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론
Ⅰ. 이론의 역사적 전개
Ⅱ. 기본가정
Ⅲ. 가족치료의 특성
1. 체계이론으로서의 가족치료
2.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점
3. 이론적 원리
1)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이론
2) 일반체계이론
3) 의사소통이론
4) 가족향상성(Family homeostasis)
Ⅳ. 보웬(Bowen)의 다세대적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개념 및 이론
3. 상담(가족치료)의 과정과 기법
Ⅴ. 새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Experiential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이론
3. 상담목표
4. 치료기법
Ⅵ.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1. 인간이해 및 기본적 가설
2. 주요이론
3. 상담의 과정과 기법
Ⅶ. 해일리(J.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개념
3. 전략적 가족치료의 과정과 기법
상담 사례 분석
해결 중심적 가족 상담
▶ 해결 중심적 가족상담의 주요기법
▶ 해결을 향한 질문기법
사례
Ⅰ. 이론의 역사적 전개
Ⅱ. 기본가정
Ⅲ. 가족치료의 특성
1. 체계이론으로서의 가족치료
2.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점
3. 이론적 원리
1)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이론
2) 일반체계이론
3) 의사소통이론
4) 가족향상성(Family homeostasis)
Ⅳ. 보웬(Bowen)의 다세대적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개념 및 이론
3. 상담(가족치료)의 과정과 기법
Ⅴ. 새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Experiential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이론
3. 상담목표
4. 치료기법
Ⅵ.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1. 인간이해 및 기본적 가설
2. 주요이론
3. 상담의 과정과 기법
Ⅶ. 해일리(J.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1. 이론적 가설
2. 주요 개념
3. 전략적 가족치료의 과정과 기법
상담 사례 분석
해결 중심적 가족 상담
▶ 해결 중심적 가족상담의 주요기법
▶ 해결을 향한 질문기법
사례
본문내용
매일 시끄럽지, 작은 놈은 작은 놈대로 걱정입니다.
가상질문
상담자13: 혹시 엄마도 변하고 아빠도 변한다면 넌 뭐가 달라질까 어떻게 달라질까?
예외 질문을 적용한 부분입니다.
딸: 변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상담자14: 혹시 변한다면 예외 질문을 적용한 부분입니다.
딸: 엄마가 이해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상담자15: 무엇을 이해?
딸: 엄마가 딸처럼 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상담자16: 어떻게 하면 엄마가 딸처럼 인정해주는 것 이 되나
딸: 머리부터 발끝까지 불평불만인데 불평 안 했으면 좋겠어요. 열 받아요. 잔소리 안하고 가만히 있었으면 좋겠어요. 아빠가 엄마하고 싸운다고 하는데 엄마가 얼마나 점잖은가 보세요. 나만 나쁜 사람 되고 열 받아요.
상담자17: 나쁜 사람이 아닌데 ..
딸: 못한다고 구박하고 참견하고 이해를 못해요. 나도 이제 16살인데
어머니: 너 말 잘했다. 내가 너를 이해 할 수 있겠니?
상담자18: 엄마가 딸처럼 인정하려면 무엇을 인정해야 할까?
딸: 어려워요. 모르겠어요.
기적질문
상담자19: 오늘 저녁 할 일다하고 잤어요. 자고 일어나면 어떤 일이 ..
상담자20: 내일 아침에 천천히 깨어서 밤중에 뭔가가 일이 해결되었어요. 무엇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이 부분에서 상담자가 기적 질문 요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변화가 일어난 것을 다른 가족들은 무엇을 보고 알수 있겠습니까? ”
어머니: 기분 좋게 아침을 먹고 싶어요. 부담 없이 아침을 먹어보았으면 하네요.. 아침 먹고 나면 가슴이 내려와요. 내 딸이라도..이러다 죽어버리고 싶기도 하고
상담자21: 어떻게 달라졌을까
어머니: 사는게 너무 힘들고 ..애는.. 엄마로서 다정하게 대해주고 싶지요. 하지만 애를 보면 그 마음이 사라져요
어머니가 이렇게 이야기한 후에 상담자는 기적 질문 요법을 사용하여 다시 한번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 그런 행동이 최근에 언제 있었습니까? ”
“ 그런 행동을 계속 하려면 무엇부터 시작 해야 할까요? ”
관계성질문
상담자22: 혹시 달라져서 아이가 엄마한테 어떻게..
