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5. 광동주혈선충증 (Angiostrongyliasis)
① 역학적 특징
⇒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남태평양의 섬 등 환태평양 지역 일대에 분포
⇒ 소모아에서 달팽이를 날로 먹고 감염된 국내 선원 15명중 1명이 사망한 예가 있으나 국내에서 토착 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음
② 병원체 종류
Angiostrongylus cantonensi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사람이나 쥐가 중간숙주(육산, 담수산 패류 등 약 56종의 연체 동물)나 운반숙주 (새우, 게, 개구리, 물고기 등)를 섭취하였을 때 감염되며, 때로는 유충에 오염된 채소나 물을 먹어서 감염됨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패류나 민달팽이 등의 중간숙주와 새우 등 운반숙주를 생식하지 않도록 하며, 생수나 생야채도 가능하면 섭취하지 말아야 함.
6. 유극악구충증 (Gnathostomiasis)
① 역학적 특징
⇒ Gnathostoma속에 20여종이 알려져 있고, 인도에서 일본에 이르는 아시아 대륙과 북미에서
충체가 관찰됨
② 병원체 종류
Gnathostoma spiniger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 주로 익히지 않은 어육을 섭취하여 제3기 유충에 감염되나, 그외에 제2 중간숙주나 운반숙주를 먹 어서도 감염되고, 물을 마실 때 감염된 물벼룩을 삼켜도 감염이 일어남. 조리시 유충이 피부를 뚫고 감염될 수 있음
⇒ 유행지의 육식동물에서 비교적 고율로 감염되며, 고양이, 개, 족제비 등이 중요한 보유숙주임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패류나 민달팽이 등의 중간숙주와 새우 등 운반숙주를 생식하지 않도록 하며, 생수나 생야채도 가능하면 섭취하지 말아야 함
7. 사상충증 (Filariasis)
① 역학적 특징
⇒ 반크롭프트사상충증
사상충증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사상충으로 북미 대륙과 유럽 이외의 전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됨.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말레이사상충증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타이, 중국 등에 유행.
국내에는 1990년도 초까지 제주도와 전남 도서지역, 경북 내륙에서 감염자가 잔존했었으나 현재는 WHO에서 우리나라를 유행지 명단에서 제외시킴.
⇒ 회선사상충증
열대, 아열대 아프리카의 저지대의 강유역과 중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유행.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로아사상충증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늪지에 분포,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② 병원체 종류
Gnathostoma spiniger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 반크롭프트사상충증 : 모기에 의해서 전파되며 각 지역마다 모기의 종이 다름
⇒ 말레이사상충증 : Mansonia와 Anopheles 모기에 의해서 주로 전파
⇒ 회선사상충증 : 먹파리(black fly, Simulium spp.)가 흡혈할 때 사상유충이 감염
⇒ 로아사상충증 : 흡혈성 등에(Chrysops spp.)가 흡혈할 때 유충이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8. 포충증 (Hydatidosis)
① 역학적 특징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 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② 병원체 종류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③ 전파방법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됨.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것이 최상의 예방책.
9. 크로이츠펠트-야콥병
① 역학적 특징
⇒ 산발성 CJD는 전체 CJD의 85-90%를 차지하며 풍토병적 질환으로 일반 인구 중 자연적인 돌연변 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가족성 CJD, GSS 및 FFI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유전적 소인에 따라 발병.
⇒ 의인성 CJD와 쿠루는 감염된 조직의 접종 혹은 섭취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 중 의인성 CJD는 감염된 조직, 각막 이식 혹은 감염자 뇌에서 추출된 호르몬의 주입 등에 의하여, 쿠 루는 발병한 사람의 시신처리과정의 오염 및 식인 습관에 의하여 전파.
⇒ 변종 CJD는 1996년 영국에서 최초로 보고되었고 2001년 5월까지 영국에서만 100명이 발생. 변종 CJD는 병리학적으로 TSE와 비슷한 해면양 뇌병증을 보이나 임상적, 역학적 양상이 CJD와 다르며 병리조직학적 소견도 산발성 CJD와 달라 별도의 질환으로 분류하고 있다.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최 근 25년간 연도별 발생 추세.
⇒ 영국과 일본의 경우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최근 들어 이병에 대한 관심의 증가 와 진단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영국 및 일본에 비하여 발생자의 절대수가 매우 적게 보고되고 있다.
② 병원체 종류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하 CJD)은 산발성, 의인성(iatrogenic), 가족형,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CJD)으로 나뉘며, 산발성 CJD는 모든 국가에서 백만명당 0.5~1명정도의 빈도로 발생함.
③ 전파방법
광우병과 관련된 vCJD는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섭취함으로써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④ 예방 및 관리대책
CJD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은 문진과정 등을 통하여 수혈에서 배제하여야 함.
