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각장애의 개념과 분류
2. 청각장애의 원인
3. 청각장애 실태
4. 청각장애 정책과 지원
5. 청각장애아동 재활-교육중심으로
6. 청각장애 부모의 양육 부담
7. 사례
8. 제언
9. 참고 자료
2. 청각장애의 원인
3. 청각장애 실태
4. 청각장애 정책과 지원
5. 청각장애아동 재활-교육중심으로
6. 청각장애 부모의 양육 부담
7. 사례
8. 제언
9. 참고 자료
본문내용
4세 이후에 청력을 손실하였을 경우에는 문장의 이해에는 어려움이 없어도 발음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김승국 등, 1994), 이들도 특수교육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3) 병리학에 따른 분류
청력장애의 정도는 회화음역(會話音域)에 속하는 주파수인 500Hz, 1,000Hz, 2,000Hz에서의 기도청력역치를 산술평균(PTAS)하여 구하는 방법과 1,000Hz에서의 기도청력역치를 2배하고 더하여 4등분하여 산출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와같이 산출한 순음청력역치는 말초성 청각장애에서 대개 어음청력역치와 10dB 이내의 차이로 일치한다. 청력장애의 정도 표시는 아래표와 같다. 어떤 환자가 회화음역에서 40dB(ISO기준) 이하의 청력소실이 있으면 환자 자신은 잘 모를 수 있으나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가는 귀가 먹었다는 정도로 알게 된다. 40dB 이상의 청력소실이 있다면 환자 자신도 장애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40dB(ISO기준)를 최저 청력요구 정도로 하여 취업 여부의 경계치로 삼는다.
청력 손실정도
청각장애 정도
음의인지 특성
0~25dB
정상
정상
26~40dB
경도
속상이는 소리, 작은 소리는 잘 듣지 못함
언어의 발달에 약간의 지체 현상 야기됨
41~55dB
중도
가까운 곳에서 대화가능하나 먼 곳의 말소리를 못 들음
독순과 말하기 훈련 필요
보청기 사용시 효율성 높음
56~70dB
중등도
큰소리만 들을 수 있고 군중 속이나 강의실에서는 어음이해도 저조
교육보조 서비스가 필요(노트정리, 개인교수 등)
71~90dB
고도
매우 큰 소리에만 반응, 언어의 이해는 거의 불가능
구화 기술 훈련이 중요함
91dB
농
소리에 거의 반응이 없음
보청기 착용후 어음변별력도 현저하게 떨어짐
청력손실 정도별 음의 인지 특성
자료: 한국농아인협회(1999)
청력장애의 유형의 분류는 음을 전달하는 기관, 즉 외이와 중이에 병변이 있을 때 초래되는 전음성 난청(傳音性 難聽, conductive hearning loss)과 물리적 음향에너지를 전기적 음향에너지로 바꾸어 청각중추로 전달하는 기관, 즉 내이와 청신경에 병변이 있을 때 생기는 감각신경성 난청(感覺神經性 難聽, sensorineural hearning loss), 청각신경이 연수(延髓)에 들어가서부터 대뇌피질 사이의 중추신경 계통에 장애가 있어 초래되는 중추성 난청(中樞性 難聽, central hearning loss), 기질적인 장애없이 심인성(心因性)으로 청력장애가 나타나는 기능성 난청(機能性 難聽) 및 위의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혼합된 것으로, 주로 전음성과 감각신경성 장애가 공존하는 것으로 혼합성 난청(混合性 難聽)의 5가지로 분류한다.
청력도상의 기도청력곡선(氣導聽力曲線, AC곡선)은 외이, 중이, 내이, 즉 전음 및 감음의 전 기관을 통한 청력의 성적을 나타내는 것이며, 골도청력곡선(骨導聽力曲線, BC곡선)은 내이 즉 감음기관의 성적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 성적을 비교함으로써 양자관계에서 전음기관의 장애인지 감음기관의 장애인지 혹은 양자가 혼합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음성 난청때는 기도청력만 떨어지고 골도청력은 정상이고, 감각신경성 난청때는 기도와 골도청력이 다같이 떨어진다. 그리고 혼합성 난청때는 기도와 골도청력이 다 떨어지나 기도청력의 소실이 더 심하다.
4) 실청 시기에 따른 분류
청각장애아 교육에서는 청력 손실도도 중시하지만 청력손실 연령도 중시한다.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하기 이전에 농이 된 사람을 언어전 농(prelingually deaf)이라 하며,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 후에 농이 된 사람을 언어후 농(postlingually deaf)이라 한다.
언어전 농은 태어날 때부터 농이었거나 유아기에 청력을 손실한 사람이다. 농 아동 중 약 95%가 언어전 농이다. 언어전 농 아동 10명 중 1명은 농부모(한쪽 또는 양쪽)를 가지고 있다. 언어후 농 중 많은 사람은 말을 사용하고 구두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한국농아인협회 홈페이지).