어머니: 단지 엄마에게 다정하게 안녕히 주무셨어요 하겠지요
상담자23: 그럼 소정이는 혹시 달라져서 내일 아침 엄마 안녕히 주무셨어요 하고 인사한다면 엄마태도가 어떨까
딸: 비웃을 것 같아요.
상담자24: 뭐가 엄마하고 딸하고 달라졌으면
딸: 엄마가 웃었으면 좋겠어요.
아버지: 너무 갑자기 달라진 소정이가 웃는 얼굴을 보고 싶어요
친구 잘못 사귀어서 그런 것 같아요
상담자25: 소정이가 웃는 얼굴이면 뭐가 달라질까요
아버지: 엄마가 원하는 대로 바뀔꺼예요. 이 사람은 밖에서 좋은 사람이라고들 하는데 집에서는 웃는 얼굴을 못 보겠어요
어머니; 얘가 친구들하고 중3때부터 담배를 피우고 말은 거칠고..
속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딸이 엄마 속마음을 알아주었으면 좋겠어요
목표를 구체화하기위한 질문
상담자26: 말씨가 고분고분하게 바뀌면 뭐가 달라질까
어머니: 저 혼자 힘들고 잘해주어야 겠다 하면서도 얼굴 보면 화가 나요.
상담자27: 소정이가 어떻게
어머니: 딸이 조금만 엄마를 이해할 수 있다면 엄마가 말하는데 문 쿵 닫지 말고 그것만 달라져도 다행입니다.
상담자28: 엄마가 잔소리도 줄고 달라진다면 소정이는 엄마한테 어떻게 하나
이부분에서 상담자가 다음과 같이 척도 질문 요법을 사용 하여 질문을 하는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되어 집니다.
“ 엄마의 잔소리의 정도가 가장 심한것이 1이고, 전혀 없는것이 10이라고 할때 현재 소정이에게 몇쯤 하고 있다고 생각 하나? ”
소정이가 3이라고 대답 했다면
“3에서 4,5로 갈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그렇게 하면 소정이가 어떻게 달라질까? ”
어머니: 학교에서 있었던 일 이야기하고 책가방도 챙기고
상담자29: 혹시 소정이가 달라진다면 엄마는 어떻게 하실까
딸: 용돈을 많이 주겠지요
어머니: 아빠가 자상하지 않고 말 안 들으면 때리고 소정이도 힘들었을 꺼예요.
가상질문
상담자30: 혹시 엄마처럼 딸처럼 대하면 뭐가 달라질까
딸: 엄마태도 때문에 더 화가 나요. 엄마가 나 무시하는 걸로 알았지 나하고 얘기하고 싶어 하는 줄 몰랐어요.
상담자31: 조금만 어떻게 해주면 엄마가 부드러워 질까
이 부분에서 상담자가 예외 질문 요법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이 질문하는것도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 됩니다.,
“ 어떻게 하면 엄마가 잔소리 하지 않을까? ”
딸: 우리 엄마는 부드러워 탈 이예요. 내가 욕을 해도 나만 나쁜 사람 되요. 같이 싸운다고 하지만 나만 소리 지르지 엄마는...
상담자32: 이후로도 뭐가 조금만 달라진다면
어머니: 얘기하는데 문 닫고 나가고 얘기가 안되요.그것만 달라져도 제 마음이..
상담자33: 엄마가 원하는 대로 달라지면 엄마는 뭐가 달라질까
딸: 잔소리가 줄겠지요. 엄마는 나하고 얘기하고 싶어 하는 줄 몰랐어요.
어머니: 딸 이해하고 싶어요.
상담자34: 아빠는 아셨나요?
아버지: 소정이가 어렸을 때는 엄마를 무척 좋아했어요.
메시지
상담자35; 바쁘신 데도 아빠가 와주셔서 고맙고 엄마, 소정이도 하기 힘든 이야기했고
칭찬을 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어머니: 속상한 말 사실 다른 사람한테 어렵고 여기 온다는 것도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았지만 소정 이를 위해서라면
상담자36: 부모가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지요. 서로 자기생각만 많이 하고 화난 것이 많은 것 같네요. 마음속에 있는 것 표현하기 힘들어하는데 다시 한 번만 더 상담을 권하고 싶어요.
괜찮다면 아빠는 언제가? 엄마는? 소정 이는? 그럼 다음 주에 다시 한 번만 더 만납시다.
베시지를 전달 할때는 칭찬, 과제 연결, 과제 전달의 절차로 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칭찬으로 끝나는 것 같은것이 조금 아쉽습 니다.
마지막 부분에 다음과 같은 말을 첨가하는것이 더 효과적일것 같습니다.
