬이 빌리루빈 수준을 높일 수 있으므로 모유수유는 중단.
⑪부작용을 관찰.
*기면, 묽고 초록빛 대변, 짙은색 소변, 체온 상승
*모세혈관 확장으로 인한 피부발진, 불감수분손실로 인한 탈수
*알부민의 빌리루빈 결합능력저하
4.방사보온기, 집중치료대 (Radiant waraer, ICU bed)
기능: 적절한 체온유지를 위해 보욕기가 가장 적절한 수단이나 교환 수혈이나, 소 생술, 소수술 등 많은 처치로 보다 용이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사용.
사용법:
①처음 가동시에는 미리 수동 온도조절 장치로 보온시켜야 하며, 일단 온도가 유지되면 자 동 온도조절 장치로 전환시켜 사용한다.
②자동 온도조절 장치로 전환하는 경우 탐침은, 앙와위인 경우 검상돌기와 제대의 중간부위, 복위인 경우 신장부위에 부착한다.
③증발이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환기창이나 에어컨에서 멀리두고, 후드나 플라스틱 유리덮개를 사용한다.
④30분마다 체온을 기록하고, 탐침 부착상태를 점검한다.
⑤보온용 모자를 씌우고, 긴양말을 신겨서 신체노출을 줄인다.
⑥불감수분 손실이 크므로 탈수증상을 사정한다.
⑦가습기능이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⑧기계가 제대로 작동을 하는지 자주 점검한다. 체온확인시 액와체온을 잰다.
5.수액 주입기(Infusion pump)
기능: 약물 및 수액 주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주입량 과다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
종류: 실린더 주입기는 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는 형과 2~3개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는 케비넷 형이 있다.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액세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I-med가 있으나 실린더 주입기를 더 선호한다.
사용법:
①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하는 1-체널 주입기는 주사기가 20, 30, 50cc짜리가 있고, 2혹은 3-체널 주입기는 50cc짜리 전용으로 동시에 2혹은 3종류의 수액을 연결할 수 있다.
②가능한 최소 주입량은 소수점 이하 1자리 까지이다.(단위: cc)
③약물을 잰 주사기를 펌프에 설치하고 하루에 주입할 수액량을 지정해 주면 시간당 주입되 는 량이 cc단위로 나타나게 되어있다.
④extention 접착부위를 아래로 위치시켜 공기방울의 유입을 막거나 extention B를 연결하 는 것이 좋다.
⑤1-체널 캐비넷 실린더 주입기 경보가 울리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세트가 꼬인 경우
*3-way가 막혔거나 불충분하게 열린 경우
*주사기 선정이 잘못된 경우
*배터리 방전시
6.보조환기요법(Assisted ventilation)
목표: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가장 이상적인 가스교환을 이루는 것.
사용법
①삽관을 하고 안전하게 공정한다.
②air flow line 에 pressure manometer를 위치시킨다.
③다음과 같이 수동환기를 시작한다.
Fio₂= 0.5
Rate = 40~50 bpm
PIP = 18cmH₂O (<1500gm), 20cmH₂O (>1500gm)
PEEP = 4~5cmH₂O
I:E = 1:1
Inspiratory time = 0.75
flow(L/mm) = 4
④청색증 여부, 흉벽운동, 모세혈관 관류상태, 호흡음을 관찰한다.
⑤환기가 부적절하면 공기투입이 적절하게 보일 때까지 2~3 호흡시 마다 PIP를 1cmH₂O 씩 증가시킨다.
⑥산소화가 불충분하고 청색증이 남아 있으면 청색증이 소실될
추천자료
모성간호케이스 자궁근종case
노인간호학케이스
지주막하출혈 간호케이스 SAH
[정신간호학] 정신간호학케이스사례]] SPR - paranoid type
불안에 대한 정신간호케이스
지역간호학케이스 간호사정
[내과병동간호실습]직장암(rectal cancer)간호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케이스) 정신분열병
관리케이스-간호관리학
<성인간호학>만성경막하출혈케이스
정신케이스,ADHD케이스, 품행장애, 정신간호학케이스, 간호과정, 간호계획, 간호진단, 비효율...
성인간호학케이스 기흉(Pneumothorax) - 통증, 비효과적 호흡양상, 감염위험성
모성간호학케이스, 여성간호학케이스 - 자궁경부 이형성증(Dysplasia of cervix) - cervix dy...
[모성간호학]출산기 건강장애과 간호-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