2. 청각장애의 원인
원인
내용
외이의 원인
외이도 질환으로는 이물, 귀지, 염증, 종양 그리고 선천성 기형 등이 있다.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체질에 따라 귀지가 젖어있어 귀지가 빠져 나오지 못하여 외이도 안에서 뭉쳐 있는 경우, 외이도에 종양이나 선천성 기형으로 외이도가 막혀 있는 경우에도 난청을 초래하게 된다. 선천적 기형은 임신 초기 태아에게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성 감염(풍진, 인플루엔자)에 의한 경우가 많다.
중이의 원인
알레르기성 중이염
중이염으로 유스타키우스관이 부어서 중이 내에 음기압을 일으키며, 이 음기압은 중이 내막의 혈청이 중이강 속으로 빨려들게 하여 청력 손실을 일으킨다.
급성 중이염
급성 중이염은 상기도염(감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이에 액이 차서 중이의 증폭 기능이 장애를 입게 된다. 약 30dB 정도의 청력 손실이 오나 염증의 치유와 함께 회복된다.
삼출성 중이염
고막 안의 중이강 속에 끈적끈적한 진물이 차서 잘 안 들리게 되는 질환으로 30dB 정도의 청력 손실이 온다. 원인은 중이와 코 뒤쪽에 있는 목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관이 막혀서 환기가 잘 안 되는 경우 발생한다.
만성중이염
급성중이염이 치료가 제대로 안되어 반복되고 지속되어 중이내의 정상적인 구조물이 변화를 일으키는 등 만성화 하였을 때를 말한다. 이러한 만성 중이염은 난청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이라 할 수 있다.
고막천공
타박이나 중이의 과도한 압박, 기타의 염증에 의해 생긴다.
이경화증
중이염에 비해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등골이 난원창에 비정상적으로 붙어 있게 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외의 및 중의의 원인
자료: 우명자, 2004
2) 내의의 원인
청각장애 원인 중 내이 및 청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하며 전음성 난청과는 달리 회복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당히 심각한 청력장애를 초래한다.
원 인
내 용
유전성 난청 증후군
유전성 주요 증후군으로는 Waardenberg증후군, Ushers증후군, Treacher Collins증후군 등이 있다.
3) 병리학에 따른 분류
청력장애의 정도는 회화음역(會話音域)에 속하는 주파수인 500Hz, 1,000Hz, 2,000Hz에서의 기도청력역치를 산술평균(PTAS)하여 구하는 방법과 1,000Hz에서의 기도청력역치를 2배하고 더하여 4등분하여 산출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와같이 산출한 순음청력역치는 말초성 청각장애에서 대개 어음청력역치와 10dB 이내의 차이로 일치한다. 청력장애의 정도 표시는 아래표와 같다. 어떤 환자가 회화음역에서 40dB(ISO기준) 이하의 청력소실이 있으면 환자 자신은 잘 모를 수 있으나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가는 귀가 먹었다는 정도로 알게 된다. 40dB 이상의 청력소실이 있다면 환자 자신도 장애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40dB(ISO기준)를 최저 청력요구 정도로 하여 취업 여부의 경계치로 삼는다.
청력 손실정도
청각장애 정도
음의인지 특성
0~25dB
정상
정상
26~40dB
경도
속상이는 소리, 작은 소리는 잘 듣지 못함
언어의 발달에 약간의 지체 현상 야기됨
41~55dB
중도
가까운 곳에서 대화가능하나 먼 곳의 말소리를 못 들음
독순과 말하기 훈련 필요
보청기 사용시 효율성 높음
56~70dB
중등도
큰소리만 들을 수 있고 군중 속이나 강의실에서는 어음이해도 저조
교육보조 서비스가 필요(노트정리, 개인교수 등)
71~90dB
고도
매우 큰 소리에만 반응, 언어의 이해는 거의 불가능
구화 기술 훈련이 중요함
91dB
농
소리에 거의 반응이 없음
보청기 착용후 어음변별력도 현저하게 떨어짐
청력손실 정도별 음의 인지 특성
자료: 한국농아인협회(1999)
청력장애의 유형의 분류는 음을 전달하는 기관, 즉 외이와 중이에 병변이 있을 때 초래되는 전음성 난청(傳音性 難聽, conductive hearning loss)과 물리적 음향에너지를 전기적 음향에너지로 바꾸어 청각중추로 전달하는 기관, 즉 내이와 청신경에 병변이 있을 때 생기는 감각신경성 난청(感覺神經性 難聽, sensorineural hearning loss), 청각신경이 연수(延髓)에 들어가서부터 대뇌피질 사이의 중추신경 계통에 장애가 있어 초래되는 중추성 난청(中樞性 難聽, central hearning loss), 기질적인 장애없이 심인성(心因性)으로 청력장애가 나타나는 기능성 난청(機能性 難聽) 및 위의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혼합된 것으로, 주로 전음성과 감각신경성 장애가 공존하는 것으로 혼합성 난청(混合性 難聽)의 5가지로 분류한다.