“ 소정이와 부모님이 조금만 노력 한다면 서로가 좀더 이해 할 수 있을것 같아요 서로에게 조금더 관심을 가지도록 합시다. 다음주 까지 서로에게 편지를 써보는 것이 어떻게 습니까? ”
나의 생각
복잡한 문제를 점점 구체적이고 체계
가상질문
상담자13: 혹시 엄마도 변하고 아빠도 변한다면 넌 뭐가 달라질까 어떻게 달라질까?
예외 질문을 적용한 부분입니다.
딸: 변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상담자14: 혹시 변한다면 예외 질문을 적용한 부분입니다.
딸: 엄마가 이해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상담자15: 무엇을 이해?
딸: 엄마가 딸처럼 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상담자16: 어떻게 하면 엄마가 딸처럼 인정해주는 것 이 되나
딸: 머리부터 발끝까지 불평불만인데 불평 안 했으면 좋겠어요. 열 받아요. 잔소리 안하고 가만히 있었으면 좋겠어요. 아빠가 엄마하고 싸운다고 하는데 엄마가 얼마나 점잖은가 보세요. 나만 나쁜 사람 되고 열 받아요.
상담자17: 나쁜 사람이 아닌데 ..
딸: 못한다고 구박하고 참견하고 이해를 못해요. 나도 이제 16살인데
어머니: 너 말 잘했다. 내가 너를 이해 할 수 있겠니?
상담자18: 엄마가 딸처럼 인정하려면 무엇을 인정해야 할까?
딸: 어려워요. 모르겠어요.
기적질문
상담자19: 오늘 저녁 할 일다하고 잤어요. 자고 일어나면 어떤 일이 ..
상담자20: 내일 아침에 천천히 깨어서 밤중에 뭔가가 일이 해결되었어요. 무엇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이 부분에서 상담자가 기적 질문 요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변화가 일어난 것을 다른 가족들은 무엇을 보고 알수 있겠습니까? ”
어머니: 기분 좋게 아침을 먹고 싶어요. 부담 없이 아침을 먹어보았으면 하네요.. 아침 먹고 나면 가슴이 내려와요. 내 딸이라도..이러다 죽어버리고 싶기도 하고
상담자21: 어떻게 달라졌을까
어머니: 사는게 너무 힘들고 ..애는.. 엄마로서 다정하게 대해주고 싶지요. 하지만 애를 보면 그 마음이 사라져요
어머니가 이렇게 이야기한 후에 상담자는 기적 질문 요법을 사용하여 다시 한번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 그런 행동이 최근에 언제 있었습니까? ”
“ 그런 행동을 계속 하려면 무엇부터 시작 해야 할까요? ”
관계성질문
상담자22: 혹시 달라져서 아이가 엄마한테 어떻게..
어머니: 단지 엄마에게 다정하게 안녕히 주무셨어요 하겠지요
상담자23: 그럼 소정이는 혹시 달라져서 내일 아침 엄마 안녕히 주무셨어요 하고 인사한다면 엄마태도가 어떨까
딸: 비웃을 것 같아요.
상담자24: 뭐가 엄마하고 딸하고 달라졌으면
딸: 엄마가 웃었으면 좋겠어요.
아버지: 너무 갑자기 달라진 소정이가 웃는 얼굴을 보고 싶어요
친구 잘못 사귀어서 그런 것 같아요
상담자25: 소정이가 웃는 얼굴이면 뭐가 달라질까요
아버지: 엄마가 원하는 대로 바뀔꺼예요. 이 사람은 밖에서 좋은 사람이라고들 하는데 집에서는 웃는 얼굴을 못 보겠어요
어머니; 얘가 친구들하고 중3때부터 담배를 피우고 말은 거칠고..
속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딸이 엄마 속마음을 알아주었으면 좋겠어요
목표를 구체화하기위한 질문
상담자26: 말씨가 고분고분하게 바뀌면 뭐가 달라질까
어머니: 저 혼자 힘들고 잘해주어야 겠다 하면서도 얼굴 보면 화가 나요.
상담자27: 소정이가 어떻게
어머니: 딸이 조금만 엄마를 이해할 수 있다면 엄마가 말하는데 문 쿵 닫지 말고 그것만 달라져도 다행입니다.
상담자28: 엄마가 잔소리도 줄고 달라진다면 소정이는 엄마한테 어떻게 하나
이부분에서 상담자가 다음과 같이 척도 질문 요법을 사용 하여 질문을 하는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되어 집니다.