5. 광동주혈선충증 (Angiostrongyliasis)
① 역학적 특징
⇒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남태평양의 섬 등 환태평양 지역 일대에 분포
⇒ 소모아에서 달팽이를 날로 먹고 감염된 국내 선원 15명중 1명이 사망한 예가 있으나 국내에서 토착 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음
② 병원체 종류
Angiostrongylus cantonensi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사람이나 쥐가 중간숙주(육산, 담수산 패류 등 약 56종의 연체 동물)나 운반숙주 (새우, 게, 개구리, 물고기 등)를 섭취하였을 때 감염되며, 때로는 유충에 오염된 채소나 물을 먹어서 감염됨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패류나 민달팽이 등의 중간숙주와 새우 등 운반숙주를 생식하지 않도록 하며, 생수나 생야채도 가능하면 섭취하지 말아야 함.
6. 유극악구충증 (Gnathostomiasis)
① 역학적 특징
⇒ Gnathostoma속에 20여종이 알려져 있고, 인도에서 일본에 이르는 아시아 대륙과 북미에서
충체가 관찰됨
② 병원체 종류
Gnathostoma spiniger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 주로 익히지 않은 어육을 섭취하여 제3기 유충에 감염되나, 그외에 제2 중간숙주나 운반숙주를 먹 어서도 감염되고, 물을 마실 때 감염된 물벼룩을 삼켜도 감염이 일어남. 조리시 유충이 피부를 뚫고 감염될 수 있음
⇒ 유행지의 육식동물에서 비교적 고율로 감염되며, 고양이, 개, 족제비 등이 중요한 보유숙주임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패류나 민달팽이 등의 중간숙주와 새우 등 운반숙주를 생식하지 않도록 하며, 생수나 생야채도 가능하면 섭취하지 말아야 함
7. 사상충증 (Filariasis)
① 역학적 특징
⇒ 반크롭프트사상충증
사상충증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사상충으로 북미 대륙과 유럽 이외의 전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됨.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말레이사상충증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타이, 중국 등에 유행.
국내에는 1990년도 초까지 제주도와 전남 도서지역, 경북 내륙에서 감염자가 잔존했었으나 현재는 WHO에서 우리나라를 유행지 명단에서 제외시킴.
⇒ 회선사상충증
열대, 아열대 아프리카의 저지대의 강유역과 중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유행.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로아사상충증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늪지에 분포,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② 병원체 종류
Gnathostoma spiniger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원충성 질환
③ 전파방법
⇒ 반크롭프트사상충증 : 모기에 의해서 전파되며 각 지역마다 모기의 종이 다름
⇒ 말레이사상충증 : Mansonia와 Anopheles 모기에 의해서 주로 전파
⇒ 회선사상충증 : 먹파리(black fly, Simulium spp.)가 흡혈할 때 사상유충이 감염
⇒ 로아사상충증 : 흡혈성 등에(Chrysops spp.)가 흡혈할 때 유충이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8. 포충증 (Hydatidosis)
① 역학적 특징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 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② 병원체 종류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③ 전파방법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됨.
④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것이 최상의 예방책.
9. 크로이츠펠트-야콥병
① 역학적 특징
⇒ 산발성 CJD는 전체 CJD의 85-90%를 차지하며 풍토병적 질환으로 일반 인구 중 자연적인 돌연변 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가족성 CJD, GSS 및 FFI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유전적 소인에 따라 발병.
⇒ 의인성 CJD와 쿠루는 감염된 조직의 접종 혹은 섭취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 중 의인성 CJD는 감염된 조직, 각막 이식 혹은 감염자 뇌에서 추출된 호르몬의 주입 등에 의하여, 쿠 루는 발병한 사람의 시신처리과정의 오염 및 식인 습관에 의하여 전파.
⇒ 변종 CJD는 1996년 영국에서 최초로 보고되었고 2001년 5월까지 영국에서만 100명이 발생. 변종 CJD는 병리학적으로 TSE와 비슷한 해면양 뇌병증을 보이나 임상적, 역학적 양상이 CJD와 다르며 병리조직학적 소견도 산발성 CJD와 달라 별도의 질환으로 분류하고 있다.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최 근 25년간 연도별 발생 추세.
⇒ 영국과 일본의 경우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최근 들어 이병에 대한 관심의 증가 와 진단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영국 및 일본에 비하여 발생자의 절대수가 매우 적게 보고되고 있다.
② 병원체 종류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하 CJD)은 산발성, 의인성(iatrogenic), 가족형,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CJD)으로 나뉘며, 산발성 CJD는 모든 국가에서 백만명당 0.5~1명정도의 빈도로 발생함.
③ 전파방법
광우병과 관련된 vCJD는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섭취함으로써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④ 예방 및 관리대책
CJD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은 문진과정 등을 통하여 수혈에서 배제하여야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