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전시학습
<본시 교수 - 학습과정안>
※알아봅시다.
→ 훈민정음
1. 훈민정음(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 작자
3. 연대
4.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5. 체제 : ‘예의 + 해례 + 정인지 서’로 구성됨.
6. 훈민정음 어지(원문+구결)
☆학습활동
♧알아두기
※‘세종 어제 훈민정음’ - 표기법의 특징
<참고1 - 동국정운식 표기>
<참고2 - 서법>
<참고3 - 표기법>
☆형성평가 - 다지기
<본시 교수 - 학습과정안>
※알아봅시다.
→ 훈민정음
1. 훈민정음(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 작자
3. 연대
4.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5. 체제 : ‘예의 + 해례 + 정인지 서’로 구성됨.
6. 훈민정음 어지(원문+구결)
☆학습활동
♧알아두기
※‘세종 어제 훈민정음’ - 표기법의 특징
<참고1 - 동국정운식 표기>
<참고2 - 서법>
<참고3 - 표기법>
☆형성평가 - 다지기
본문내용
인사
▶인사한다.
▷인사한다.
교수 - 학습과정안>
※알아봅시다.
→ 훈민정음
1. 훈민정음(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1) 문자의 명칭으로서의 훈민정음
① 언문(言文) : 훈민정음을 낮추어 부른 이름으로, 한문을 높여 부르던 진서(眞書)의 상대적인 명칭이다.
② 반절(半切) : 중종 때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한자의 음을 기록하는 발음기호라는 뜻이 들어 있다.
③ 국문(國文) : 갑오개혁 이후 국어의 존엄성을 자각하게 된 뒤부터 생긴 명칭이다.
④ 한글 : 주시경이 붙인 명칭으로 큰 글, 바른 글, 유일한 글이란 뜻을 담고 있다.
(2) 책의 명칭으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이라는 문자를 창제한 세종과 그의 보필자들이 새로 만든 문자에 대해 해설한 책의 명칭이다.
2. 작자
(1) 창제자 : 세종(世宗 ; 1397~1450)
(2) 협찬자 :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의 집현 전 학사
3. 연대
(1) 창제 : 세종 25년(1443) 음력 12월
*창제 연대는 양력으로 환산하면 1444년 1월이 된다.
(2) 반포 : 세종 28년(1446년 9월 상순
*오늘의 한글날(10월 9일)은 훈민정음의 반포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4.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 초성(자음) : 기본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象形] 만들었고, 나머지 자음은 기본 자음에 가획(加)하는 방법으로 만듦.
발음 위치
상형(象形)
기본자
가획자
이체
아음(牙音)
혀뿌리가 목구멍에 닿는 모양
ㄱ
ㅋ
설음(舌音)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ㄴ
ㄷ, ㅌ
ㄹ
순음(脣音)
입술의 모양
ㅁ
ㅂ, ㅍ
치음(齒音)
이의 모양
ㅅ
ㅈ, ㅊ
후음(喉音)
목구멍의 모양
ㅇ
, ㅎ
(2) 중성(모음) : 기본 모음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서 만들었고, 나머지 모음은 이들을 결합하여 만듦.
① 기본자 : [天], ㅡ[地], ㅣ[人]
② 초출자 : ㅏ, ㅓ, ㅗ, ㅜ
③ 재출자 : ㅑ, ㅕ, ㅛ, ㅠ
(3) 종성 : 초성을 다시 종성으로 사용함[終聲復用初聲]
5. 체제 : ‘예의 + 해례 + 정인지 서’로 구성됨.
(1) 예의(例義) - 본문
① 훈민정음 어지(御旨) : 세종 대왕의 서문
② 글자의 음가(音價) : 초성, 중성의 음가
③ 글자의 운용(運用) : 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
④ 성음법(成音法)과 방점(傍點)
(2) 해례(解例) - 해설
① 제자해(制字解) : 글자를 만든 원리 설명
② 초성해(初聲解) : 첫소리의 설명
③ 중성해(中聲解) : 가운뎃소리의 설명
④ 종성해(終聲解) : 받침의 설명
⑤ 합자해(合字解) : 글자를 이루는 방법
⑥ 용자례(用字例) : 낱말 표기 예
(3) 정인지 서(序) : 훈민정음의 제작 경위 설명
6. 훈민정음 어지(원문+구결)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
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 불상유통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 야도, 而終不得伸其情者ㅣ 多矣라.
고 우민 유소욕언 이종부득신기정자
余ㅣ 爲此民然야 新制二十八字니 欲使人人로 易習야 便於日用耳니라.
여 위차민연 신제 이십팔자 욕사인인 이습 편어일용이
☆본문을 보기 전에…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종 28년(1446)에 창제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한 것이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고 한다.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원리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이 글을 통해 훈민정음의 과학적 체계와 15세기 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의 한글 표기법과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교과서 본문>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世솅宗 御製
▶인사한다.