“ 엄마의 잔소리의 정도가 가장 심한것이 1이고, 전혀 없는것이 10이라고 할때 현재 소정이에게 몇쯤 하고 있다고 생각 하나? ”
소정이가 3이라고 대답 했다면
“3에서 4,5로 갈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그렇게 하면 소정이가 어떻게 달라질까? ”
어머니: 학교에서 있었던 일 이야기하고 책가방도 챙기고
상담자29: 혹시 소정이가 달라진다면 엄마는 어떻게 하실까
딸: 용돈을 많이 주겠지요
어머니: 아빠가 자상하지 않고 말 안 들으면 때리고 소정이도 힘들었을 꺼예요.
가상질문
상담자30: 혹시 엄마처럼 딸처럼 대하면 뭐가 달라질까
딸: 엄마태도 때문에 더 화가 나요. 엄마가 나 무시하는 걸로 알았지 나하고 얘기하고 싶어 하는 줄 몰랐어요.
상담자31: 조금만 어떻게 해주면 엄마가 부드러워 질까
이 부분에서 상담자가 예외 질문 요법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이 질문하는것도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 됩니다.,
“ 어떻게 하면 엄마가 잔소리 하지 않을까? ”
딸: 우리 엄마는 부드러워 탈 이예요. 내가 욕을 해도 나만 나쁜 사람 되요. 같이 싸운다고 하지만 나만 소리 지르지 엄마는...
상담자32: 이후로도 뭐가 조금만 달라진다면
어머니: 얘기하는데 문 닫고 나가고 얘기가 안되요.그것만 달라져도 제 마음이..
상담자33: 엄마가 원하는 대로 달라지면 엄마는 뭐가 달라질까
딸: 잔소리가 줄겠지요. 엄마는 나하고 얘기하고 싶어 하는 줄 몰랐어요.
어머니: 딸 이해하고 싶어요.
상담자34: 아빠는 아셨나요?
아버지: 소정이가 어렸을 때는 엄마를 무척 좋아했어요.
메시지
상담자35; 바쁘신 데도 아빠가 와주셔서 고맙고 엄마, 소정이도 하기 힘든 이야기했고
칭찬을 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어머니: 속상한 말 사실 다른 사람한테 어렵고 여기 온다는 것도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았지만 소정 이를 위해서라면
상담자36: 부모가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지요. 서로 자기생각만 많이 하고 화난 것이 많은 것 같네요. 마음속에 있는 것 표현하기 힘들어하는데 다시 한 번만 더 상담을 권하고 싶어요.
괜찮다면 아빠는 언제가? 엄마는? 소정 이는? 그럼 다음 주에 다시 한 번만 더 만납시다.
베시지를 전달 할때는 칭찬, 과제 연결, 과제 전달의 절차로 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칭찬으로 끝나는 것 같은것이 조금 아쉽습 니다.
마지막 부분에 다음과 같은 말을 첨가하는것이 더 효과적일것 같습니다.
“ 소정이와 부모님이 조금만 노력 한다면 서로가 좀더 이해 할 수 있을것 같아요 서로에게 조금더 관심을 가지도록 합시다. 다음주 까지 서로에게 편지를 써보는 것이 어떻게 습니까? ”
나의 생각
복잡한 문제를 점점 구체적이고 체계
키워드
추천자료
가족상담사례 생활사진단과 상담계획 - 부부 및 가족생활사 진단지, 가족진단 측정양식, 상담...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에 대한 관련신문기사(2009[1].12.24서울신문)및 기사에 대한 견해, 가...
가정폭력 가족상담의 유의점과 가정폭력 상황에 맞는 상담 모델 정하기
가족상담 이론과 실제
현대사회에서 가족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기술.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차이점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 [가족상담과 가족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 상담이 필요한 가족 - 가족 상담, 가족의 특성, 집합으로서의 가족,...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
대표적인 가족상담이론(보웬 가족상담, 전략적 가족상담, 경험적 가족상담)의 특징과 상담...
[가족상담및치료] 가족 상담에서 다루는 문제와 한국 가족의 문제에 대해 내용을 요약하고 자...
구조적가족치료 및 가족상담사례(가족상담일지, 구조적가족치료모델, 가족치료시연, 부모와상...
가족상담 가족치료 직업윤리 가족상담및치료과정 갈등 직업윤리위배 가족상담과정 가족치료과정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 맥락에서 갖는 ...
[가족상담이론] 가족상담모형 의사소통 가족상담모델 사티어 가족상담이론 구조론적 가족상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