청력도상의 기도청력곡선(氣導聽力曲線, AC곡선)은 외이, 중이, 내이, 즉 전음 및 감음의 전 기관을 통한 청력의 성적을 나타내는 것이며, 골도청력곡선(骨導聽力曲線, BC곡선)은 내이 즉 감음기관의 성적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 성적을 비교함으로써 양자관계에서 전음기관의 장애인지 감음기관의 장애인지 혹은 양자가 혼합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음성 난청때는 기도청력만 떨어지고 골도청력은 정상이고, 감각신경성 난청때는 기도와 골도청력이 다같이 떨어진다. 그리고 혼합성 난청때는 기도와 골도청력이 다 떨어지나 기도청력의 소실이 더 심하다.
4) 실청 시기에 따른 분류
청각장애아 교육에서는 청력 손실도도 중시하지만 청력손실 연령도 중시한다.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하기 이전에 농이 된 사람을 언어전 농(prelingually deaf)이라 하며,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 후에 농이 된 사람을 언어후 농(postlingually deaf)이라 한다.
언어전 농은 태어날 때부터 농이었거나 유아기에 청력을 손실한 사람이다. 농 아동 중 약 95%가 언어전 농이다. 언어전 농 아동 10명 중 1명은 농부모(한쪽 또는 양쪽)를 가지고 있다. 언어후 농 중 많은 사람은 말을 사용하고 구두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한국농아인협회 홈페이지).
2. 청각장애의 원인
원인
내용
외이의 원인
외이도 질환으로는 이물, 귀지, 염증, 종양 그리고 선천성 기형 등이 있다.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체질에 따라 귀지가 젖어있어 귀지가 빠져 나오지 못하여 외이도 안에서 뭉쳐 있는 경우, 외이도에 종양이나 선천성 기형으로 외이도가 막혀 있는 경우에도 난청을 초래하게 된다. 선천적 기형은 임신 초기 태아에게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성 감염(풍진, 인플루엔자)에 의한 경우가 많다.
중이의 원인
알레르기성 중이염
중이염으로 유스타키우스관이 부어서 중이 내에 음기압을 일으키며, 이 음기압은 중이 내막의 혈청이 중이강 속으로 빨려들게 하여 청력 손실을 일으킨다.
급성 중이염
급성 중이염은 상기도염(감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이에 액이 차서 중이의 증폭 기능이 장애를 입게 된다. 약 30dB 정도의 청력 손실이 오나 염증의 치유와 함께 회복된다.
삼출성 중이염
고막 안의 중이강 속에 끈적끈적한 진물이 차서 잘 안 들리게 되는 질환으로 30dB 정도의 청력 손실이 온다. 원인은 중이와 코 뒤쪽에 있는 목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관이 막혀서 환기가 잘 안 되는 경우 발생한다.
만성중이염
급성중이염이 치료가 제대로 안되어 반복되고 지속되어 중이내의 정상적인 구조물이 변화를 일으키는 등 만성화 하였을 때를 말한다. 이러한 만성 중이염은 난청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이라 할 수 있다.
고막천공
타박이나 중이의 과도한 압박, 기타의 염증에 의해 생긴다.
이경화증
중이염에 비해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등골이 난원창에 비정상적으로 붙어 있게 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외의 및 중의의 원인
자료: 우명자, 2004
2) 내의의 원인
청각장애 원인 중 내이 및 청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하며 전음성 난청과는 달리 회복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당히 심각한 청력장애를 초래한다.
원 인
내 용
유전성 난청 증후군
유전성 주요 증후군으로는 Waardenberg증후군, Ushers증후군, Treacher Collins증후군 등이 있다.
추천자료
[청각장애아조기교육] `청각장애아의 조기교육
청각장애인의 정보화 장애요인과 대응방안
청각장애아 교육의 배경으로서 수화법과 구화법 그리고 TC, 2Bi에 대해 알아보고,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 직업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전달체계)의 의의, ...
[특수교육]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책-내가 생각하는 청각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해...
청각장애인의 특성/청각장애인에 대한 영향/보청기의 속성/보청기의 종류/보청기의 기본구조/...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의의,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가정과 목적,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가정지도...
[음악치료][뇌성마비][학습장애][자폐][정신지체][ADHD]뇌성마비아 음악치료, 학습장애아 음...
장애영역 탐구 프로젝트(청각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
장애인(청각장애), 수화를 다룬 영화 <시크릿러브> 영화감상문
[독해력][독해력 신장방법][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상위인지 관계][책읽기]독...
[장애아동평가] 장애아동의 평가(아동검사-장애아동검사) - 정서장애 및 비행아동평가, 자폐...
[장애유형] 신체적 장애(신체형 장애-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장애유형별 정의 및 특성] 신체적 장애(지체장애,뇌병변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어장애,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