▷인사한다.
교수 - 학습과정안>
※알아봅시다.
→ 훈민정음
1. 훈민정음(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1) 문자의 명칭으로서의 훈민정음
① 언문(言文) : 훈민정음을 낮추어 부른 이름으로, 한문을 높여 부르던 진서(眞書)의 상대적인 명칭이다.
② 반절(半切) : 중종 때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한자의 음을 기록하는 발음기호라는 뜻이 들어 있다.
③ 국문(國文) : 갑오개혁 이후 국어의 존엄성을 자각하게 된 뒤부터 생긴 명칭이다.
④ 한글 : 주시경이 붙인 명칭으로 큰 글, 바른 글, 유일한 글이란 뜻을 담고 있다.
(2) 책의 명칭으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이라는 문자를 창제한 세종과 그의 보필자들이 새로 만든 문자에 대해 해설한 책의 명칭이다.
2. 작자
(1) 창제자 : 세종(世宗 ; 1397~1450)
(2) 협찬자 :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의 집현 전 학사
3. 연대
(1) 창제 : 세종 25년(1443) 음력 12월
*창제 연대는 양력으로 환산하면 1444년 1월이 된다.
(2) 반포 : 세종 28년(1446년 9월 상순
*오늘의 한글날(10월 9일)은 훈민정음의 반포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4.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 초성(자음) : 기본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서[象形] 만들었고, 나머지 자음은 기본 자음에 가획(加)하는 방법으로 만듦.
발음 위치
상형(象形)
기본자
가획자
이체
아음(牙音)
혀뿌리가 목구멍에 닿는 모양
ㄱ
ㅋ
설음(舌音)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ㄴ
ㄷ, ㅌ
ㄹ
순음(脣音)
입술의 모양
ㅁ
ㅂ, ㅍ
치음(齒音)
이의 모양
ㅅ
ㅈ, ㅊ
후음(喉音)
목구멍의 모양
ㅇ
, ㅎ
(2) 중성(모음) : 기본 모음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서 만들었고, 나머지 모음은 이들을 결합하여 만듦.
① 기본자 : [天], ㅡ[地], ㅣ[人]
② 초출자 : ㅏ, ㅓ, ㅗ, ㅜ
③ 재출자 : ㅑ, ㅕ, ㅛ, ㅠ
(3) 종성 : 초성을 다시 종성으로 사용함[終聲復用初聲]
5. 체제 : ‘예의 + 해례 + 정인지 서’로 구성됨.
(1) 예의(例義) - 본문
① 훈민정음 어지(御旨) : 세종 대왕의 서문
② 글자의 음가(音價) : 초성, 중성의 음가
③ 글자의 운용(運用) : 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
④ 성음법(成音法)과 방점(傍點)
(2) 해례(解例) - 해설
① 제자해(制字解) : 글자를 만든 원리 설명
② 초성해(初聲解) : 첫소리의 설명
③ 중성해(中聲解) : 가운뎃소리의 설명
④ 종성해(終聲解) : 받침의 설명
⑤ 합자해(合字解) : 글자를 이루는 방법
⑥ 용자례(用字例) : 낱말 표기 예
(3) 정인지 서(序) : 훈민정음의 제작 경위 설명
6. 훈민정음 어지(원문+구결)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
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 불상유통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 야도, 而終不得伸其情者ㅣ 多矣라.
고 우민 유소욕언 이종부득신기정자
余ㅣ 爲此民然야 新制二十八字니 欲使人人로 易習야 便於日用耳니라.
여 위차민연 신제 이십팔자 욕사인인 이습 편어일용이
☆본문을 보기 전에…
‘세종 어제 훈민정음’은 세종 28년(1446)에 창제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세종 사후에 언해(諺解)한 것이다. 전자를 ‘해례본’, 후자를 ‘언해본’이라고 한다.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원리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이 글을 통해 훈민정음의 과학적 체계와 15세기 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의 한글 표기법과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교과서 본문>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世솅宗 御製
추천자료
[국어교육] 국어지식 교육의 위상
[교육행정]교육기획의 과정을 설명하고, 여러분 자신이 어느 한 학교의 교장이라고 가정하고 ...
[교육사회학]분단하의 교육제도
[교육행정]평생교육과 학점은행제
[유아교육]21세기 한국 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페스탈로치의 교육실천이 오늘날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우리나라 교육 현실의 문제점 - 공교육에 대해서
[교육사]구한말 신교육의 도입
[교육사회학의 전개] 외국과 한국. 우리나라의 교육사회학
[교직/교육]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적 접근
소태산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활동
[부모교육 B형] 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그 내용에 대해 논하시오.
[유아교육과정 공통]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과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설명.
소개글